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7일(화) 고려대학교에서 글로벌센터 과제 2차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각 연구실에서 연구계획서 내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연구진행 상황 발표와 동시에 1차년도 예상 연구성과물을 제시하였습니다.
2025년 1월 10일(금) 고려대학교에서 제 2회 식품생물공학연구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도 참여하여 세미나를 듣고, 이동영 석사과정생이 첫 발표를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습니다.
세미나 이후에는 연구 주제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5년 1월 14일(화) 충남대학교에서 우수신진과제 1차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현 연구진행상황과 향후 연구계획에 대한 발표를 통해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었습니다.
2025년 2월 1-2일(토-일)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대학원 MT에 참여했습니다.
타연구실 대학원생분들과 친목을 다질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교류가 오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5년 3월 4-8일(화-토)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JSBBA(Japan Society for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Agrochemistry)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교수님께서 'Japan-Korea network on microbial enzymes' session에서 'Cooperative Degradation of Red Seaweed Agarose by Human Gut Bacteria and Its Implications for Health Benefits' 라는 연구주제로 발표하셨습니다.
대학원생들도 포스터 발표를 통해 외국인 학생들과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5년 3월 11일(화) 고려대학교에서 global center 과제 3차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실별로 현 연구 진행상황 발표와 동시에 IBMC(Internaional Bioeconomy Macroalgae Center)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2025년 4월 18일(금) 고려대학교에서 5차년도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과제착수보고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의 이동영 석사과정생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를 발표하여 현 연구진행 상황 및 추후연구에 대해 보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5년 5월 1-2일(목-금) UC Berkeley에서 IBMC workshop이 진행되었습니다.
미국을 주관으로 총 7개국(노르웨이, 이스라엘, 미국, 스코틀랜드, 캐나다, 한국, 일본) 14개 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를 발표함으로써 해조류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제적 실행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홍조류와 갈조류의 식품 및 치료 산업을 위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2025년 7월 2-4일(수-금) 광주에서 열린 한국식품과학회에 참석했습니다.
교수님께서 'Sustainable Bio-manufacturing of Food Materials' 세션에서 'Translating the cooperative red seaweed degradation pathway into engineered Saccharomyces boulardii toward in situ production of 3,6-anhydro-L-galactose' 를 주제로 발표하셨습니다.
이동영 대학원생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활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개발과 관련하여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2025년 8월 12일(화) 경북대학교에서 global center 과제 4차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경북대학교, 부경대학교 교수님들과 대학원생분들께서 모두 참석하여 연구실별로 2차년도 연구진행상황 및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