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

<PEER-REVIEWED>

* 교신저자

2024

Park, H., Joo, S., & Kim, H. (2024.06.22.). Understanding the interplay of religion,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An analysis of dynamics in individual and dyadic contexts. Research on Aging, 46(7-8), 426-436. https://doi.org/10.1177/01640275241237539

Joo, S., Lee, Y., & Kim, H. K. (2024.06.03.). Characterizing different patterns of digital competenc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Findings from South Korea. Aging & Mental Health, 28(6), 858-865. https://doi.org/10.1080/13607863.2023.2277872


2023

신혜림·김현경·주수산나 (2023.12.30.). 누적된 고립감을 감내하며 엄마되기: 전업모의 COVID-19 팬데믹 시기 부모기 전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30(4), 131-150. https://doi.org/10.15284/kjhd.2023.30.4.131

Yoon, D., Gallo, H., Gassoumis, Z., & Joo, S.* (2023.12.18.).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ntrol in the associations between remote contacts and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Research on Aging, 46(2), 167-175. https://doi.org/10.1177/01640275231206484

정윤교·박미연·이지혜·김현경·주수산나* (2023.09.15.). 청소년의 수면 문제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6(3), 91-111. https://doi.org/10.35574/KJDP.2023.9.36.3.91

Chai, H., Jester, D., Lee, S., Joo, S., Umberson, D., & Almeida, D. (2023.08.31.). Sleep quality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bereavement and heart rate variabilit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6(4), 622–631. https://doi.org/10.1007/s10865-022-00388-1

강미선·정인혜·윤도경·주수산나*·김현경 (2023.08.01.). 노년기 디지털 콘텐츠 제작 경험을 통하여 살펴본 능동적인 디지털 에이징 과정. 한국노년학, 43(4), 571-589. https://doi.org/10.31888/JKGS.2023.43.4.571

윤도경·박하영·최봄이·강미선·정인혜·주수산나* (2023.08.01.). 노년기 기술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2020년. 한국노년학, 43(4), 393-419. https://doi.org/10.31888/JKGS.2023.43.4.393

정인혜·주수산나*·신혜림·김현경 (2023.06.30.). 예측할 수 없는 여정 속 우회로 찾기: COVID-19 팬데믹 시기에 학부모로 전이한 맞벌이 부모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가족과문화, 35(2), 1-38.  https://doi.org/10.21478/family.35.2.202306.0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80035

유계숙·주수산나*·박하영 (2023.05.31.). 중년 기혼남녀의 성공적 결혼 조건에 대한 태도와 결혼만족도 간 관련성. Human Ecology Research, 61(2), 219-231. http://dx.doi.org/10.6115/her.2023.015

주수산나*·강미선·정인혜·조서진 (2023.04.30.).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 28(1), 33-53. https://doi.org/10.21321/jfr.28.1.3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607

이예슬⋅김현경⋅주수산나* (2023.02.28.). 디지털 소통능력과 디지털 이용중재의 관계: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아동학회지, 44(1), 1-13. https://doi.org/10.5723/kjcs.2023.44.1.1


2022

Kim, J., Joo, S.*, Lee, K., & Jun, H. (2022.12.31.). Family values in South Korean society: Marital and sexual values in gender, age, and Protestantism contexts. Journal of Population and Social Studies, 30, 54-71. http://doi.org/10.25133/JPSSv302022.004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 (2022.10.31.). 디지털 파도 앞에 선 고령자: 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 42(5), 915-935. https://doi.org/10.31888/JKGS.2022.42.5.915

조서진주수산나* (2022.09.30.). 중년부부의 해결중심사고가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30(3), 357-379. http://dx.doi.org/10.21479/kaft.2022.30.3.357

김성희⋅주수산나*⋅박하영 (2022.08.31.). 학교 내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위기 아동 지원 사업 참여 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A재단의 ‘위기 아동 지원 사업 '선생님과 함께 장보기’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3(2), 307-343. https://doi.org/10.22836/kaswpr.2022.13.2.307

김율리⋅주수산나*⋅이예슬⋅김현경 (2022.08.30.).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감의 매개효과: APIMeM 모형을 활용하여. Human Ecology Research, 60(3), 471-481. http://dx.doi.org/10.6115/fer.2022.031

Yoo, G., & Joo, S.* (2022.06.30.). Love for a marriage story: The association between love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 adulthood.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31(6), 1570-1581. https://doi.org/10.1007/s10826-021-02055-6

김성희⋅주수산나*⋅신혜림 (2022.06.30.).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게임 및 소셜 미디어 중독의 관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9(2), 35-55. http://dx.doi.org/10.15284/kjhd.2022.29.2.35

최봄이⋅박하영⋅주수산나⋅임윤묵⋅김대은⋅김창오⋅김광준⋅이창민⋅김윤명 (2022.06.01.). 노인의 운동참여 동기 유형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42(3), 713-729. https://doi.org/10.31888/JKGS.2022.42.3.713

이예슬·주수산나*·김현경 (2022.04.01.).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2(2), 319-337. https://doi.org/10.31888/JKGS.2022.42.2.317

Randall et al. (2022.01.31.). Coping with global uncertainty: Perceptions of COVID-19 stress, relationship quality, and dyadic coping for romantic partners across 27 countri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9(1), 3-33. https://doi.org/10.1177/02654075211034236


2021

박하영·주수산나*·전혜정 (2021.12.31.). 노년기 종교적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다층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9(4), 13-30. https://doi.org/10.7466/JFBL.2021.39.4.13

이예슬·주수산나*·김현경·박하영 (2021.12.31.). 중년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노동 참여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39(4), 31-47. https://doi.org/10.7466/JFBL.2021.39.4.31

Kim, S. H., & Joo, S.* (2021.11.03.). Does marital satisfaction matter for dyadic associations between multimorbidity and subjective health among Korean married couples in middle and later life?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52(3), 508-535. https://doi.org/10.3138/jcfs.52.3.09

최봄이·주수산나*·전혜정 (2021.10.31.).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41(5), 825-841. https://doi.org/10.31888/JKGS.2021.41.5.825

한민진·주수산나*·김현경 (2021.10.31.). 부부가구 남녀 노인의 배우자와의 돌봄 제공과 수혜가 우울감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한국노년학, 41(5), 667-685. https://doi.org/10.31888/JKGS.2021.41.5.667

주수산나·최봄이·전혜정 (2021.10.31.).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 관련 요인. 한국융합과학회지, 10(5), 291-311. https://doi.org/10.24826/KSCS.10.5.19

박지연·주수산나* (2021.09.30.).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9(3), 511-533. http://dx.doi.org/10.21479/kaft.2021.29.3.605

윤도경·주수산나* (2021.09.30.). 노인의 하지 착용형 로봇에 관한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령친화환경의 완충효과. 노인복지연구, 76(3), 91-119. https://doi.org/10.21194/kjgsw.76.3.202109.91

김민선·주수산나* (2021.09.30.).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가족과문화, 33(3), 28-61. https://doi.org/10.21478/family.33.3.202109.002

이설아·전혜정·주수산나* (2021.06.30.). 이혼이 성인 남성과 여성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33(2), 66-88. https://doi.org/10.21478/family.33.2.202106.003

주수산나·유계숙 (2021.03.31.). COVID-19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6(1), 21-3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9243

Lee, S. A., Joo, S.*, Chai, H. W., & Jun, H. J. (2021.02.11.). Patterns of multimorbidity trajectories and their correlates among Korean older adults. Age and Ageing, 50(4), 1336–1341. https://doi.org/10.1093/ageing/afab002

송시영·박하영·주수산나·김성희 (2021.01.31.). 미혼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인식: 육아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4), 77-97. https://doi.org/10.21321/jfr.25.4.77


2020

윤도경·전혜정·주수산나·이선아 (2020.12.31.). 여성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관련 요인: 잠재계층성장모형의 적용. 한국노년학, 40(6), 1307-132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307

이예슬·전혜정·박하영·주수산나 (2020.12.31.). 노년기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6), 1287-130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287

유계숙·주수산나*·김종우 (2020.09.3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기혼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 경험: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106(3), 5-3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0562

박하영·주수산나*·김종우·송시영 (2020.9.30.).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인식. 가족과 문화, 32(3), 79-107. https://doi.org/10.21478/family.32.3.202009.003

정인혜·전혜정·강미선·주수산나 (2020.08.31.).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온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 시행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35-54. https://doi.org/10.22626/jkfrma.2020.24.3.003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2020.06.30.).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3), 459-47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3.459

공희진·전혜정·주수산나 (2020.06.30.).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3), 511-530. https://doi.org/10.31888/JKGS.2020.40.3.511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20.3.31.). 중년부부의 성역할 태도 유사성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8(1), 127-141. https://doi.org/10.7466/JKHMA.2020.38.1.127

주수산나·전혜정 (2020.2.28.).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악력 궤적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40(1), 90-109. (박사학위논문 일부 요약) https://doi.org/10.31888/JKGS.2020.40.1.91

Joo, S., Chai, H., Jun, H. J., & Almeida, D. M. (2020.01.20.). Daily stressors facilitate giving and receiving of emotional support in adulthood. Stress and Health, 36, 330-337. https://doi.org/10.1002/smi.2927


2019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2019.5.31.).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2), 347-362. https://doi.org/10.31888/JKGS.2019.39.2.347

이가연·주수산나*·김종우 (2019.03.31.).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개신교 미혼 청년의 연애와 성. 가족과 문화, 31(1), 56-84. https://doi.org/10.21478/family.31.1.201903.003


2018

이가연·전혜정·주수산나 (2018.12.3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가구소득에 따른 돌봄대가 수혜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30(4), 1-28. https://doi.org/10.21478/family.30.4.201812.001

주수산나·전혜정·박하영 (2018.08.20.).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한국노년학, 38(3), 551-567. https://doi.org/10.31888/JKGS.2018.38.3.551

김종우·주수산나* (2018.04.30.). 학교상담현장에서 인식하는 학업중단숙려제의 실제: 근거이론 접근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9(2), 1-18. https://doi.org/10.15703/kjc.19.2.201804.107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18.04.30.). 남녀노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1), 21-47. https://doi.org/10.21321/jfr.23.1.25

주수산나·전혜정·최봄이 (2018.02.28.).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38(1), 243-25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19828


2017

주수산나·김종우 (2017.12.26.).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이: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6), 1-25. https://doi.org/10.15703/kjc.18.6.201712.499

김종우·주수산나* (2017.04.18.). Foucault의 통치성 관점을 통해 분석한 청소년 문제 담론의 변화. 상담학연구, 18(2), 223-243. https://doi.org/10.15703/kjc.18.2.201704.223


2016

주수산나·전혜정 (2016.08.29.).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8(3), 60-87. https://doi.org/10.21478/family.28.3.201609.003

최봄이·전혜정·주수산나 (2016.06.28.). 은퇴 노인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삶 만족도와의 관계: 종단적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 21(2), 77-9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9984

신혜림·주수산나* (2016.03.30.).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1(1), 77-98. https://doi.org/10.21321/jfr.21.1.77


2015

주수산나·전혜정·왕순경 (2015.10.16.). 자기분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0(3), 113-13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43229


2014

주수산나·전혜정 (2014.10.18.). 노인부부가구 남편과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 한국가족관계학회, 19(3), 193-21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6166

주수산나·전혜정 (2014.05.21.). 노인 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노인복지연구, 64, 207-233. (석사학위논문 요약) https://doi.org/10.21194/kjgsw..64.201406.207


2013

주수산나·전혜정·채혜원 (2013.12.11.).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상호영향: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가족과 문화, 25(4), 91-119. https://doi.org/10.21478/family.25.4.201312.004


<UNDER-REVIEW>

* 교신저자

Kim, S., Joo, S.*, Kim, J., & Hwang, W. (under review). Curing infertility: Experiences of women with infertility in South Korea.

Joo, S., Lee, S. A., Chai, H. W., & Kim, H. K. (under review). The dyadic interplay between binge drinking and negative couple interactions among Korean parents during their child's school transition. 


<IN PREPARATION>

* 교신저자

Joo, S., Lee, S., Chai, H., Kim, H., & Almeida, D. (in preparation). The interplay between stress and sleep affects headaches in daily life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ACADEMIC PRESENTATION

<ORAL PRESENTATION>


2024

Kim, H. K., Joo, S., Lee, Y., Lee, J., Lee, K. S. (under review - 2024.11.). Multimodal Approaches to Stress in Childre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NCFR) 2024 Annual Conference, Bellevue, Washington, USA, November 20-23, 2024. 

Joo, S., Park, H., & Lee, S. A. (under review - 2024.11.). Partner's daily social control and modeling behaviors for physical activity in later lif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4 Annual Scientific Meeting, Seattle, Washington, USA, November 13-16, 2024. 

Lee, Y., Kim, D., Joo, S., Yorke, C., & Kim, H. K. (accepted - 2024.06.). The role of digital parenting among children with dysregulated ange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27th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June 16-20th, Lisbon, Portugal. Symposium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 (2024.05.). 노년기 Aging in Place의 필수요소와 능동적 실현 전략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노년학회 2024년 전기학술대회. 2024.05.17. 수원컨벤션센터, 경기도, 대한민국. 구두발표


2023

김성희·주수산나 (2023.11.). 가족 관계 유형에 따른 부모 돌봄 인식.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3.11.03. 온라인 학술대회. 구두발표


2022

송시영·주수산나·이예슬·강미선·김현경 (2022.12.).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온·오프라인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2022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2.12.02. 온라인 학술대회. 구두발표

Kim, H. K., Joo, S., Oh, S. J., Lee, J., & Lee, Y. (2022. 11.) Understanding Generation Alpha in South Korea: The Alpha Generation Digital Daily Survey (ADDS).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NCFR) 2022 Annual Conference, USA, Minneapolis, Minnesota, USA, November 16-19, 2022. 

주수산나·강미선·정인혜·조서진 (2022.11.).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11.11. 온라인 학술대회

Lee, C., Kang, B., Joo, S., Kim, Y., Kim, D., Kim, G., & Lim, Y. (2022.10.). Mobility Evaluation System Based on Anomaly Detection Using an Exercise Exoskeleton Robot. 2022 World Congress of Gerontechnology, Daegu, Korea, October 24-26, 2022.

Kang, B., Lee, C., Joo, S., Kim, Y., Kim, D., Kim, G., & Lim, Y. (2022.10.). Evaluation Method Using Muscle Activation of Resistance Exercise with Wearable Robot. 2022 World Congress of Gerontechnology, Daegu, Korea, October 24-26, 2022.

Choi, B., Park, H., Joo, S., Kim, Y., & Kim, H. (2022.06.) Digital technology use and social iso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age-friendly environments.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 2022, Online.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 (2022.05). 디지털 파도 앞에 선 고령자: 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연구.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윤도경·박하영·최봄이·강미선·정인혜·주수산나 (2022.05). 노년기 기술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2000~2020년.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Lee, S., Joo, S., Chai, H., & Almeida, D. M. (2022.03.) Associations among salivary cortisol, sleep, and headaches in daily life. American Psychosomatic Society (APS)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USA, Long Beach, California, March 23-26, 2022.


2021

Choi, B., Jun, H., & Joo, S. (2021.11.)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People: The Buffering Effects of Neighborhood Social Cohesion.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USA, Phoenix, Arizona, November 10-14, 2021.

Chai, H. W., Jester, D. J., Lee, S., Joo, S., Umberson, D. J., & Almeida, D. M. (2021.11.) Sleeping it Off: Sleep Quality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Bereavement and Heart Rate Variabilit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USA, Phoenix, Arizona, November 10-14, 2021.

주수산나·정인혜·신혜림 (2021. 07.).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의 주체와 비국가 행위자들의 책무성. 한국인권학회 학술대회. 2021. 07.02-03. 온라인.

김민선·주수산나 (2021. 06.).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방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021년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2021. 06. 05. 온라인.

최봄이·전혜정·주수산나 (2021. 05.).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노인 기술수용 영향요인: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중심으로. 2021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1. 05. 28. 온라인.

Lee, S., Joo, S., Chai, H., & Almeida, D. M. (2021. 05.). Multimorbidity Trajector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Socioeconomic Status across Later Adulthood: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Annual Meeting. May 5-8th 2021, Online.


2020

유계숙·주수산나 (2020. 11.). COVID-10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2020. 11. 06. Online.

Joo, S., Lee, S., Chai, H., Jun, H., & Almeida, D. M. (2020. 11.). When stress gets on your nerves: Associations among stress severity, sleep, and headache in daily lif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20, Online.

Lee, S., Joo, S., Chai, H., Jun, H., & Almeida, D. M. (2020. 11.).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aily events and sleep duration in adulthood.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20, Online.

Chai, H., Joo, S., Lee, S., & Almeida, D. M. (2020. 11.). Daily Emotional Well-being and Cardiometabolic Syndrome in Adulthood: The Role of Sleep Deficienc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20, Online.


2019

주수산나·전혜정 (2019. 11.).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악력 궤적의 매개효과.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2019. 11. 29.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대한민국.


2018

Joo, S., Chai, H., Jun, H., & Almeida, D. (2018. 11.). Daily stress facilitates engagement in emotional support exchange throughout adulthood.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Joo, S., Chai, H., Kong, J., & Almeida, D. (2018. 11.). The effects of early paternal loss on grip strength among Korean men and women in middle and later lif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Almeida, D., Chai, H., Joo, S., Sin, N., & Charles, S. (2018. 11.). Living a stressor-free daily life: Prevalence and psychosocial correlat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박하영·주수산나·김종우 (2018. 10.).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에 관한 인식. 한국가족학회-일본비교가족사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2018. 10. 27.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김성희·주수산나 (2018. 10.). 취업 미혼청년의 일·가족 영역이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일본비교가족사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2018. 10. 27.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주수산나·전혜정·박하영 (2018. 05.).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 05. 11.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Chai, H., Joo, S., & Almeida, D. M. (2018. 03.). Physical symptoms are about stressful persons, not stressful days. American Psychosomatic Society’s 2018 Annual Scientific meeting. March 10th 2018. Kentucky, United States.


2017

Chai, H., Joo, S., & Almeida, D. M. (2017. 11.). Exploring Parent-Child Relationship of Korean Retirees: Receiving Support Matters for the Young-Old. Research Network on Education, Family, and Inequality in Korea (EFIK) Graduate Student Conference. Nov 3-4th 2017. Philadelphia, United States. 

Kim, J., & Joo, S. (2017. 11.). The Reality of ‘Institutional Delay before School Drop-out’ in School Counseling Field: Based on Grounded Theory from Counselors at Wee-class and Wee-center. Research Network on Education, Family, and Inequality in Korea (EFIK) Graduate Student Conference. Nov 3-4th 2017. Philadelphia, United States. 

주수산나·최봄이 (2017. 11.).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회 연차추계학술대회. 2017. 11. 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주수산나 (2017. 11.). 중년부부의 성역할태도 유사성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 11. 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ORAL PRESENTATION) 


2016

Joo, S., Jun, H., & Chai, H. (2016. 11.).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elderly coupl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9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6-20th 2016, New Orleans Marriott, New Orleans, LA, United States.

주수산나·전혜정 (2016. 05.).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활용한 분석.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 05. 28. 성균관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5

Joo, S., & Sin, H. (2015. 11.). Exploration of mothers’ and fathers’ images and roles shown by popular childcare books in Korea.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7 th Conference. November 11-14th 2015, Hyatt Regency,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012

Joo, S., Jun, H., & Chai, H. (2012. 07.). Parental monitoring, self-control, and aggression prevent deviant behaviour during adolescence: A Korean longitudinal study.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graphies of Children, Young People and Familie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July 11-13th 2012, Singapore.

Chai, H., Jun, H., & Joo, S. (2012. 07.). Trajectories of emotion regulation across early adolescence and its effect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graphies of Children, Young People and Familie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July 11-13th 2012, Singapore.



<POSTER PRESENTATION>


2024

Park, H., Joo, S., & Lee, S. A. (2024.11. accepted). Gendered pathway to life satisfaction via helping spouses with digital technology us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4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3-16th 2024, Seattle, WA, United States. 

Joo, S., Kim, J., Lee, K. S., Kim, S. K., Lee, C., Lee, G., Lim Y. M., Park, J., Rhee, B. S., & Kim, H. K. (2024.07. accepted). Public perspectives on play across the life span: Findings from text mining analysis of news media in South Korea. World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WAPOR) 77th and WAPOR Asia Pacific 7th joint annual conference, July 28-31th, Seoul, South Korea. POSTER

Joo, S., Sin, H., Kim, G., Jin, I., & Kim, H. K. (2024.07. accepted). Understanding intergenerational gaps from both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view in South Korea: Using the latent space item response model and spectral clustering. World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WAPOR) 77th and WAPOR Asia Pacific 7th joint annual conference, July 28-31th, Seoul, South Korea. POSTER

Lee, Y., Joo, S., & Kim, H. K. (2024.06. accepted). Effects of gender-specific interaction patterns of anxiety and coping types on daily stress among children in Korea. The 27th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June 16-20th, Lisbon, Portugal. POSTER

Lee, J., Joo, S., Lee, Y., Kim, H. K., & Lee, C. (2024.06. accepted). Daily negative events and stress: Gendered moderating role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leep efficiency. The 27th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June 16-20th, Lisbon, Portugal. POSTER

주수산나·박하영 (2024.05.). 중·노년기 부부의 일상적 디지털 스트레스와 대처. 한국노년학회 2024년 전기학술대회. 2024.05.17. 수원컨벤션센터, 경기도, 대한민국. POSTER

정규형·송도훈·주수산나·남기철·박하영·이재웅 (2024.05.).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발전 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2024.05.10.-11. 전북대학교 국제컨벤션센터, 대한민국. POSTER

Lee, Y., Joo, S., & Kim, H. K. (2024. 04.). Dealing with anxiety first: The role of anxiety in the association between coping strategy and daily stress among Generation Alpha in South Korea.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SRA) 2023 annual meeting, April 18-20th 2024, Chicago, Illinois, United States.


2023

주수산나·신혜림·김현경 (2023. 12.). 디지털 노마드의 All-Line 일상과 사회적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년 추계학술대회. 2023.12.02.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신혜림·주수산나·김현경 (2023. 12.). 부모기 전이와 전업모 전이의 이중전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년 추계학술대회. 2023.12.02.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Lee, Y., Song, S., Joo, S., & Kim, H. K. (2023. 11.). How can we solve the loneliness problems with intergenerational digital divid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8-12th 2023, Tampa, Florida, United States.

Choi, B., Park, H., Joo, S., & Kim, Y. (2023.06.). Daily Walking in Age-Friendly Environment Promotes Successful Aging.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June 12-14, 2023, Yokohama, Japan.

 Park, H., Choi, B., Joo, S., & Kim, Y. (2023.06.). Age-friendly Environment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Aging Anxiety.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June 12-14, 2023, Yokohama, Japan.

Joo, S., Park, H., Choi, B., & Kim, Y. (2023.06.). How Can Help Older Adults Who Have Technology Anxiety?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June 12-14, 2023, Yokohama, Japan. 

Joo, S., Sin, H., Jung, Y., & Kim, H. (2023.06.). Age Inclusion and Age Equality Promote Social Integration: Comparing Young and Old Generation.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June 12-14, 2023, Yokohama, Japan. 

Lee, Y., Song, S., Kang, M., Joo, S., & Kim, H. (2023.06.). How Age Affects Loneliness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June 12-14, 2023, Yokohama, Japan.

Oh, S. J., Song, S. Y., Lee, J., Lee, Y., Joo, S., & Kim, H. K. (2023. 05.) Gender-specific relationships of physical and digital activities and executive function among children in the digital age: Findings from Generation Alpha Digital Daily Survey (ADDS) in Korea. 202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Annual Meeting, May 20-24,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Lee, J., Joo, S., & Kim, H. K. (2023. 04.).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sleep quality and executive funct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SRA) 2023 annual meeting, April 13-15, San Diego, California, USA.

Jung, Y., Park, M., Lee, J., Joo, S., & Kim, H. K. (2023. 04.).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problems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youths.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SRA) 2023 annual meeting, April 13-15, San Diego, California, USA.

Song, S. Y., Oh, S. J., Lee, J., Lee, Y., Joo, S., & Kim, H. (2023. 03.)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n online-formed peer relationships in generation Alpha: Findings from ADDS project.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 2023 Biennial Meeting, March 23-25, Salt Lake City, Utah, USA.


2022

이지혜·주수산나·주병용·김현경 (2022. 12.). 1인 가구 대학생의 SNS이용빈도가 대인관계의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SNS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년 추계학술대회. 2022.12.02.-05. 온라인 학술대회. 포스터.

주수산나·이예슬·김현경 (2022.12.). 노인의 디지털 시민성 유형에 따른 외로움 및 온-오프라인 사회적 관계. 한국노년학회 2022 후기학술대회. 2022.12.02. 온라인 학술대회. 포스터.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임윤묵·김대은·김창오·김광준·이창민·김윤명 (2022.12.). 건강 노인의 선택, 적정화, 보완(SOC)을 통한 운동 참여 지속 경험. 한국노년학회 2022 후기학술대회. 2022.12.02. 온라인 학술대회. 포스터.

Joo, S., Chai, H., Lee, J., Kim, H., & Umberson, D. (2022.11.) Empathic response and marital quality for same- and different-sex midlife couples: Mediating role of dyadic cop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Lee, Y., Kang, M., Joo, S., & Kim, H. (2022.11.) How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Joo, S., Choi, B., Park, H., Lee, C., Kim, Y., & Kim, H. (2022.11.) Serial mediation by digital assistant, internet self-efficacy, digital citizenship, and unmet need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Choi, B., Park, H., Joo, S., Kim, Y., & Kim, H. (2022.11.) Digital technology use and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las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Park, H., Choi, B., Joo, S., Kim, Y., & Kim, H. (2022.11.) Digital technology use and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e mediating role of digital literac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Joo, S., Park, H., Choi, B., Lee, C., Kim, Y., & Kim, H. (2022.06.) Th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unmet need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 2022, Online.

Park, H., Choi, B., Joo, S., Kim, Y., & Kim, H. (2022.06.)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igital literacy in later life?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 2022, Online.

정인혜·주수산나·신혜림·김현경 (2022.05.) 예측할 수 없는 여정, 각자 몫으로 남겨진 우회로 찾기: COVID-19 팬데믹 시기 맞벌이 부모의 초등 전이 경험. 2022년 대한가정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22.05.28. 온라인.

주수산나·김성희 (2022.05.) 군인가족의 가족관계 유형이 여성 배우자의 고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지역 맥락의 조절효과. 2022년 대한가정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22.05.28. 온라인.

김율리·주수산나·이예슬·김현경 (2022.05.)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감의 매개효과: APIMeM 모형을 활용하여. 2022년 대한가정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22.05.28. 온라인. 

강미선·정인혜·윤도경·주수산나·김현경 (2022.05.) 능동적인 디지털 에이징 과정: 디지털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노인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윤도경·송시영·주수산나·김현경 (2022.05.) 마음과 다른 몸, 살살 달래면서 걷기: 노인의 이동성 어려움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김성희·주수산나·신혜림 (2022.05.)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게임 및 SNS 중독의 관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2022년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연합학술대회. 2022.04.29.-05.05. 온라인.

이예슬·주수산나·김현경 (2022.05.)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의 디지털 소통능력 유형과 디지털 이용제한. 2022년 한국아동학회 춘계연합학술대회. 2022.04.29.-05.05. 온라인.

조서진·주수산나 (2022.05.) 중년부부의 해결중심사고가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2022년 한국가족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2022.04.29. 온라인.


2021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 (2021.11.) 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활용 다양성 및 효능의 다중매개효과.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최봄이·박하영·주수산나 (2021.11.)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령자 디지털정보화의 영향요인.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이예슬·주수산나·김현경 (2021.11.)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강미선·주수산나·김현경 (2021.11.) 인지욕구가 디지털 정보의 비판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령 집단의 조절효과.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정인혜·주수산나 (2021.11.) 노인의 인지욕구 수준이 디지털 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육수준의 조절효과.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송시영·주수산나·김현경 (2021.11.) 베이비부머와 해방전쟁 세대의 소비패턴 유형과 전이 양상.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Joo, S., Lee, C., Kim, Y., Kim, C. O., Lim, Y. M., & Jun H. J. (2021. 11.) Understanding Technology Anxiety by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ducational Context.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Joo, S., Lee, C., Kim, K. J., Kim, D., & Jun, H. J. (2021. 11.)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ttitude toward Technology Differs by Educational Level.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Song, S., Jun, H., Joo, S., & Yoon, D. (2021. 11.) Changes in Consumption Expenditures among Baby-boomers and Young-olds: Latent Transition Analysi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Joo, S., Kim, S., Lee, C., Kim, C. O., Lim, Y. M., Jun, H. J. (2021. 11.) Who Matters For The Subjective Perceptions Toward Gerontechnolog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Joo, S., Kim, S., Lee, C., Kim, K. J., Kim, D., Kim, Y., & Jun, H. (2021. 11.) The Association Between Spousal Support And Attitude For Gerontechnology Via Facilitating Condition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Park, H., Joo, S., Kim, D., Kim, Y., & Jun, H. (2021. 11.)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acilitating Conditions to Use Gerontechnolog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Park, H., Joo, S., Kim, K. J., Kim, C. O., Lim, Y. M., & Jun, H. (2021. 11.)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ive Health and Attitude about Aging on Gerontechnology Acceptanc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Choi, B., Joo, S., Lee, C., Kim, K. J., Kim, D., Kim, Y., & Jun, H. (2021.11.) Factors Associated With Latent Classes of Exercise Motivation Among Physically Active Older Adul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Choi, B., Joo, S., Lee, C., Kim, C. O., Lim, Y. M., & Jun, H.(2021.11.)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Exoskeleton for exercis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railt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Park, H., Jun, H., & Joo, S. (2021. 11.) Cross-Leve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sity and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 2021, Online.

Kim, S., Joo, S., & Kim, J. (2021. 11). “Curing” infertility: Experiences of women with infertility in Korea.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Conference. Nov 2 – 5th 2021, Online. 

박하영·주수산나·박지연 (2021. 10). 목회자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부권력의 상호매개효과. 2021년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2021. 10. 30. 온라인.

Samrock, S., Sawrey, B., Hocker, L., Kline, K., Chiarolanza, C., Sallay, V., Joo, S., Randall, A.K. (2021. August 12-14). Identifying Perceptions of COVID-19 Stress for U.S. Adults in Romantic Relationships. APA 2021 Convention, United States. 

주수산나·전혜정·최봄이 (2021. 05.). 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사용의향. 2021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1. 05. 28. 온라인.

박지연·주수산나 (2021. 04.).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2021년 한국가족치료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21. 04. 30. 온라인.


2020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20. 11). 노년기 종교활동 참여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완전매개효과. 2020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0. 11. 27. 온라인.

Park, H., Jun, H., Joo, S., & Lee, S. (2020. 11.). Who prepares more for end-of-lif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nd-of-lif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18, Online.

Lee, K., Jun, H., Joo, S., & Lee, S. (2020. 11.).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attenuates the link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ed affect.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18, Online.

Song, S., Jun, H., Joo, S., & Lee, S. (2020. 11.). Gendered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Middle-aged Korean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18, Online.

Lee, S., Joo, S., Lee, K., Chai, H., Jun, H., & Almeida, D. M. (2020. 11.). The Stress Buffering Effect of Daily Physical Activity on Daily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7th 2018, Online.

이설아·주수산나·전혜정 (2020.10). 자녀양육기 부부의 과음과 부부갈등의 양방향적 인과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2020. 10.17. 온라인, 서울, 대한민국.


2019

공희진·전혜정·주수산나 (2019. 11.).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2019. 11. 29.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대한민국.

윤도경·전혜정·주수산나 (2019. 11.).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사회활동 참여가 인지기능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2019. 11. 29.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대한민국.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19. 11.).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 부부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Coarsened Exact Matching의 활용.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2019. 11. 29.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대한민국.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2019. 11.).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당뇨병 발병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2019. 11. 29.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대한민국.

Kim, S., Jun, H., & Joo, S. (2019. 11.). Does educational assortative mating reproduce income inequality?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Annual Conference. November 20-23rd 2019, Fort Worth, TX, United States.

Chai, H., Jester, D. J., Lee, S., Joo, S., & Almeida, D. M. (2019. 11.). Loss, sleep, and heart rate variability: Gender differenc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3-17th 2019, Austin, TX, United States.

Joo, S., Chai, H., Jun, H. (2019. 11.). Mediating effect of grip strength trajectory on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weakness: A dyadic approach.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3-17th 2019, Austin, TX, United States.

Lee, S., Jun, H., Joo, S., Chai, H. (2019. 11.). Identifying patterns of multi-morbidity trajectory and their predictors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3-17th 2019, Austin, TX, United States.

이가연·전혜정·주수산나·김종우 (2019. 05.). 연령, 성별, 종교에 따른 결혼가치관과 성가치관의 차이. 가정관리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 2019. 05. 25.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강미선·원유빈·이가연·김성희·주수산나·전혜정 (2019. 05.). 중·노년기 부부의 교육수준에 따른 인지기능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9. 05. 24.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Chai, H., Joo, S., Verdery, A. M., & Almeida, D. M. (2019. 04.). Life course trajectories of grip strength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time use: An examination using Time-Varying Effect Models.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Annual Meeting. April 10-13th 2019, Austin, Texas, United States.


2018

Lee, S., Jun, H., Joo, S., Chai, H., Sin, N., & Almeida, D. M. (2018. 11.). The interplay between daily positive events and daily stress severity on inflammation in adulthood.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Lee, K., Jun, H., & Joo, S. (2018. 11.). The effects of monetary rewards for grandchild care on the mental health of grandparents in different income contex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Song, S., Jun, H., & Joo, S. (2018. 11.).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in between grandparenting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Park, H., Jun, H., & Joo, S. (2018. 11.). The effect of grandchild care on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A Coarsened Exact Matching Method.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Park, H., Jun, H., & Joo, S. (2018. 11.). The effect of similarity in gender role attitude o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coupl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John B. Hynes Veterans Memorial Convention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주수산나·전혜정·신혜림·김성희·송시영 (2018. 05.). 노년기 가사노동 참여시간 관련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 05. 11.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이가연·전혜정·주수산나 (2018. 05.). 중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 05. 11.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7

Park, H., Jun, H., & Joo, S., Kim, S. (2017. 11.). The Generational Comparisons of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9th Conference. Nov 15 – 18th 2017, Orlando, Florida, United States. 

Kim, S., Jun, H., Joo, S., & Sin, H. (2017. 11.).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wlyweds’ couples in Korea.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9th Conference. Nov 15 – 18th 2017, Orlando, Florida, United States. 

최봄이·주수산나 (2017.11.).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이상지질혈증의 관계: 도·농차를 반영한 다층분석. 한국노년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 11. 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이가연·전혜정·박하영·주수산나 (2017.11.). 자녀 상실을 경험한 중·노년의 우울감 변화유형 분류 및 관련요인. 한국노년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 11. 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17.10.).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수준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하루 평균 대화시간과 의사소통 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년 10월 27일. 서울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주수산나·송시영·김종우 (2017. 10.). 친(親)양부모와 친(親)한부모 가족구조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년 10월 27일. 서울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주수산나·김종우 (2017. 08.). 학교 안에서 학교밖으로의 전이: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 08. 10-12. 건국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Joo, S., Jun, H., & Choi, B. (2017. 07.). The effe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eighborhood composi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in Korea. The 21s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July 23-27th 2017, San Francisco Marriott Marquis and Moscone West, CA, United States. 

Sin, H., Jun, H., Joo, S., & Kim, S. (2017. 07.). An empirical test of role the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dowhood and life satisfaction. The 21s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July 23-27th 2017, San Francisco Marriott Marquis and Moscone West, CA, United States. 

Chai, H., & Joo, S. (2017. 07.). Elderly parents and adult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21s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July 23-27th 2017, San Francisco Marriott Marquis and Moscone West, New Orleans, LA, United States. 

Park, H., Jun, H., & Joo, S. (2017. 07.). The Pattern of Gender Role Attitude and Marital Quality among Middle-Aged Koreans. The 21s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July 23-27th 2017, San Francisco Marriott Marquis and Moscone West, CA, United States. 


2016

Kim, S., Jun, H., Joo, S., & Sin, H. (2016. 11.). Comparing associations between domain-specific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ross stages in adulthood. 5th Consortium of Institutes on Family in the Asian Region (CIFA) Regional symposium 2016. November 3~5th 2016,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Rep. of Korea.

Lee, S., Jun, H., & Joo, S. (2016. 11.). Gendered effects of divorce and separation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men and women. 5th Consortium of Institutes on Family in the Asian Region (CIFA) Regional symposium 2016. November 3~5th 2016,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Rep. of Korea.


2015

Lee, S., Jun, H., Joo, S., & Chai, H. (2015. 11.). The effect of income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middle-aged married couples: The mediating roles of coping behavior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8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8-22th 2015, Walt Disney World Swan & Dolphin, Orlando, Florida, United States.

Joo, S., Jun, H., & Wang, S. (2015. 11.).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middle aged coupl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8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8-22th 2015, Walt Disney World Swan & Dolphin, Orlando, Florida, United States.

Kwon, D., Jun, H., Hwang, J., & Joo, S. (2015. 11.).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among cancer patients and their partners: Using actor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November 3rd 2015, Holiday Inn Song-do, In-cheon, Rep. of Korea.

Shin, H., Joo, S., & Kim, S. (2015. 11.). The meaning of dating and marriage among Korean couples at the optimal marriageable ag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November 3rd 2015, Holiday Inn Song-do, In-cheon, Rep. of Korea.

Choi, B., Jun, H., & Joo, S. (2015. 11.).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es: A longitudinal comparison.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November 3rd 2015, Holiday Inn Song-do, In-cheon, Rep. of Korea.

주수산나·전혜정·왕순경 (2015. 05.). 중년 부부의 자기분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5. 05. 15. 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4

Chai, H., Jun, H. & Joo, S. (2014. 11.).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post-retirement parent-adult child contact.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6th Conference. November 19-22th 2014, Maryland, United States.

Joo, S., Jun, H. & Chai, H. (2014. 11.). Does Retirement Reinforce Pre-retirement Patterns in Family Satisfactio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6th Conference. November 19-22th 2014, Maryland, United States.

Joo, S., Jun, H. & Chai, H. (2014. 11.). Pre-retirement family relationship and post-retirement adaptation: Their trajectories and linkag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7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5-9th 2014, Washington, DC, United States.

Chai, H., Jun, H. & Joo, S. (2014. 11.). Exposure versus cumulativ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during post-retirement adjustment stag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7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5-9th 2014, Washington, DC, United States.

주수산나·전혜정 (2014. 11.). 노인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가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횡단 및 종단적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2014. 11. 01.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 대한민국. 

Joo, S., Lee, E., Han, J., Lee, S., Hwang, J. & Kwon, D. (2014. 10.). Samsung securities’ retirement school for couples: Touch love, touch life, touch money. International Conference Symbiotic Life Science & Technology. October 7-8th 2014, Seoul, Rep. of Korea.


2013

Joo, S., Jun, H. & Chai, H. (2013. 11.). Exploring predictors for cognitive function using Korean national longitudinal data: From the mid aged to the late elderl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6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0-24th 2013, Louisiana, United States.

Lee, E., Jun, H. J. & Joo, S. (2013. 11.).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their spouses: Using cross-lagged model.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66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0-24th 2013, Louisiana, United States.

Joo, S., Jun, H., Chai, H., Kim, M. Y. & Wassel, J. I. (2013. 04). Cohort differences in successful aging: Physical health. Southern Gerontological Society, 34th Annual Meeting. April 4 – 7th 2013, North Carolina, United States.

Chai, H., Jun, H. & Joo, S. (2013. 04.).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ole of successful aging i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Comparing young-old, Middle-old, and the oldest-old. Southern Gerontological Society, 34th Annual Meeting. April 4 – 7th 2013, North Carolina, United States.

PROJECT

2024.06. - 2029.05. 이별 범죄와 데이팅 폭력 예방을 위한 안전 이별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 연구책임자

2024.01. - 2026.12. Y-LEGO: 탠저블 교육도구를 활용한 창의융합형 교육 모듈 개발. 연세대학교 IPY 지식융합 Seed Grant. 공동연구원

2021.06.-현재. 뉴 노멀(New Normal) 시대를 위한 혁신: 알파 세대의 디지털 일상 ADDS (Alpha Generation Digital Daily Survey) 종단 데이터 구축.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사회과학 장기데이터연구. 공동연구원

2024.06.-2025.01. (2024.08.) (4차) 지역사회 통합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청년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충청권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1년 대학원혁신지원사업 <어깨동무사업>. 공동연구원 

2023.05. - 2023.10.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발전 방안 연구. 한국자활복지개발원. 공동연구원

2023.05.-2024.01. (3차) 지역사회 통합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청년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충청권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1년 대학원혁신지원사업 <어깨동무사업>. 공동연구원

2023.01. - 2023.12. 스트레스 관련 아동 대상 표준 DB 구축 과정 모니터링. 루먼랩 주식회사. 공동연구원

2022.09. - 2022.12. 스트레스 관련 아동 대상 표준 DB 설계. 루먼랩 주식회사. 공동연구원

2022.10. - 2022.12. GEMS를 이용한 근력/근지구력 평가방법 개발 및 검증. 삼성전자. 공동연구원

2022.03.-현재. BK21 FOUR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인력(연구교수)

2020.09.-2021.02. BK21 FOUR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인력(박사후연구원)

2022.07. - 2022.09. 단양군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단양군. 공동연구원

2022.06. - 2022.12.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연세대학교): 호르몬 정밀추출 및 데이터 기반 스트레스 해석 기술.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과제고유번호 (1711175853). 기관세부과제번호(STARTUPLAB22-014). 공동연구원

2022.04. - 2023.03. 디지털 디바이스 기반 알파 세대의 일상 및 신경인지기능 데이터 구축. 루먼랩 주식회사. 공동연구원

2022.07. - 2024.12. 남편과 아내의 알코올 문제와 부정적인 상호작용 간의 상호의존적 역동: 자녀의 학교 전기를 경험하는 부모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책임연구원

2022.05.-2023.01. (2차) 지역사회 통합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청년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2021년 대학원혁신지원사업 <어깨동무사업>. 공동연구원

2021-2022.01. (1차) 지역사회 통합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청년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2021년 대학원혁신지원사업 <어깨동무사업>. 공동연구원

2020.07.-2023.12. 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공동연구원

2021. 선생님과 함께 장보기 사업 조사 연구. 열매나눔재단. 공동연구원

2021. 2021년도 사회복지시설 심층조사 조사표 매뉴얼 및 교육. 수원시의회  용역과제. 공동연구원 

2020-2021. 시드머니: 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교외연구과제신청지원사업. 공동연구원

2019-2020. 중년기와 노년기 부부의 건강 행동 유형 및 관련 요인. 연세대학교. 공동연구원

2017-2019. Changes in Daily Stress and Well-Being: MIDUS III. 참여연구원

2017-현재. 노인질환 예방관리 코호트 구축 및 운영. 질병관리청. 참여연구원

2016-2019. 노년기 생산적 활동 참여와 신경인지적·생물학적 기능의 관계에 있어서 유전적 특질의 조절효과. 연구보조원

2015.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인식 및 욕구조사. 연구보조원

2014. 노후설계 콘텐츠 개발연구. 연구보조원

2014. 노인 전자기기 사용 실태조사 연구. 연구보조원

2014. 청소년 전자기기 과몰입 실태와 예방방안. 연구보조원


COMMITTEE


Peer Review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3 - 한국노년학, 노인복지연구, Journal of Men’s Studi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22 - Journal of Homosexuality,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BMC Women's Health 

2021 - 한국가족학회 가족과문화,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20 -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Committee for Graduate Student

2023-2 석사 학위논문. 부심. 초기 노인의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자녀가 제공하는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3-1 석사 학위논문. 부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2-1 석사 학위논문.  주심 . 중년기 부부의 해결중심사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생활환경대학원 2022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가족상담전공

2021-2 석사 학위논문. 부심.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1-1 박사 종합시험. 출제위원. 연구방법론2.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1-1 석사 학위논문. 부심. 배우자와의 돌봄 교환이 남녀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돌봄 제공과 수혜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1-1 석사 학위논문. 부심. 중년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노동 참여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2021-1 석사 학위논문. 주심.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가족상담전공

2021-1 석사 학위논문. 주심. COVID-19 상황에 관한 위기 인식과 대처방식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생활환경대학원 2021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가족상담전공


PATENT

관절 기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출원) KR  10-2021-0063230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 (출원) KR 2021-0028073

RESEARCH SKILL

<Project: Data & Skills>



<Quant: Data & Skills>


<Qual: Data & Skills>



MEDIA

2023.10.17. 시민일보. 한국자활복지개발원,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발전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92863716280

2023.10.13. 천지일보. “일자리·주거 지원으로 노숙인 자활률 높여”… 자활복지개발원, 특화자활사업 토론회 개최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1719

2023.03.24. 가재울청소년메타센터 공식 SNS. 디지털 데이터에 기반한 알파세대 청소년의 활동과 적응에 대한 개입 및 협력 방안 https://www.instagram.com/p/CqKvNZFupwj/

2023.03.23. 가재울청소년메타센터 공식 SNS. 청소년활동 디지털전환 시작! 가재울청소년메타센터와 연세대학교와의 만남 https://www.instagram.com/p/CqIG9sCu3RW/

2023.02.28. 교수신문. ‘고령화·디지털 양극화’, 노인-청년 멘토링이 나선다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109

2023.02.27. 내일신문.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개발, 3차년도 연구성과 공개세미나: 연세대 노인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팀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52663

2022.10.22. 브라오마이라이프. 언론진행재단 지원 특별기획 4부작: 제1부 서베이로 본 황혼육아 현주소. https://blog.naver.com/pncbravo/222885406249

2022.09.15. 브라보마이라이프. 황혼육아 조부모 60% “정부의 경제적 지원 원해” https://m.bravo.etoday.co.kr/view/atc_view.php?varAtcId=13968

2022.09.14. 브라보마이라이프. 황혼육아 3명 중 2명 “신체적 한계 느끼고, 여가생활 포기” https://m.bravo.etoday.co.kr/view/atc_view.php?varAtcId=13959

2022.09.14. 브라보마이라이프. 손주 육아, 할마·할빠 속마음… “용돈 75만원 원해” https://bravo.etoday.co.kr/view/atc_view/13961

2022.05.19. 융합 TIEMS. 연세대학교 노인 웨어러블 로봇 융합연구팀. 2차년도 연구성과 공개세미나. https://gccr.kku.ac.kr/bbs_detail.php?bbs_num=124&tb=notice

2022.03.22. 런어스(LearnUs) 공식 블로그. [런닝메이트] 이별 극복하기, 단순한 위로의 말에 지친 사람이라면? https://m.blog.naver.com/learnus_official/222673984144

2022.03.10. 런어스(LearnUs) 공식 블로그. [웰컴실버던트] 중년 우울증 피하는 노하우 길라잡이! '행복은 경험'이다 https://m.blog.naver.com/learnus_official/222661943695

2022.03.10. 융합연구소식지 99호, 3월 1호 (융합연구총괄센터). 연세대학교 노인 웨어러블 로봇 융합연구팀 2차년도 연구성과 공개세미나 성료 http://gccr.kku.ac.kr/bbs_detail.php?bbs_num=105&tb=board&id=&pg=1&menu_number=585

2022.03.03. 내일신문. 연세대학교 노인 웨어러블 로봇 융합연구팀 - 2차년도 연구 성과 공개세미나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5901

2021.11.19. 연대학교 연구처 연구성과 홍보갤러리. 김현경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사회과학장기데이터연구 지원사업 선정 https://research.yonsei.ac.kr/research/service/researchgallery.do?mode=view&articleNo=130750

2021.05.31. 월간로봇. 기술지식콘텐츠연구소, 웨어러블 로봇 연구 성과 발표 http://robotzine.co.kr/entry/256543

2021.05.11. 뉴스와이어. 2021 융합연구 노인팀 성과발표회 성황리 종료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23057

2021.05.11. 한국강사신문. 융합연구총괄센터,  2021 융합연구 노인팀 성과발표회 성료 http://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7038

2020.11.08. 전북도민일보.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개최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6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