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CI/SCIE
SSCI/SCIE
[27] Yang, HJ and Lee, JM (2025.9) "Spatial determinants of affordable housing provision through land value capture: Applying explainable AI to rare events”, Cities, 168: 106445. (IF=6.077)
[26] Kim, YJ and Yang, HJ (2023.8) “Rethinking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urban greening strategy socially inclusive?”, Land Use Policy, 131: 106742. (IF=6.189)
[25] Shin, JY and Yang, HJ (2022.4) “Does residential stability lead to civic participation? The mediating role of place attachment”, Cities, 126: 103700. (IF=6.077)
[24] Yang, HJ and Kim, YJ (2022.1) "The role of territorial collective goods in Korea’s residential development”, Land Use Policy, 112: 105789. (IF=6.189)
[23] Yang, HJ (2021.7) “Visualizing spatial disparities in population ag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53(5): 879-882. (IF=3.790)
[22] Yang, HJ and Yoon, HY (2021.3) "Revealing an integrative mechanism of cognition, emotion, and heat-protective action of older adults”, Sustainability 13(6): 3534 (IF=3.889)
[21] Yang, HJ (2020.10) “Spatio-temporal changes of housing features in response to urban renewal initiatives: The case of Seoul”, Sustainability, 12(19): 7918 (IF=3.889)
[20] Yang, HJ and Choi, MJ (2019.12) “Apartment complexe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What are the benefits of agglomeration?”,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34(4): 987-1004. (IF=2.033)
[19] Yang, HJ, Song, JH, and Choi, MJ (2016.4) “Measuring the externality effects of commercial land use on residential land value: a case study of Seoul”, Sustainability, 8(5): 432 (IF=3.889)
SCOPUS
[18] Lee, CW·Yang, HJ (2025.6) “Virtual Space Design Strategies in the Metaverse for Revitalizing Local Tourism:A Persona-based Scenario Method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공간설계 방안: 페르소나 시나리오 기법의 적용)”,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1(6): 133-141.
[17] Lee, JM·Yang, HJ (2023.7) “Analysis of locational factors of buy-to-rent public housing with public contributions: A case of SIA youth housing in Seoul (공공기여를 통한 공공매입임대주택 공급의 입지요인 분석: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을 사례로)”,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9(7): 181-189.
[16] Kim, YJ, Yang, HJ (2021.11) “A study on the effects of urban desig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도시설계 교육효과 연구: 학습동기 향상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7(11): 221-227.
KCI
[15] 양희진·진예송·최하진 (2025.8) “Local vitality in depopulating regions: Where and why it thrives”,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60(4): 79-91.
[14] 양희진·박혜정 (2024.11) “스마트 어바니즘의 이론적·실천적 고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공간 포용성의 증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9(6): 55-65.
[13] 김예준·양희진·김종영 (2024.11) “해안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울릉공항 입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분석”, 한국부동산원 「부동산분석」, 10(3): 103-116.
[12] 김승정·양희진 (2023.6) “포용적 용도지역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저렴주택 재원조달 방안으로서 토지가치포착(LVC)의 사회경제적 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8(3): 137-148.
[11] 김나현·양희진 (2022.12)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소경험 변화 분석: 인천 강화도를 사례로”, 인천연구원 「도시연구」, 22: 181-209.
[10] 양희진·김준형·박동하·김나현 (2022.8) "주거정책의 지방화 전략: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주택연구」, 30(3): 5-41.
[9] 이새롬·양희진 (2021.8) “주거지역의 보행안전 영향요인과 도시설계적 시사점: 고령 보행자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 22(4): 121-135.
[8] 양희진 (2020.8) “자가점유의 사회적 편익: 사회참여 증진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SH도시연구원 「주택도시연구」, 10(2): 71-85.
[7] 양희진·윤희연 (2020.4) “기후위험에 대비한 폭염 적응정책의 효과성 평가: 지역수준 건강영향평가 방법론의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5(2): 102-111.
[6] 박영은·양희진 (2019.10) “저층 주거지역의 상업화와 가구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홍대지역을 사례로”,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 20(5): 85-97
[5] 이새롬·양희진 (2019.8) “문화지구 업체 특성별 생존 및 폐업위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4(4): 38-47.
[4] 양희진 (2019.4) “공동주택 주차공간의 양적·질적 특성이 주거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주거서비스에 대한 소비수요의 관점에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4(2): 84-92.
[3] 양희진·윤희연 (2019.3) “도시 폭염 대응정책의 성과 효율성: 서울시 온열질환 상병자수 및 의료지출을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32(1): 31-45.
[2] 양희진·김민지·최막중 (2015.6) “전통상업 보호를 위한 한국과 미국의 상업시설 입지규제 특성: 미국 Formula Business Restriction을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8(2): 127-144.
[1] 양희진·최막중 (2011.6) “압축도시의 탄소증감 효과에 관한 건물·교통·녹지 통합 모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6(3): 281-292.
Dissertation
양희진(2017.8) “한국 아파트 단지화·대형화의 경제논리”, 서울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 (지도교수: 최막중, 심사위원: 서승환/김의준/박인권/김경민)
양희진(2010.2) “압축적 도시개발이 탄소소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도시계획학 석사 (지도교수: 최막중, 심사위원: 홍종호/김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