Ewha Womans University
수소⋅청정에너지시스템 연구실
HCES에서 2025학년도 일반대학원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학생은 아래의 메일로 연락 바랍니다.
E-mail: sanghun@ewha.ac.kr
Recruitment
HCES에서 2025학년도 일반대학원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학생은 메일 바랍니다. (E-mail: sanghun@ewha.ac.kr)
우리 연구실 대학원 과정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2년 과정 석사학위 취득을 통한 우수 대기업, 연구소 취직 기회
2. 학위기간 기업체 산학장학생 지원을 통한 취업 기회 확대
3. 자동차, 화학, 에너지, IT 분야 등 다양한 분야 연구 및 취업 가능
4. 졸업 후 연구직으로 취직하여 전문성을 가지고 근무
5. 국내외 다양한 학회 참석 기회
6. 수소 및 화학공정모사, 경제성 분석, 인공지능, 기후금융 등 폭넓은 연구주제 선택의 폭
7. 특성화 대학원 사업 등 다양한 장학금 기회
8. 4년 과정 박사학위 취득을 통한 연구소, 학계, 미국 취업 (NIW 고학력자 영주권 신청 가능)
연구실의 최근 연구 실적이나 주요 연구 분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의 "Research Interest" 페이지나 아래의 Google Schola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Xrz_WmsAAAAJ&hl=ko
Award
2025.05.19.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이상훈 교수, 손지현 박사과정생, 이수민, 엄수빈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이상훈)이 5월 14일(수)-5월 16일(금) 대구 EXCO에서 개최된 '2025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발표상을 수상했다.
이상훈 교수는 '전주기 청정수소 기술에 대한 기술 경제성 및 전과정 평가 연구'를 주제로 구두발표를 수행했다. 해당 연구를 통해 해외 수입 수소에 대한 기술경제성 분석, 전과정평가, 국내 공급망 최적화 결과를 제시했으며, 국내 수소 공급을 위한 암모니아 크래킹 반응기 CFD 모델을 제시했다.
손지현 학생은 '선박 추진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통합 시스템에 대한 Tank-to-Wake 배출분석'을 주제로 구두발표를 수행했다. 해당 연구는 손지현 학생과 강소영 학생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와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선박 주기관, 보조발전기관, SCR, 스크러버,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와 같은 주요 장치들이 포함된 선박 통합 시스템에 대해 Tank-to-Wake 범위의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량을 정량화할 수 있는 화학 공정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시했다.
이수민 학생은 'CFD 모델링을 통한 SOFC용 암모니아 전처리 장치의 설계 최적화 및 유동 해석'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수행했다. 해당 연구는 이수민 학생과 손지현 학생이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기계연구원에서 개발한 암모니아 전처리 장치에 대한 전산유체해석 모델링을 진행하고, 암모니아 분해 효율 향상,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하였다.
엄수빈 학생은 ‘인공지능 기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예측을 활용한 실시간 그린수소 생산의 기술경제성 분석’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엄수빈 학생과 김소정 학생이 공동으로 수행한 것으로, 캘리포니아 지역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을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1시간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전력가격(LMP)과 결합하여 수소의 시간별 균등화 생산단가(LCOH)를 산정함으로써 실시간 그린수소 생산의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2025.05.19.
수소˙청정에너지시스템연구실 강소영, 신혜진 학생이 [KAIST-이화여대] 2025 기후테크 이노베이션 스프린트에서 각각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강소영 학생은 '탄소 규제 시대, 해운 넷제로 실현을 위한 솔루션: NetZeroDrive'를 주제로 발표를 수행하였다. 엔진 및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추진 장치의 열역학적 에너지 전환 과정을 맞춤형 화학 공정 모델링을 통해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출 가스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신혜진 학생은 '기후위기 시대에 농업인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 솔루션: Solaris'를 주제로 발표를 수행하였다. AI 발전량 예측, 영농형 태양광 설치, 기후데이터 기반 부지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촌 설계를 제안하였다.
2025 기후테크 이노베이션 스프린트란 이화여대와 카이스트 재학생들이 모여 기후 위기에 맞서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대회로 관심 분야별로 팀을 구성하여 실질적인 기후 문제를 정의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개발하는 창업 몰입 프로그램이다.
2025.05.12.
수소˙청정에너지시스템연구실 손지현 학생이 2025-1학기 우수연구 장학금에 선발되었다. 우수연구 장학금은 학문적 연구능력이 탁월하여 미래 발전에 대한 뚜렷한 목표를 설립하고 지속적인 학술활동에 대한 수행의지가 뚜렷한 학생에게 수여하는 장학금으로, 300만원의 학업보조비를 지원한다.
2025.02.13.
수소˙청정에너지시스템연구실 엄수빈 학생이 2025학년도 SYENSQO 장학생(前 Solvay 장학생)으로 최종 선발되었다. 엄수빈 학생은 학기당 1,000만원의 장학금을 4학기 동안 수혜받으며, 친환경 수소 생산 및 PSA(Pressure swing adsorption)의 CFD 모델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SYENSQO는 1863년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가 설립한 글로벌 화학기업 SOLVAY에서 2023년 독립적인 상장회사로 분리되었다. SYENSQO는 스페셜티 폴리머(Specialty Polymers), 복합소재(Composites), 노브케어(Novecare), 아로마(Aroma), 기술 솔루션(Technology Solutions), 오일&가스(Oil & Gas)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배터리, 친환경 수소, 열가소성 복합재료, 재생 가능한 소재 및 생명공학 등 4개의 주요 성장 플랫폼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2024.12.10.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김소정, 엄수빈 학부연구생(지도교수: 이상훈)이 2024 공학교육혁신센터 주관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에서 단일전공 부문 금상을 수상하였다.
김소정, 엄수빈 학생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 예측을 통한 실시간 그린수소 생산 경제성 분석'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STM과 XGBoost를 활용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했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때의 실시간 LCOH 결과를 제시했다.
2024.12.06.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손지현 학생(지도교수: 이상훈)이 12월 4일(수)-12월 6일(금)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2024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발표상을 수상했다.
손지현 학생은 '사우디 아라비아 수입 청정수소 기술경제성 분석 및 전과정 평가'를 주제로 구두발표를 수행했다. 수소 공급 밸류체인을 수소 생산, 저장, 운송, 방출 단계로 나누어 공정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수소 수입 공정의 균등화수소원가(LCOH)와 온실가스 집약도를 제시했다.
2024.04.19.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손지현, 김예원 석사과정생과 김가영 학부연구생 (지도교수: 이상훈)이 4월 17일(월)-4월 19일(수)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개최된 '2024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손지현 학생은 '사우디 아라비아 청정수소 수입 공정 기술경제성 분석'을 주제로 사우디 아라비아로부터 한국까지 청정수소를 수입하는 과정을 수소 생산, 저장, 운송, 방출 단계로 나누어 공정모사에 기반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고, 한국에서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경우와 비교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김예원 학생은 '해외 수입 사우디아라비아 그린수소와 국내 생산 그린 수소의 균등화수소생산비용 (LCOH) 비교 연구'를 주제로,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사우디아라비아와 한국에서 만드는 수소의 월별 생산 단가를 비교하고, 단가 변동 요소별 민감도 분석을 진행하여 어떤 시나리오에서 두 나라의 생산단가 차이가 최소화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김가영 학생은 '수소 에너지 저장 시스템 (HESS) 최적 운영을 위한 차익 정보 기반 강화학습 전략 개발'을 주제로 수소를 이용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필요성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적절한 강화학습 보상 설정 방법과 알고리즘 플로우를 발표하였다.
2023.11.30.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김예원 학부연구생과 김가영 학부연구생(지도교수: 이상훈)이 11월 27일(월)-11월 29일(수)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3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김예원 학생은 '기상기후 데이터 기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그린 수소 경제성 분석'을 주제로 일사량, 기온을 반영한 월 단위 그린수소 수출입 시나리오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소개하였다. 또한, 김가영 학생은 'Development of HESS operating strategy using DQN algorithm of reinforcement learning'을 주제로 딥러닝과 강화 학습을 결합한 DQN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수소에너지저장장치의 최적 운영전략을 분석하는 연구를 소개하였다.
2023.05.27.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손지현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이상훈)이 5월 24일(수)-5월 26일(금) 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3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손지현 학생은 'Techno-economic analysis for total process of hydrogen import from Saudi Arabia to Korea'을 주제로 해외에서 생산된 청정수소를 한국으로 도입하는 전과정에 대한 공정모사 기반 경제성 분석 연구를 소개하였다.
2022.11.26.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김가영 학부연구생(지도교수: 이상훈)과 이상훈 교수가 11월 23(수)-11월 25일(금)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개최된 '2022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김가영 학생은 '도시화율 및 산업 구성 차이에 따른 딥러닝 기반 전력 수요 변동 예측'을 주제로 지역에 따른 전력망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딥러닝 연구를 소개하였다. 또한, 이상훈 교수는 '수소 및 석유화학 분야 공정모사 및 경제성 분석'을 주제로 수소 및 석유화학 분야에서 수행 중인 여러 연구를 소개하였다.
이번 '2022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는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이상훈 교수 연구실 학부연구생 6명(김가영, 김명지, 김예원, 박수민, 손지현, 안지현)이 참여하여 공정모사, 경제성 분석, 인공지능 관련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