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직접 활용 Fuel Cell 모델링 및 운전 조건 최적화
[연구 내용]
수소-전력 가변성을 고려한 DA-SOFC(Direct-Ammonia Solid Oxide Fuel Cell) 모델 구축
Aspen HYSYS 모델과 연계 가능한 전기화학, 경제성 모델 구축
수소/전력 생산량 증대 및 연간 운전 비용 최소화를 위한 운전 조건 최적화
[연구 결과]
문헌 실험값 대비 최대 오차율 3.5% 이내로 모델 정합성 검증 완료
수소-전력 생산량을 최대화하며, 연간 운전 비용을 최소화하는 가변성 시나리오 별 최적 운전 조건 제시
본 시스템 특성에 부합하는 다목적 최적화 알고리즘 및 프레임워크 제안
변동성 강한 재생 에너지을 활용한 수소 생산 및 하이브리드 저장 시스템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 내용]
CAPEX·OPEX 계산을 통한 LCOX 도출 및 민감도 분석을 통한 경제성 결정 요인 도출
제한 전력과 송전 상한을 고려한 주요 장치 용량 설계 및 운전 조건 최적화
[연구 결과]
실제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델 정확도 90% 이상 달성
하이브리드 수소 저장 시스템 내 열 교환 구현을 통해 에너지 효율 개선
다목적 최적화를 통해 송전 제약 하에서도 LCOX를 낮추고, 생산성과 공급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용량·운전 전략 제시
배터리 열관리를 위한 모델 예측 제어기 개발
[연구내용]
간소화된 배터리 팩 모델을 활용한 배터리 온도를 최적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모델 예측 제어 방법 적용
배터리 온도를 최적 온도로 유지하며, 소모되는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 진행
측정되지 않는 상태 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관측기(Observer, Soft Sensor) 설계
[연구 결과]
실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한 간소화된 배터리 모델 구축
현재 처리 가능한 최대 열교환량을 고려하여 모델 예측 제어에 적용하여 현실적인 배터리 냉각량 처리 가능
배터리 팩 회로뿐만 아니라 냉매 회로 최적화 문제를 통합한 전체적인 배터리 열관리 제어기 구축을 통해 배터리 온도를 최적 온도 유지 및 냉각에 소모되는 에너지 소비 최적화
비선형 배터리 상태 변수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임의의 외란을 고려한 관측기 설계
SCR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 설계
[연구내용]
신촉매 개발을 위한 빠른 패러미터 추정 기법 개발
배기 후처리 촉매 시스템의 최적 제어기 제안
실시간 풀이 가능한 모델 예측 제어 적용
실주행 데이터를 통한 검증
최적 운전 기법을 함께 고려하여 다목적 최적 설계 제안 (NOx 방출량과 Capital cost 측면)
(CMU 공동 연구) 비선형 최적해 민감도를 활용한 Fast NMPC와 MHE
[연구내용]
Large-scale 시스템 풀이 및 최적 제어
온라인 계산로드를 낮춘 모델예측제어
비선형 최적해 민감도 개념 활용
미래 상태를 예측하고 해당 값을 초기 값으로 하여 모델예측제어 풀이
해당 시점에 실제 상태 값이 측정되면 최적해 민감도 개념으로 최적해 근사
비선형 민감도 활용한 moving horizon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