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정책, 도시재생, 1인 가구, 스마트시티
전희정, 강승엽, 정수영, 김태완, 조철호, 주원영, 김지영, 허재필. 2021.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예측을 위한 딥러닝의 적용: 수도권 노인과 어린이 보행교통사고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7):115-127.
전희정 & 강승엽. 2021. 지역 간 건강불평등의 공간적 분포 - 지역 사망률을 통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 56(2): 228-238
강승엽 & 전희정. 2020.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자와 방문취업자 비교연구. 국정관리연구. 15(2): 1-33.
사회기반시설, 사회적 자본, 사회적 혼합
정현. 2024. 팬데믹의 인식과 대응이 지역주민의 신체활동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4(2): 197-217.
정현. 2020. 마을공동체 사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관악구 난곡동 합실안전마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9(1): 153~187.
Hee-Jung Jun & Hyun Jeong. 2018.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social-mix housing complexes: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Urban Policy and Research (SSCI), 36(3): 319-335.
도시정책, 주택정책
대표연구업적
전성윤&전희정. 2024. 국내 체류 외국인의 지역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네·도시·국가소속감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40(4): 1-18.
주택정책, 주거복지, 1인가구
김태완&전희정.2022.보행고령자 교통사고의 공간적 군집형성에 미치는 영향.국토계획.57(2):61-79.
김태완 & 전희정. 2021. 지역수준의 노인 자살 생각과 실제 자살률의 공간적 상호의존성: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4):1-23.
김태완 & 전희정. 2020. 강남·강북권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지역주민의 상향적 계층 이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 29(2): 145-171. 김태완. 2017.정책 유형별 확산 및 채택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주거정책, 도시정책, 지역균형발전, 스마트시티
김은지 & 정수영. 2023. 청년과 노년 가구의 주거 불안정 유형별 수준의 차이와 영향요인: 2010, 2020년 주거실태조사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6(3):61-87. (교신)
전희정 & 정수영. 2021. 근린의 경제적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과 공간적 상호의존성: 읍면동 수준의 주택가격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5):19-29. (교신)
정수영 & 전희정. 2019. 빈집 증가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54(7):89-102.
도시재생, 주택정책, 사회적 자본, 인구구조
김동현 & 전희정. 2021. 지역출산율의 공간적 상호의존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간패널분석을 활용하여 . 국토계획. 56(4), 173-193.
김동현 & 전희정. 2021.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환경요인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2): 303-336.
김동현 & 전희정. 2019. 지방정부 산업진흥 예산결정의 공간적 상호작용. 한국행정학보. 53(4): 177-211.
주택정책, 주거복지, 공공임대주택, 지역갈등, 정책평가
한수정 & 전희정. 2018.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성향점수매칭,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2018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종합평가 우수등재 학술지), 27(4): 67-102.
한수정 & 전희정. 2018. 공공임대아파트 거주자와 일반아파트 거주자의 정신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6(2): 313-341.
권향원 & 한수정. 2016. 정책네트워크와 정부 간 갈등-KTX 오송역 입지정책을 둘러싼 공공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2): 391-428.(교신)
도시정책, 주택정책
김은지, 정수영, & 전희정. 2024. COVID-19 팬데믹 직전과 직후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의 변화 연구. 지역연구, 40(1):19-35.
김은지 & 정수영. 2023. 청년과 노년 가구의 주거 불안정 유형별 수준의 차이와 영향요인: 2010, 2020년 주거실태조사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6(3):61-87.
김은지 & 전희정. 2023. 주거빈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및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6(2): 23-45.
건강도시, 환경정책
진인화&전희정. 2024. 1인가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 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40(1):69-88
진인화 & 전희정. 2021. 근린환경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국정관리연구.
진인화 & 전희정. 2023. 주거급여 수급 및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2016년과 2020년 주거실태조사 자료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개인형이동수단(PM), 건강도시, 사회적 자본, 안전도시
강서윤 & 전희정. 2022. 사회적 자본이 안전인식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6(2), 395-427.
강서윤 & 전희정. 2021. 자전거 이용여부 및 이용목적과 주관적 건강인식 간 관계 : 성별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4(4), 43-71.
강서윤 & 이숙종. 2022. 재난 상황에서 다면적 신뢰가 주관적 안전인식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보. 31(1), 255-286.
주거복지정책, 도시재생, 주민참여, 사회자본
박서연 & 전희정. 2019.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국토계획.
박서연 & 전희정. 2019. 사회자본과 정책인지도가 주민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18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종합평가 우수등재 학술지), 28(1): 195-221.
Hee-Jung Jun & Seoyeon Park. 2019. The effect of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social capital among individuals on physical activit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SSCI), 16(49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