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 Economics and Real Estate (도시경제와 부동산, 2학년 1학기)
It need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and, housing, economy, and industry in cities to understand urban growth and manage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s. This course aims to foster the ability to understand cities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gration of economics and geography theories. In this course,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economic rationale for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iti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notions of urbanization economy and localization economy, agglomeration benefits, and learning effects of diversity. Also, this course sheds light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with land use regulation and growth management.
도시의 성장을 이해하고 미래 지속가능한 도시공간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토지, 주택, 경제, 산업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필요하다. 본 교과목은 경제학과 지리학 이론의 접목을 통해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도시를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단일도심모형과 다핵도심모형으로부터 도시화경제, 지역화경제로 대변되는 집적이익, 다양화 속에서의 학습효과 등 도시의 형성과 성장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토지이용규제와 성장관리 등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Theory of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구조론, 2학년 2학기)
This course will provide essential knowledge to delve into the intricacies of urban spatial structures as they exist in the real world. Throughout the course, students will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ies that shape cities and their development. Students will also cultivate their planning capabilities, focusing on spatial structures of an industrial city, Pohang. By combining theoretical concepts with practical applications, this course will empower students to critically analyze urban issues, comprehend urban spatial dynamics, and engage in urban planning for the future.
본 교과목은 실제 도시 공간구조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데 필수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수강생들은 도시와 그 발전을 구성하는 복잡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업도시 포항의 공간 구조에 중점을 두어 기획 능력을 기르는 학기말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교과목은 이론적 개념과 실제 적용을 결합하여 수강생들이 도시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도시 공간의 역동성을 이해하며 미래 도시 계획가로서 필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3학년 1학기)
Various spatial data (i.e. population, industry, real estate, environment, and safety) are generated, analyzed, and utilized in cities. In this course, students can learn about how to achieve and analyze spatial data and interpret the results in diagnosing urban problems from a perspective of urban planners. ArcGIS Pro, the most up-to-date application of ArcGIS Desktop, is evaluated as a tool that enhances user convenience. This course will deal with the essential techniques of ArcGIS Pro through a learning-by-doing approach.
인구, 산업, 부동산, 환경, 안전 등 도시에는 다양한 공간 자료들이 생성, 분석, 활용되고 있다. 본 수업은 도시계획가로서 도시 문제를 진단하는데 공간 자료를 어떻게 구득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 학습한다. ArcGIS Desktop의 가장 최신 어플리케이션인 ArcGIS Pro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도구로 평가받고 있다. 본 수업은 ‘하면서 배우기’의 접근 방법을 통해 ArcGIS Pro의 필수 기능들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Advanc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응용 및 공간분석, 3학년 2학기)
Various spatial data (i.e. population, industry, real estate, environment, and safety) are generated, analyzed, and utilized in cities. In this course, students can learn about how to achieve and analyze spatial data and interpret the results in diagnosing urban problems from a perspective of urban planners. ArcGIS Pro, the most up-to-date application of ArcGIS Desktop, is evaluated as a tool that enhances user convenience. This course will deal with the essential techniques of ArcGIS Pro through a learning-by-doing approach.
최근 도시 분야에서는 도시 및 지역 문제를 실증적으로 진단하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공간 빅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기술 발전 시대에 도시 연구자들은 공간 정보 및 데이터 코딩의 구조를 이해하고 대용량 빅데이터를 분석,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본 강좌에서 수강생들은 실습을 통해 Python을 ArcGIS Pro 워크플로에 통합하는 기술을 습득하여 공간정보분석과 시각화를 수행하며, 스마트 시대 공간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얻게된다.
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and Practice (국제개발계획 및 실습, 3학년 2학기)
The world is currently experiencing rapid urbanization. As potential urban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in this era, how can we underst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addressing issues prevalent in a case country of the global south, considering the unique site-specific problems that emerge there. Through collaborative teamwork, students will develop their problem-solving skills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for context-specific solutions.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will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think carefully and actively contribute to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urban sustainability.
전세계는 현재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도시계획가로서 국제개발협력을 어떻게 이해하고 참여할 것인가? 본 교과목은 이론적 지식과 실제 적용을 결합하여, 개발도상국의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환경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실습하도록 한다. 수강생들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지역적 맥락에 맞는 해결책을 찾기 위한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국제 개발과 도시 지속 가능성 분야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Capstone Design 1 & 2 (캡스톤디자인 1 & 2, 4학년 1-2학기)
Through the capston design courses, students can develop their own research topics on urban and regional issues. It is recomended to take the following prerequisite courses. [Step 1] Statistics for Economics and Management; Big Data Analysis using R; Data Structures in Python; Econometrics / [Step 2]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dvanc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Step 3]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Text Mining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통해 도시문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과목들의 선수강이 요구된다. [Step 1] GIS(지리정보시스템) / 경영경제통계: 통계분석의 기초 개념 / R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관리 및 회귀분석 이해 [Step 2] GIS응용 및 공간분석 : 공간데이터의 구득 및 활용 / 계량경제학: 패널분석 등 분석모형의 확장 / 파이썬으로 배우는 데이터 구조: 빅데이터 관리 및 활용 [Step 3] 기계학습개론: 머신러닝을 이용한 부동산 연구 활용/ 딥러닝: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도시환경 연구 활용/ 텍스트마이닝: 미디어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도시장소성 연구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