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News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백스다임-가톨릭의대와 ‘차세대 일본뇌염 백신’ 개발 착수
유전자재조합 기술 적용 바이러스 유사입자 신속 생산 플랫폼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04596
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백스다임(대표 김성재)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서상욱 교수 연구팀)과 ‘차세대 일본뇌염 백신’을 공동개발한다고 3일 밝혔다.
센터는 2025년 상반기까지 백스다임과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이 확보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GMP 시설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공정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특히 임상시험 단계에서 백신 안전성과 시험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이번 개발 단계는 신약 개발 전주기에서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센터는 설명했다.
센터에 따르면 이번 차세대 일본뇌염 백신은 유전자재조합 바이러스 유사입자 생산 기술이 적용돼 기존 1세대 생백신 및 사백신 대비 생산성과 품질관리 측면에서 더 뛰어나다. 또, 국내 유행중인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해 기존 백신이 효과적인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차세대 백신 개발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
백스다임은 2021년 설립돼 ‘미생물 기반 단백질 항원 신속 생산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백신 개발을 선도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기존 백신 대비 높은 안정성과 경제성을 갖춘 기술을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비 가능한 원천 기술을 보유해 차세대 백신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일본뇌염 백신 뿐만 아니라, 독감 백신을 포함한 차후 팬데믹 대비 백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센터는 2017년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30여개 제품의 공정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최근 2024년 11월 GMP 적합판정서를 갱신해 공공 CDMO(위탁개발생산)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백스다임과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 서상욱 교수 연구팀 관계자는 “ 2025년 중 임상개발계획서(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다”며 “ 최근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의 높은 치명률과 기존 백신 낮은 방어 효능이 확인된 만큼, 새로운 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니세프(UNICEF) 일본뇌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뇌염 백신 시장 시장 규모는 2023년 3조 2천억원에서 2031년 5조 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톨릭중앙의료원 국내 유행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특성 발표
치명율 높고 기존 백신 무효...새로운 백신 개발 필요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93470
서상욱 교수(좌), 이아라 박사(우)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의 특성이 발표됐다.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0년부터 한국에서만 보고되고 있는 신종 바이러스다. 아직 다른 나라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과거 말레이시아와 중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주변 일본뇌염 유행 국가들로부터도 주의가 집중되고 있다.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서상욱 교수(교신저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와 이아라 박사(제1저자) 연구팀은 질병관리청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받은 국내 분리주를 이용해 동물 모델을 통해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2015년 일본뇌염 환자에서 분리된 NCCP 43279 바이러스는 3형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비해 높은 치명율을 나타냈다.
또한, 표면 단백질의 차이로 인해 현재 개발된 일본뇌염 백신으로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상욱 교수는 “2010년 이후 국내 일본뇌염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분리 및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백신 개발이 시급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신종 미생물 및 감염 국제 학술지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IF=8.4)에 온라인 게재됐다.
한빛사 논문 게재! Emerg Microbes Infect.,2024 (IF: 13.2)
2024년 5월 30일 등록.
이아라 (https://www.ibric.org/bric/author-treatise-list#!/list)
한빛사 논문 게재! Emerg Microbes Infect.,2024 (IF: 13.2)
2024년 4월 16일 등록.
김재덕 (https://www.ibric.org/bric/hanbitsa/treatise.do?mode=treatise-view&id=93158&authorId=45416#!/list)
이아라 (https://www.ibric.org/bric/hanbitsa/treatise.do?mode=treatise-view&id=93158&authorId=45417#!/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