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verview
Our laboratory investigat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immune system through the lens of T cell quiescence. T cells must remain quiescent under steady-state conditions while being poised for rapid activation upon antigen encounter. This delicate balance is essential for lifelong immune homeostasis, yet its molecular basis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We aim to answer key questions: How do T cells actively maintain quiescence? What defines the threshold for activation? Which intrinsic programs prevent spontaneous activation?
Recently, we uncovered that BTG1/2-mediated mRNA deadenylation safeguards T cell quiescence (Science, 2020), providing a previously unrecognized paradigm of how T cells preserve a ground state before activation.
Building on this framework, our research focuses on:
Mechanisms of T cell quiescence – using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models and multi-omics platforms to dissect intrinsic and extrinsic regulatory networks.
Immune disease models – reinterpreting autoimmune, inflammatory, allergic, metabolic, and cancer immu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quiescence–activation transitions.
Next-generation immunotherapies – developing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including CRISPR-based target discovery and advanced CAR-T/Treg engineering for solid tumors and immune disorders.
We employ an integrative approach spanning immunolog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biochemistry, and bioinformatics, striving to translate fundamental discoveries into transformative therapies.
연구실 소개
우리 연구실은 면역세포, 특히 T 세포가 어떻게 평생 동안 면역 균형을 유지하는지를 “휴지기(quiescence)”의 관점에서 탐구합니다. T 세포는 필요할 때 즉각 활성화되지만, 평상시에는 스스로를 억제하며 휴지기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절 원리는 면역체계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핵심 축이지만,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저희는 “T 세포는 어떻게 휴지기를 유지하며, 언제 어떤 신호에 의해 휴지기를 벗어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고자 합니다. 최근에는 BTG1/2가 mRNA 대사 조절을 통해 휴지기를 적극적으로 유지한다는 사실(Science, 2020)을 규명하여, T 세포 생물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원천적 이해를 기반으로, 연구실은 다음의 연구를 수행합니다.
T 세포 휴지기의 분자적 기전 규명 – 유전자 조작 마우스와 오믹스 기술을 활용해 quiescence의 내재적·외재적 조절 인자를 탐구합니다.
면역질환 모델 연구 – 자가면역, 염증, 알레르기, 대사질환, 암 등 다양한 질환 맥락에서 T 세포의 휴지기-활성화 전환을 재해석합니다.
차세대 면역치료 기술 개발 – 유전자 가위 기반 항암 타겟 발굴, CAR-T/Treg 기술을 포함한 혁신적 면역치료 전략을 모색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면역학·분자생물학·세포생물학·생화학·생물정보학을 아우르는 융합적 접근을 지향하며, 기초 발견이 궁극적으로 혁신적 치료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수행 중인 과제
1. 휴지기 관점에서 T 세포의 운명 재해석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67/6483/1255
2. 면역 질환 모델 연구 (염증질환,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당뇨병, 암)
https://www.pnas.org/content/116/51/25790
https://www.pnas.org/content/110/1/276
https://www.nature.com/articles/ncomms10789
3.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혁신항암타겟 발굴 (CAR-T, 고형암 치료)
4. 알레르기성 질환 (아토피, 천식) 연구와 치료제 개발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all.13078
https://www.pnas.org/content/107/23/10614
연구분야 키워드
#T cell quiescence
#유전자가위 스크리닝
#감염면역
#만성면역질환
#면역학
#신약타겟 후보 유전자 발굴
#아토피, 천식
#자가면역질환
#항암면역
#후성유전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