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6
연구와 활동으로 가득했던 2024년을 마무리하며, 연구실에서는 연말총회를 통해 한 해를 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총회에서는 새롭게 석사과정으로 합류하게 된 성민재 학생을 환영하며, 내년부터 함께할 새로운 연구 여정에 대한 기대감을 나누었습니다. 한 해 동안의 연구성과와 활동을 돌아보며 서로를 격려하고, 다가올 2025년의 연구 계획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함께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한 해의 노고를 위로하고, 서로의 열정을 응원하며 의미 있는 마무리를 할 수 있었습니다.
2024년 정말 고생 많았습니다! 내년에도 각자의 연구가 더욱 빛을 발하고, 연구실이 새로운 가능성과 성과를 만들어가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모두 즐거운 연말연시 보내세요!
2024.12.05-12.06
2024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가 강원도 양양 쏠비치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김경태, 이현정 박사과정생의 도움으로 학부연구생들이 주도적으로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발표하며 연구실의 역량을 한층 더 빛냈습니다. 또, 이번 학회는 교수님과 풀타임 연구생 전체가 함께한 자리로 학술적 교류뿐만 아니라 연구실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더욱 높이는 특별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박소현 학부연구생은 시민 참여형 인공새집 프로젝트를 통해 참가자의 환경의식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했으며, 그 노력과 열정이 빛을 발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최우수발표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축하합니다!
추서림 학부연구생은 도시생태계 박새과 조류의 둥지 내 인공재료 사용 특성을 분석한 구두발표와, 시민 참여형 인공새집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된 희귀종 흰눈썹황금새 사례를 소개한 포스터 발표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임병현 학부연구생은 인공수조를 활용한 도시생태계 야생동물 모니터링 연구를 주제로 한 구두발표를 통해 인공수조의 생태적 효과와 모니터링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학부연구생들은 발표 준비와 피드백 과정을 통해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 뜻깊은 경험을 했습니다. 모두의 열정과 노력이 학계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으며, 향후 연구와 학술 활동에서 더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합니다. 여러분의 노고와 성취에 진심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참가자의 환경의식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박소현,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최우수발표자상
도시생태계 박새과 조류의 둥지 내 인공재료 사용 특성 고찰(추서림, 김경태, 이현정, 박소현, 임병현, 송원경, 김휘문)
인공수조를 활용한 도시생태계 야생동물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링(임병현,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포스터) 시민참여 인공새집 모니터링을 통한 희귀종 발견사례-흰눈썹황금새를 대상으로-(추서림, 김경태, 이현정, 박소현, 임병현, 송원경)
2024.10.16-10.18 / 2024.11.27-11.29
지난 10월과 11월에 각각 열린 2024 대한원격탐사학회 추계학술대회와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학술대회에 참관하여, 최신 연구 동향을 접하고 학계와의 소통을 이어갔습니다.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대한원격탐사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탄소흡수원 통합관리 기술개발” 연구과제의 특별세션에 참여하였습니다. 본 과제는 탄소흡수원, 생태계서비스, 생물다양성 연구를 기반으로 이를 통합적으로 연계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세션에서는 각 분야별 연구성과와 연계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습니다.
이어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학술대회는 ‘도시와 기후변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도시공간 기후탄력성 확보 기술 평가 및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의 특별세션에 참관하여, 열섬 완화 기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공간 분석 기술 등 연구진들이 수행한 다양한 연구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두 학회 모두 우리 연구실의 연구와 밀접하게 연관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향후 연구 방향과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 역량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학계와의 소통을 더욱 심화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4.11.11-11.12
제2회 DKUG Open Lab Festa가 2024년 11월 11일부터 12일까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주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작년 행사에서 많은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받은 데 이어, 올해에도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연구실을 홍보하고 연구 교류의 장을 제공하는 뜻깊은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공간생태연구실은 대학원 학생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인 김경태 박사과정 학생의 주도 아래 본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연구실 부스를 운영하며 연구 분야와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 활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이 연구실 부스를 방문해 연구 주제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생물다양성, 생태계 서비스, 도시 생태 네트워크와 같은 주제에 흥미를 나타내는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연구실의 활동과 비전에 대해 알릴 수 있었으며, 향후 협력의 가능성도 열어두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Open Lab Festa는 연구실 구성원들에게도 자신의 연구를 알리고, 타 연구실의 연구를 접하며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다들 고생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행사를 통해 연구 교류와 협력의 기회가 더욱 확대되길 기대합니다!
2024.10.03-10.06
일본 규슈 공업대학에서 열린 ICLE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국제 학술대회에 연구실이 참가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이현정 박사과정생은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생태 네트워크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주제로 구두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김경태 박사과정생은 도시 생태계 생물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앙상블 학습을 활용한 시범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습니다. ICLEE 학술대회는 생태학과 조경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이번 발표를 통해 우리 연구실의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공유하며, 도시 생태계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발표 준비하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구두) Optimization of Ecological Networks for Urban Ecosystem Management and Restoration: A case study in Suwon, South Korea (Hyunjung Lee, Kyeongtae Kim, Wonkyong Song)
(포스터) Pilot Evaluation of Urban Ecosystem Biodiversity in South Korea Using Ensemble Learning (Kyeongtae Kim, Hyunjung Lee, Wonkyong Song)
2024.08.24-08.25
천리포수목원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그리고 교수님 가족분들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천리포수목원에 재직 중인 강희혁 박사과정생이 직접 수목원을 안내하며, 다양한 식물과 수목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전문적인 해설로 모두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만리포해변에서는 해지는 풍경을 감상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연구실 구성원들이 함께 교류하며 추억을 쌓았습니다.
이번 MT에서 만들어진 따뜻한 추억들이 연구실의 화합과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길 바라며, 연구실의 소중한 인연이 계속 이어지길 바랍니다!
2024.08.04-08.09
미국 Long Beach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된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ESA) 학회에서 단국대학교 이현정, 김경태 박사과정생이 공동으로 연구한 시민과학 프로젝트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발표는 한국의 무미목 양서류 산란지 탐지 및 번식 소리 모니터링에 대한 시민과학 프로젝트 결과를 다루었습니다. 이번 학회를 통해 연구실의 연구 결과를 국제적으로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영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속적으로 시민과학을 기반으로 한 생태 모니터링 연구를 더욱 심화하고 확장하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포스터) A study on citizen science-engaged detection of breeding calls in anuran amphibian (Hyunjung Lee, Kyeongtae Kim, Wonkyong Song)
2024.06.21-06.23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제주도 답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답사에는 조경학과 김남춘, 신지훈, 송원경 교수님, 김경태, 이현정 풀타임 박사과정생, 파트타임 대학원 재학생 및 졸업생 등 약 35명이 참여하였습니다. 답사는 스누피가든 탐방, 숲해설가와 함께한 호근동 미로숲길 탐방 등 조경이 돋보이는 주요 장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학문적 견문을 넓히고, 조경학과 구성원들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모임과 답사가 이어져 더 많은 교류와 발전의 기회가 마련되길 기대합니다!
2024.05.23
봄의 향기가 가득한 5월, 단국대학교 장미정원에 장미가 활짝 피었습니다.
송원경 교수님의 대학원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함께 단국대 장미정원을 방문했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잠시나마 자연 속에서 학문적 토론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과 다양한 주제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며, 학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시간이었습니다. 향후에도 즐거운 시간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2024.05.15
스승의 날을 맞아 교수님께 카네이션 꽃다발을 드렸습니다. 교수님께서는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해주셨고, 연구실 전원은 함께 따뜻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번 스승의 날을 통해 교수님께 존경과 감사를 다시 한번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언제나 바른길로 인도해 주시는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연구실 일동-
2024.05.09
2024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가 고려대학교 하나스퀘어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 연구실에서도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발표하였습니다. 김지윤 석사과정 학생은 생태통로 내 야생동물 서식 현황과 관련된 주제로 구두발표를 준비했으나, 개인사정으로 김경태 박사과정 학생이 대신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학부연구생인 추서림, 박소현 학생은 시민들과 함께한 인공새집 모니터링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용으로 각각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추서림 학생은 김경태 학생과 함께 준비한 시민과 함께한 인공새집 프로젝트 주제로 우수발표자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발표한 주제들이 논문으로 잘 마무리될 수 있길 바랍니다. 경기연구원에 재직중인 김휘문 박사도 본 학회에 함께 자리하였습니다.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시민참여를 통한 전국단위 인공새집 모니터링 방안(추서림, 박소현,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송원경) >최우수발표자상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한 포유류 생태통로 이용 파악–육교형 생태통로를 대상으로-(김지윤, 박소현, 송의근, 김경태, 이현정, 임태양, 추서림, 송원경)
(포스터)인공새집 모니터링을 통한 생태적 경험이 유아, 초등, 중등, 고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박소현, 추서림,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2024.03.12-04.02
후지필름과 함께하는 제 1회 인공새집 자랑 콘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본 이벤트는 김경태 박사과정 학생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2024 전국 앞마당 조류 모니터링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활발한 활동을 격려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이벤트에 참여한 10명의 시민분들에게 상장과 함께 아메리카노 쿠폰을 제공하였습니다. 이현정 박사과정 학생이 만든 개성 있는 상장은 시민분들이 좋아해주셨습니다. 이벤트 준비하느라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한번 감사인사드립니다!
🎉이벤트 안내글🎉
인공새집 자랑 콘테스트" 게시판에 본인이 설치한 인공새집 대표사진과 소개글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참여가 완료됩니다.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가자 10분을 선정하여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을 공간생태연구실 연구원이 제공해드릴 예정입니다.
※ 인공새집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하는 시민분들에게 감사의 의미로 진행하는 이벤트성 프로그램으로 가벼운 마음으로 참여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24.03.11
오랫동안 공간생태연구실에서 함께해 온 김휘문 박사가 오늘 마지막 출근을 하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덕담과 함께 꽃다발을 증정해주셨습니다.
김휘문 박사는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정보센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게 되었습니다.
취직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새로운 곳에서도 잘 적응하고 멋진 연구자로 더욱 성장하길 응원하겠습니다.
2024.02.20
단국대학교 봄 학위수여식이 진행되었습니다. 공간생태연구실에서 김채영 석사과정 학생과 학부연구생인 정상준 학생이 졸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김채영 학생은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의 위촉연구원으로 근무하게 되었고, 정상준 학생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양서류 관련된 프로젝트에 인턴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고생 많았고 앞으로도 좋은 일만 가득하길 바라겠습니다.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