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 iSPL -  Univerza v Ljubljani CVL 연구 교류 워크샵 개최

우리 iSPL은 지난 5월 24일 루블라냐 대학 CVL(Computer Vision Laboratory)의 Peter Peer 교수님과 함께 연구 교류 워크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샵은 지능 신호처리,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는 iSPL과, 컴퓨터비전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 컴퓨터 비전 연구실 간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루블라냐 대학의 컴퓨터 비전 연구실은 귀 인식, 공막 및 안구 영역 인식, 얼굴 비식별화, 얼굴 프라이버시 보호, 지문 품질 평가, 딥페이크 탐지, 생체 인식에서의 합성 데이터 생성 등 첨단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양 연구실이 각자의 연구 분야에 대한 최신 동향과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상호 간의 협력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와 인공지능 기술이 생체 인식 및 개인 비식별화 기술과 융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워크샵을 통해 양 연구실은 각자의 강점을 살려 보다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 상호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의 연구 기관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연구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입니다.

Our laboratory successfully held a research exchange workshop with Professor Peter Peer of the University of Ljubljana's CVL (Computer Vision Laboratory) on May 24th. This workshop was designed to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explore ways to cooperate between the iSPL, which studies intelligent signal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omputer vision laboratory, which conducts various research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niversity of Ljubljana's Computer Vision Laboratory is leading cutting-edge research in ear recognition, scleral and eye region recognition, face de-identification, facial privacy protection, fingerprint quality assessment, deepfake detection, and synthetic data generation in biometrics.

At this workshop, both labs presented the latest trends and research results in their respective research fields and explored possibilities for mutual cooperation. In particular, in-depth discussions took place on how self-driving ca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can be integrated with biometric and personal de-identification technologies.

Through this workshop, both labs leveraged their respective strengths to create more innovative research result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mutual development through academic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our laboratory will continue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lea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2024 ICCE 참여감상문 - 이동규 박사과정 

24년 1월 미국에서 개최되는 ICCE 2024에 참석하기 위해 라스베가스로 갔다. 처음 타보는 장시간의 비행기에 눈을 감았다 떴다 반복하길 어느덧 대여섯번, 마침내 미국 서부에서 가장 큰 도시인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했다. 처음으로 보는 무수히 많은 인종과 낯선 언어의 향연에 어리버리한 표정으로 교수님을 따라다녔다. 

얼렁뚱땅 시간이 지나고 정신을 차리니 차에 앉아 사막을 내달리고 있었다. 고개를 좌로 돌려보고, 우로 돌려보고 앞을 보았다.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말 그대로 끝도 없이 펼쳐진 광야에 감탄이 나왔다. 높이 솟아오른 나무도, 산도, 건물도 보이지 않고 과연 끝이 어디일지 경건함만이 느껴지는 광활한 지평선만이 눈에 담겼다. 드넓은 대지를 몇 시간을 꼬박 달려 마침내 사막 한가운데 세워진 거대 도시에 도착했다. 그곳은 소문으로 듣던 대낮과 같은 야경과 활기가 가득찬 대도시 치고는 한국에서 느끼던 고층 건물의 대도시 풍경이 아니었다.

길쭉한 느낌이 아닌 옆으로 길쭉한 도시 풍경은 색달랐다. 겨울인 한국과 다르게 춥지도 덥지도 않은 거리에는 길다란 롱코트부터 옆으로 짧거나 펑퍼짐한 셔츠 한 장의 차림까지 같은 공간이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다양한 패션들이 보였다. 거기에 영어만이 아닌 저 바다 건너 동양의 언어에서 서양의 언어까지 매우 다채로운 언어들의 바람과 하늘의 달빛마저 가리는 지상의 별빛들의 향연은 인류 최대의 향락 도시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학회는 꽤나 새로웠다. 개최국 중심의 연구자들이 아닌 정말로 전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참가한 연구자들과의 만남은 내게 긴장감과 만족감을 주었다.

긴장감은 의사 소통 때문이었다. 영어의 본고장이기에 무엇보다 영어 발음에 대해 신경이 쓰였다. 내가 생각하고 의도한 의사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제대로 전달이 될까 하는 고민이었다. 이런 고민으로 인해 다른 연구자들과 교류를 하기가 선뜻 어려웠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어느새 점심시간이 되었다. 점심은 아메리카 샌드위치부터 비건 음식, 할라 음식 등등 매우 다채롭게 준비된 도시락이었다. 이게 식사인지 간식인지 알 수 없는 과자와 과일, 빵으로 배를 채우던 중 교수님께서 누군가와 편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을 보았다. 미리 알던 사이도 아니고 그냥 식사를 위해 앉은 자리에서 마주친 학회 참가자 분이었다. 대화를 나누며 서로 교류하는 모습을 본 나는 이렇게 멀리까지 왔으니 나도 해보자라는 다짐을 가졌다.


다양한 연구자분들의 발표와 세미나를 참가하던 중 나와 유사한 분야에 대해 발표를 한 연구자에게 말을 걸었다. 나보다 나이가 높아 보이는 이에게 인사말과 함께 대화를 한다는게 오묘한 느낌을 주었다. 조심스럽게 서툰 영어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참가자 분은 무척 반가워하며 대화를 받아주었다. 연구 분야의 공통점 때문인지 어색함은 순식간에 사라졌다. 서로의 모국어가 아닌 그 사이의 다른 언어를 통해 의견을 교류하는 것은 내 안의 작은 경계선을 뛰어넘는 느낌이었다. 그것은 스스로에 대한 충족감과 자신감을 채워줬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수한 연구자들 분들의 발표는 언제나 새로운 시각을 주었다. 더욱이 비슷한 연구분야일수록 내가 생각해보지 못한 방식의 연구나 아이디어를 보고 들을 때면 내가 보고 듣던 것이 얼마나 작은 것이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연구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한 세미나가 있었다. 자그마한 흥미에 들어갔던 그 세미나가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되었다. 좋은 논문을 쓰고 발표자료를 만드는 것에 대해 강의를 듣고 다른 글도 보았지만 세세하게 나누어 전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내게 와닿았다.

긴장되어 밤마다 고민되게 하던 나의 발표가 끝이 나고 어느새 학회도 끝이 났다. 조금이나마 참가자들과 대화를 하고 교류를 하였지만 이전에 했던 다짐이 무색하게 좀 더 용기를 내보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만이 남았다.

이번 학회 참석은 내게 더 큰 세상을 보여주었다. 매체나 자료를 통해 접하던 것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은 색다름을 주었고 입으로 말하는 것은 떨림을 주었다. 돌아오는 비행기를 타면서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있다면 이 날의 아쉬움을 되새기며 이 전보다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했다. 설레며 잊지 못할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Makerere University과 경북대학교 연구 협력 체결

경북대학교 IT대학 한동석, 이동익, 벨로블루 교수는 8월 14일 마케렐레 대학교의 Computing and Information Sciences(CoCIS)의 Tonny Oyana 교수와 미팅을 진행했습니다. 

 Oyana 교수는 “우리 대학은 지난 5년 동안 경북대학교와 학생 교류 및 연구를 통해 협력해 왔으며, 이러한 협력을 갱신하고 강화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Oyana 교수는 경북대학교와 마케렐레 대학교 간 세가지 주요 협력 분야에 대해서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입니다.


> 관련기사 보기 

KNU WEBZINE 266호 KNU 피플 인터뷰

무한의 세계를 열어둘 때, 비로소 꿈은 활짝 핀다.

한동석 교수는 전자공학 전공으로, 지능통신, 레이더 및 소나 신호 처리 등의 연구를 거쳐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그는 자율주행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학생들을 지원하고 격려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또한 학생 한 명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격려하고 조언하는 등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학생들에게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투자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래에 대한 꿈과 역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관련기사 보기 

2021 이공분야 중점연구소 최종 선정

최대 9년간 약77억원 지원받아

북대 ICT - 자동차융합연구센터가 '2021년도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돼 최대 9년간 약 77억원을 지원받는다. 경북대는 이번 연구소 선정으로 기존에 선정된 울릉도 독도연구소, 자율군집소프트웨어연구센터, 환경과학기술연구소, 고에너지물리연구소 등을 포함해 총 5개 중점 연구소를 보유하게 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대학부설 연구소 지원으로 연구거점을 구축해 특성화 · 전문화를 유도하고 우수한 신진 연구 인력을 육성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경북대 ICT·자동차융합연구센터는 이번 사업을 통해 '다중지능기반 휴먼 - 센트릭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연구주제로, 인간의 의도를 포함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하게 된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율이동체에서 인간의 돌발 행동 반영 > 비정형도로 환경 > 대용량 센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및 정밀 측위 > 인간의도 포함 주행제어 > 실용화 가능한 인공지능 아키텍처와 임베디드화 등이다.

한동석 센터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자동차부품업계에 미래형자동차산업 AI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밝혔다.


> 관련기사 보기 

논문 및 특허


 논문 제목

Deep Learning-based Facial Landmarks Localization using Compound Scaling


▶ 논문 게재지 

IEEE Access

▶ 논문 저자

Savina Jassica Colaco , Dong Seog Han



 특허명

관심영역을 이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 발명자

유민우, 한동석

[ 2021년도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  

우수논문상


 논문 제목

딥러닝 기반 OFDM 부반송파 간격 추정 

▶ 논문 저자

박명철, 차대웅, 한동석


 특허명

PILOT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 APPARATUS 

발명자

Young Soo Kim, Myung Chul Park, Dong Seog Han



 논문 제목

Blockwise Phase Rotation-Aided Analog Transmit Beamforming for 5G mmWave Systems

▶ 논문 게재지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 논문 저자

Md. Abdul Latif Sarker, Igbafe Orikumhi, Dong Seog Han, Sunwoo Kim 


 논문 제목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 with Blind OFDM Parameter Estimation 

▶ 논문 게재지 

IEEE Access

▶ 논문 저자

Myung Chul Park, Dong Seog Han



 논문 제목

Blockwise Phase Rotation-Aided Analog Transmit Beamforming for 5G mmWave Systems

▶ 논문 게재지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 논문 저자

Md. Abdul Latif Sarker, Igbafe Orikumhi, Dong Seog Han, Sunwoo Kim 


ICAIIC 2021 Excellent Paper Award


 논문 제목

Analysis on the channel prediction accuracy of deep learning-based approach

▶ 논문 저자

Woo-Sung Son, Dong Seog Han



 논문 제목

iSPLInception: An Inception-ResNet Deep Learning Architecture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 논문 게재지 

IEEE Access

▶ 논문 저자

Mutegeki Ronald, Alwin Poulose, Dong Seog Han



 논문 제목

Hybrid Deep Learning Model Based Indoor Positioning Using Wi-Fi RSSI Maps for Autonomous Applications

▶ 논문 게재지

MDPI Electronics

▶ 논문 저자

Alwin Poulose, Dong Seog Han



 논문 제목

Active Sonar Target Classification with Power-Normalized Cepstral Coefficient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논문 게재지

Applied Science

▶ 논문 저자

Seungwoo Lee, Iksu Seo, Jongwon Seok, Yunsu Kim, Dong Seog Han


   

경북대학교,  과기부 ' 대학 ICT 연구센터' 인공지능 분야 선정

경북대학교 ISPL 연구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의 대학 ICT 연구센터의 인공지능 분야에 선정되었습니다. 

 논문 제목

UWB Indoor Localization Using Deep Learning LSTM Networks

▶ 논문 게재지

Applied Science

▶ 논문 저자

Alwin Poulose, Dong Seog Han


>READ MORE 


 논문 제목

Hybrid Beam Selection Scheme in Millimeter-Wave Beamspace MIMO-NOMA with Lens Antenna Array


▶ 논문 게재지

MDPI Electronics

▶ 논문 저자

Alwin Poulose, Dong Seog Han



 논문 제목

Active Sonar Target Classification with Power-Normalized Cepstral Coefficient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논문 게재지

Applied Science

▶ 논문 저자

Seungwoo Lee, Iksu Seo, Jongwon Seok, Yunsu Kim, Dong Seog Han


2020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Rate-Loss Mitigation for a Millimeter-Wave Beamspace MIMO Lens Antenna Array System Using a Hybrid Beam-Selection Scheme

논문 게재지

IEEE Systems Journal

논문 저자

Abdul latif sarker, Dong Seog Han

논문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8964409 

2019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Hybrid Indoor Localization Using IMU Sensors and Smartphone Camera

논문 게재지

Sensors

논문 저자

Alwin Poulose, Dong Seog Han

논문 링크

https://www.mdpi.com/1424-8220/19/23/5084

2019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Underwater Moving Target Classification Using Multilayer Processing of Active Sonar System

논문 게재지

MDPI Applied Sciences

논문 저자

Iksu Seo, Seongweon Kim, Youngwoo Ryu, Jungyong Park, Dong Seog Han

논문 링크

https://www.mdpi.com/2076-3417/9/21/4617 

2019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A Sensor Fusion Framework for Indoor Localization Using Smartphone Sensors and Wi-Fi RSSI Measurements

논문 게재지

MDPI Applied Sciences

논문 저자

Alwin Poulose, Jihun Kim, Dong Seog Han

논문 링크

https://www.mdpi.com/2076-3417/9/20/4379 

2019.7.18 IITP 인공지능 R&D 그랜드 챌린지 대회결과 

AI Challenge 대회에 참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음을 알려드립니다. 

트랙 1의 도전 문제

대회 최종 결과

2019.06.10 벨기에 루뱅대와 학술교류협력 MOU 조인식 개최

저희 연구실에서 세계적인 명문 벨기에 루뱅대(KU Leuven)와 학술교류협력 MOU 조인식 개최에 참여하였습니다.

유럽 루벵 대학과 교류 협력 체결 

저희 연구실에서 무선 통신 및 심층 학습 시스템분야에서 대학 간 교류 협력이 이루어졌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그 내용입니다.

https://iiw.kuleuven.be/nieuws/zuid-koreaanse-universiteiten-maken-hun-opwachting-in-leuven

2019.05.18 세명고등학교 실습

저희 연구실에서 세명고등학교의 학생들과 함께 아두이노 자율주행 RC카 조립 및 주행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세명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알아가는 좋은 경험이 되었길 바랍니다.

2019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Deep Learning-Based Channel Prediction in Realistic Vehicular Communications

논문 게재지

IEEE Access

논문 저자

Jhihoon Joo, Myung Chul Park, Dong Seog Han, Veljko Pejovic

논문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8653275

2019년 SCIE 논문 게재

논문 제목

An Indoor Position-Estimation Algorithm Using Smartphone IMU Sensor Data

논문 게재지

IEEE Access

논문 저자

Alwin Poulose, Odongo Steven Eyobu, Dong Seog Han

논문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8606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