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anna Joo

Intro

주수산나 / Susanna Joo

● Well Aging, Well Living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Stress, #Loneliness, #Social Isolation, #Mental Health, #Physical Symptoms, #Emerging Adulthood, #Adulthood, #Parenthood, #Middle and Later Life, #Multiple Layers 

Couple Relationships: Linked Lives and  Significant Strategies for Better Life, Better Aging across Adulthood
#Interdependency, #Intimate Relationships, # Relational Interactions, #Marital Quality, #Conflict, #Partner Effects, #Social Support, #Coping, #Problem Solving, #Multiple Agencies, #Religious Similarity, #Religious and Value

● Aging and New Era, Living in the New Era
#Gerontechnology, #Living with Technology, #Aging with Technology, #Digital Daily Living, #Digital Literacy, #Life-Tech, #Technology Acceptance, #Psychological Human Factors

Complex Data & Mixed-Methods
#Quantitative & Qualitative Approaches, #Mixed-Methods, #Multilevel Data Analysis, #Daily Diary Methods, #Couple Data, #Longitudinal Data, #Smart Watch Data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Education

Ph.D.2014 - 2019Yonsei University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Family Studies, Gerontology, Family Therapy)

M.A.2012 - 2014Yonsei University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Family Studies, Gerontology, Human Development)

B.S. / B.A.2006 - 2012Yonsei University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 Dept. of Psychology 

Academic Experience

2022.07.05. ~ 2022.08.03. Visiting Scholar / Center on Aging and Population Scienc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방문학자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2022.03. ~ Present        Research Professor / BK21 Symbiotic Society and Design, Yonsei University (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BK21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

2020.09. ~ 2022.02.      Researcher / BK21 Symbiotic Society and Design, Yonsei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 / 연세대학교 BK21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

2020.03. ~ Present        Lecture Instructor / Kyung Hee University (강사 / 경희대학교)

2019.09. ~ 2022.02.     Lecture Instructor / Yonsei University (강사 / 연세대학교)

2019.09. ~ 2020.08.      Post-doc. Researcher / Yonsei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 /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2017.08. ~ 2018.07.     Research Scholar / Center for Healthy Agin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방문학자 /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교)

2012.03. ~ 2017.07.     R.A. / Yonsei University (연구보조 / 연세대학교)

Qualification

사회복지사 1급 - 보건복지부

건강가정사 - 여성가족부

사회조사분석사 2급 - 통계청

내러티브상담사 2급 - 한국내러티브상담학회

가족생활교육사 1급 - 한국가족관계학회

Award

2023.12.31. 2023년 4단계 BK21사업 우수 참여 인력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연세대학교 4단계 BK21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주수산나


2023.12.21. 연세대학교2023-2학기 대학원생 학술논문 인문ㆍ사회부문 대학원혁신 우수논문 장려상

디지털 소통능력과 디지털 이용중재의 관계: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2023.06.14. The 12th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

How age affects loneliness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2022.12.02.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노인의 디지털 시민성 유형에 따른 외로움 및 온-오프라인 사회적 관계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온오프라인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2022.11.11. 한국가족관계학회 중노년기 가족관계 신진학자공모전 은상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2022.06.13. The 22nd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Best Oral Presentation

Digital technology use and social iso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age-friendly environments


2022. 05. 28. 대한가정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 발표 우수상

군인가족의 가족관계 유형이 여성 배우자의 고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지역 맥락의 조절 효과


2022. 05. 20.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디지털 파도 앞에 선 고령자: 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연구

능동적인 디지털 에이징 과정: 디지털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노인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021. 05. 28.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노인 기술수용 영향요인: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중심으로


2020. 09. 25. 연세대학교 우수강의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0-1 고급통계


2019. 11. 29.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통합학술대회 우수포스터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사회활동 참여가 인지기능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 


2019. 07. 29.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개인학술 장려상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2018. 03. 13.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세미나학술 최우수논문

학교상담현장에서 인식하는 학업중단숙려제의 실제: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2017. 11. 03.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2016. 05. 14.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개인학술 입상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활용한 분석


2015. 05. 15. 한국가족관계학회 최우수 포스터상

중년 부부의 자기분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5. 05. 14.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우수논문상 - 인문사회 부문

노인부부가구 남편과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


2011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우등상


2006 - 2010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우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