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정, 김경태, 송원경. 2025. 도시지역 오소리(Meles leucurus)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8(4), 1-12.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2025. 도심 박새과(Paridae) 조류의 비닐 포장재 사용 사례. 한국조류학회지, 32(1), 35-41.
Kim, W., Kim, E., Song, W. 2025. Evaluating the cooling benefits of rainwater spraying in urban environments using machine learning and UAV thermal imaging.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Song, W., Kim, H., Kim, W. 2025. Modeling urban wasp nest occurrences using 119 fire service reports, LiDAR, and hyperspectral imagery: The role of green spaces and structural fac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79, 124776.
김경태, 이현정, 신지훈, 송원경. 2024.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참가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인공새집모니터링사례를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7(6), 137-152.
송원경. 2024. 황구지천 내 수달(Lutra lutra)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통한 관리 전략 제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7(4), 1-14.
Park, S., Cho, M., Kim, S., Choi, J., Song, W., Kim, W., ... & Park, C. (2024). Exploring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 custom deep learning model for camera trap analysis of local urban specie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20(4), 595-604.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2024. 시민참여형 무미목 양서류 음성신호 수집 및 품질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8(3), 230-245.
Lee, H., Kim, K., Kim, W., Song, W., Jeong, S. 2024. Evaluation of habitat connectivity for wild boars (Sus scrofa L.): a pilot study in South Ko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20(3), 271-283.
Kim, H. G., Song, W., Park, C., Song, Y., Cho, S., Oh, H. K., Kim, W. 2024. Identification of High-Priority Wild Boar (Sus scrofa) Control Areas by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and Crop Damage. Journal of People Plants Environment, 27(1), 43-58.
Kim, S., Song, W., Joo, W., Choi, J., Park, C. 2024. Utiliz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future vision decision-making for climate-resilient citie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20(1), 53-64.
2023.12.30
논문제목 : 종간 둥지 탈취로 발생한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의 혼합 육추 사례
연구실에서는 시민과 함께 인공새집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설치된 많은 인공새집 중 경기도 의왕시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인공새집에서 박새와 곤줄박이의 혼합 육추 사례가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번식 활동을 진행하고 있던 기존 박새의 둥지를 곤줄박이가 탈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 연구는 수동성 조류 간 경쟁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RS-2023-00218245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2023.12.17
논문제목 : 인공새집 모니터링이 초중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공새집 모니터링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환경 보전 인식 및 태도, 생물 종 모니터링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생태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학생들의 인공새집 모니터링 지식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환경 및 생태 분야의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성을 입증하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2023.08.31
논문제목 :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산림 파편화 증가, 토지이용 변화 등 무분별한 개발사업으로 인한 유역 산림 생태계 영향은 다각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토지피복과 산림 경관이 시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금강 상류 댐 유역을 대상으로 1980-2010년 기간에 대한 토지피복변화를 도면화하고, 경관분석을 활용하여 산림생태환경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 파편화 취약지역 선정 및 관리 방안 마련 등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게재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RS-2023-00218245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2023.08.31
논문제목 : 카메라 트래핑 기법과 YOLO-X 알고리즘 기반의 도시 야생동물 탐지 및 분석방법론 개발
자연생태계에서 취득한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 중 YOLO-X 모델은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대표하는 도구입니다. 이 연구는 야생동물 출현 여부의 자동 탐지를 위해 카메라 트래핑에서 취득한 야생동물 출현 자료의 자동 분류 프로세스를 도출함으로써 전처리 자동화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장기적으로 카메라 트래핑과 객체 검출 알고리즘이 잘 연계된다면 도시생태계 야생동물 모니터링 방안을 고도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게재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RS-2023-00218245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2023.08.20
연구실에서 2021-2023년 동안 진행하였던 성과물이 논문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고해상도 무인항공기(UAV)를 활용하여 취득한 다중 스펙트럼과 초분광 자료에 의거해 안산 갈대습지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분류 정확도가 높은 초분광 기법을 연계하여 습지지역 토지 피복 분류 방안을 제안한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고 판단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21002280001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사업)
2023.06.30
논문제목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민참여 인공새집 모니터링 방안 연구
시민과학을 활용한 인공새집 모니터링 연구 성과물이 논문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시민과학은 일반시민과 함께하는 과학 연구로 장기간 모니터링 및 대규모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 수원시를 대상으로 시민 조사원 98명과 함께 171개 인공새집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으며, 57개의 인공새집이 조류에게 이용되었습니다. 향후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과정에서 본 연구가 바탕이되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RS-2023-00218245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2023.01.03
연구실에서는 2022년 국내 생물기후단계 적용을 위한 Seed transfer zone(잠정종자이동구역)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결과와 유역통합관리연구원(IWMI)과 함께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도출한 생태기후지수를 활용해 국내 붉가시나무와 고로쇠나무 서식 가능성을 예측하였습니다. 향후 자생종 복원 지역 선정 및 관리 전량 등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 2021365A00-2223-BD01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2023. 종간 둥지 탈취로 발생한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의 혼합 육추 사례. 한국조류학회지, 30(2), 175-180.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강지현, 한지원, 이종명, 송원경. 2023. 인공새집 모니터링이 초중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51(4), 572-585.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송원경. 2023.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7(4), 289-301.
김경태, 이현정, 전승욱, 송원경, 김휘문. 2023. 카메라 트래핑 기법과 YOLO-X 알고리즘 기반의 도시 야생동물 탐지 및 분석방법론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6(4), 17-34.
Lim, T. Y., Kim, J., Kim, W., Song, W. 2023. A Study on Wetland Cover Map Formulation and Evalu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High-Resolution Images. Drones, 7(8), 536.
김경태, 이현정,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202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민참여 인공새집 모니터링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7(3), 221-231.
Choi, J., Park, C., Kim, S., Song, W., Song, Y., Kil, S. 2023. Habitat probability prediction of umbrella species in urban ecosystems including habitat suitability of prey specie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9(3), 417-431.
Qiu, X., Kil, S. H., Jo, H. K., Park, C., Song, W., Choi, Y. E. 2023. Cooling effect of urban blue and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hangsha,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3), 2613.
Kim, C., Kim, W., Song, W., Cho, J., Choi, J. 2023. Prediction of Native Seed Habitat Distribution According to SSP Scenario and Seed Transfer Zones A Focus on Acer pictum subsp. mono and Quercus acuta. Forests, 14(1), 87.
2022.12.31
논문제목 : 인공새집에서 관찰된 딱새(Phoenicurus auroreus)와 박새(Parus major)의 혼합 육추 사례
연구실에서 진행한 전국단위 인공새집 모니터링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최초로 딱새와 박새의 혼합 육추 사례를 관찰하였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박새의 유조가 이소를 하지 못하고 중간에 폐사하여 성공적인 번식에는 실패하였으나 딱새가 박새의 새끼를 일정 기간 육추한 의미 있는 기록입니다. 향후 해당 연구가 혼합 육추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7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 회복력)
2022.12.31
논문제목 :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 내 중금속(Zn, Pb) 축적특성 연구
연구실에서는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 둥지 재료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중금속이 박새과 조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인공새집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습니다. 박새과 조류의 주된 둥지 재료인 이끼를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향후 비침습적인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기초자료로서 해당 연구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22.10.26
논문제목 :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effectively monitors terrestrial species by using urban green spaces
연구실에서는 2019년부터 환경부 도시생태계 과제를 진행하면서 꾸준히 환경DNA(eDNA)를 통해 국내 최초로 도시생태계에서 육상종을 탐지하는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 결과들을 엮어 논문으로 발표하였고 드디어 게재 확정되었습니다. 연구실 이름으로 된 2번째 국외 논문이자 첫번째 SCI 논문으로 감회가 새롭습니다! 향후 육상생태계 모니터링 시 본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 봅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22.10.07
논문제목 : SSP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 기반 생태기후지수를 활용한 고로쇠나무 분포 예측
연구실에서는 2022년 유역통합관리연구원(IWMI)와 함께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에 의거해 도출한 생태기후지수를 활용해 국내 고로쇠나무의 2100년까지 미래 서식지 분포를 예측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특히 전지구적 기후 자료가 아닌 국내 기상청 및 농촌진흥청의 국내 관측소 기상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기후 조건에 더 적합한 고로쇠나무의 미래 서식지 분포를 1km 공간해상도로 확인하여 기존 생티기후지수로 예측한 결과와의 차이를 확인한 것에 큰 의의가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 농촌진흥청 PJ015576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 구축사업)
2022.10.01
논문제목 : UAV 기반 외래거북 탐지를 위한 광학문자 인식 (OCR) 의 가능성 평가
연구실에서는 대만꽃사슴, 외래거북 등 외래종 서식 현황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드론과 라이다 장비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촬영된 많은 영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머신, 딥러닝 훈련 과정을 거쳐 객체를 탐지했습니다. 개체 단위의 외래거북 이동 및 확산에 대해 모니터링 하고자 등갑에 마킹한 후 UAV 영상을 촬영한 다음 OCR을 활용해 텍스트 인식 및 개체를 식별하였습니다. 본 연구가 민물 내 외래거북 탐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21002280001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사업)
2022.8.30
논문제목 : 멧돼지(Sus scrofa) 서식지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결성 모델링 연구
연구실에서는 2021년부터 멧돼지로 인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ASF) 감염병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국립생물자원관과 함께 수행 중입니다. 2년차를 맞이한 연구에서 단국대학교는 멧돼지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및 경사도 등을 매개변수로 회로이론 기반 개체 연결성 평가 맵을 제작했습니다. 특히, 나아가 GPS를 통해 실제 멧돼지가 이동한 경로를 기반으로 모델에서 제안된 전류맵을 검증 및 보완해보았습니다. 회로이론 기반의 연결성 평가가 국외 생태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됨에 따라 국내에서, 특히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ASF 감염병 경로를 평가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분석과 논문 작업에 고생한 이현정 학생 고생많았습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국립생물자원관 과제 (NIBR202218101)
2022.2.28
논문제목 : 연결성 모델링을 활용한 빈집 녹지화 우선순위 평가
연구실에서 2020-2021년 동안 KEI와 공동연구를 진행하였던 성과물이 논문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연구실이 맡은 과제는 인구 감소, 지역 불균형 등의 현상으로 축소되는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빈집 활용 전략에 연결성 모델링을 적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전주시를 대상으로 연결성 분석을 통해 빈집 부지를 다시 녹지로 전환하기에 적합한 지역을 분석한 결과 우선순위가 높은 빈집 필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전주시 공원녹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린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이를 강화하기 위한 빈집 활용 전략을 제안한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고 판단됩니다. 분석과 논문 작업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한국환경연구원 과제 (GP2021-16-01)
2022.2.28
논문제목 : 잠정종자이동구역과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자생 종자 분포 범위 연구
인간과 물류 이동량의 증가,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로 인한 생태계 영향은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연생태계를 구성하는 식물종의 구성 역시 시간과 공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외래종이 존재합니다. 외래종 관리와 자생종 관리는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협받고 있는 자생종의 서식지 관리는 산림생태계 복원에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남한을 대상으로 잠정종자이동구역을 도면화하고 종분포모형을 활용하여 5개 자생종에 대한 서식 가능성을 예측하였습니다. 아직까지 종자이동구역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은 더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식생 복원을 위한 대상종 선정, 지역별 관리 전략 등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 2020201A00-2022-BA01 (산림생태계 회복력 증진을 위한 자생식물 종자활용 산림복원기술 연구)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송원경. 2022. 인공새집에서 관찰된 딱새(Phoenicurus auroreus)와 박새(Parus major)의 혼합 육추 사례. 한국조류학회지, 29(2), 48-52.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송원경. 2022.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 내 중금속(Zn, Pb) 축적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6), 566-574.
Kim, W. M., Lee, H. J., Song, W. 2022.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effectively monitors terrestrial species by using urban green spac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78, 127782.
임태양, 김지윤, 김휘문, 강완모, 송원경. 2022. UAV 기반 외래거북 탐지를 위한 광학문자 인식 (OCR) 의 가능성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5(5), 29-41.
김휘문, 김채영, 조재필, 허지나, 송원경. 2022. SSP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 기반 생태기후지수를 활용한 고로쇠나무 분포 예측.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9(3), 163-173.
이현정, 김휘문, 김경태, 정승규, 김유진, 이경진, 김호걸, 박찬, 송원경. 2022. 멧돼지(Sus scrofa) 서식지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결성 모델링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5(4), 33-47.
김수련, 최재연, 서자유, 김수경, 백지원, 송원경, 박찬. 2022.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환경영향평가, 31(4), 241-249.
최재연, 김수련, 박찬, 송원경, 정경민, 김은영. 2022.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수원시 대상. 환경영향평가, 31(4), 201-213.
문건수, 김성열, 송원경, 최재용. 2022. LANDIS-II 를 활용한 대청댐 유역 식생천이 예측.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5(2), 39-53.
이현정, 김휘문, 김경태, 신지영, 박창석, 박현주, 송원경. 2022. 연결성 모델링을 활용한 빈집 녹지화 우선순위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5(1), 25-38.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최재용. 2022. 잠정종자이동구역과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자생 종자 분포 범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5(1), 57-74.
2021.10.30
논문제목 : HSI와 MaxEnt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모델 비교 연구
대학원 수업을 진행하면서 시작된 연구 결과물이 학술지 논문으로 최종 발표되었습니다. 생물종 서식 공간을 모델링으로 예측하는 다양한 방법론 중 HSI (Habitat Suitability Index)와 MaxEnt (종분포모형 중 하나)는 각 분야를 대표하는 툴입니다. 이 연구는 두 방법론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대상지, 동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식지를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습니다. 장기적으로 두 방법론이 잘 연계된다면 모델링 연구와 현장조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논문에 공동 주저자 급으로 참여한 유다영, 임태양 학생, 방법론 비교를 위해 고민한 김휘문 학생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7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 회복력)
2021.06.30
논문제목 : 도시녹지 유형별 박새과 둥지 재료 특성 연구
연구실에서 3년 이상 동안 진행하고 있는 인공새집 모니터링 연구의 성과물이 논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천안시를 대상으로 도시공원과 산림에 설치된 33개 인공새집 중 9개의 인공새집이 박새과에게 이용되었고, 이용된 인공새집 내 둥지의 재료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에 따른 둥지재료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습니다. 인공새집 연구는 시티즌사이언스 등과 접목되어 장기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로 발전될 예정입니다. 앞으로의 연구도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21.05.30
수도권 남부지역 을 대상으로 수원시정연구원과 오랫동안 함께 조사한 침입외래종인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에 대한 확산 모델을 논문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산림생태계는 도시확산,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지속적인 교란으로 침입외래 식물 확산이 문제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서양등골나물이 산림 가장자리에 정착하고 산림 내부로 확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산림생태계 관리 전략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학부 연구생과 대학원생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8000210008
2021.04.30
논문제목 : 미국 잠정종자이동구역(Seed transfer zone) 개념의 국내 적용 방안
연구실에서는 산림청 연구개발사업으로 Seed transfer zone(잠정종자이동구역)을 공간화하는 연구를 2020년 이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미국의 잠정종자이동구역 개념을 생물기후 단계에서 국내에 적용하는 초기 성과물입니다.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이 연구가 어떻게 발전될지 기대됩니다. 게재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 2020201A00-2022-BA01 (산림생태계 회복력 증진을 위한 자생식물 종자활용 산림복원기술 연구)
2021.04.30
논문제목 : 이해관계자와 이용객 설문 조사를 통한 국내 ODA 산림협력사업 평가 연구 - 인도네시아 룸핀양묘장 사업을 대상으로 -
2019년 충남대학교와 함께 진행한 산림청 과제의 결과물이 논문으로 정리되었습니다. ODA 산림협력사업에 참여했던 기억이 이제는 추억으로 남아있네요. 논문 작업을 위해 고생한 학생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 2019060539D-00 (인도네시아 기술지원 사업 자체평가 연구)
2021.02.28
졸업한 박일수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이기도 한 카메라트래핑 연구 결과가 학술논문으로 발간되었습니다. 김휘문 박사과정 학생의 노력으로 논문이 잘 마무리되었네요.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20.09.30
논문제목 :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액비 오염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정(Estimation of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in Liquid Fertilizer Contaminated Areas using Hyperspectral Images)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임은성 대표의 박사논문 주제인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토양오염 연구 중 하나가 논문으로 게재되었습니다. 액체 비료로 오염된 토양을 초분광 영상으로 탐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입니다.
2020.04.30
논문제목 : 도시 내 육상 생물종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DNA 리뷰 및 적용
연구실에서는 도시생태계 과제를 진행하면서 꾸준히 환경DNA(eDNA)에 대해 리뷰를 진행했습니다. 이 결과와 작년 말부터 수집된 현장 데이터를 엮어 논문으로 발표하였고 드디어 게재 확정되었습니다. 연구실 대학원생과 학부연구생 모두 축하합니다! 향후 육상생태계 모니터링 과정에서 본 연구가 사전 연구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되길 기대해 봅니다.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20.03.18
연구실에서는 2017년부터 도시생태계에서 출현하는 말벌과(Vespidae)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도시공원 2곳과 도시산림에서 말벌과 4종 말벌(Vespa crabro), 좀말벌(Vespa anails), 장수말벌(Vespa mandarini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을 포획한 현장 데이터를 토대로 도시생태계 내 출현특성과 도시공원 설계 시 안전한 도시민의 이용성을 제언하였습니다. 연구실 이름으로 게재된 첫번째 SCIE 논문으로 감회가 새롭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 한국연구재단 No. NRF-2016R1C1B1006418
2019.10.31
논문제목 :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genus Vespa) 출현 경향 분석
박사과정인 김휘문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실에서 꾸준히 수집하고 있는 말벌 데이터로 새로운 논문이 출간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한국연구재단(2016) NRF-2016R1C1B1006418
2019.10.31
논문제목 :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저수지 인공식물섬 조류 이용현황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에서 새로운 연구논문이 출간되었습니다. 학부연구생인 김경태 학생이 주축이 되어 논문이 출간되니 더욱 축하할 일이네요!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2019002760001 (도새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2019.10.31
논문제목 : 다중시기 항공 LiDAR를 활용한 도시림 개체목 수고생장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에서 새로운 연구논문이 출간되었습니다. LiDAR 영상을 활용하여 개체목을 분류하고 수고생장을 분석한 논문입니다. 축하합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2017) 2017046A00-1919-BB01
2019.10.31
논문제목 : 산림경관천이모델(LANDIS-II)를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의 생물량 장기변화 추정 연구
연구실에서 참여한 과제를 토대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에서 새로운 논문이 출간되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 산림청(2018) 2017046A00-1819-BB01
2019.08.31
논문제목 :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관련 프로젝트 : 환경부(KEITI) RE201805157 (생태복원 사후관리 기술개발 및 실증화(Test-bed))
서자유, 최요한, 백지원, 김수경, 김호걸, 송원경, 주우영, 박찬. 2021.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와 연계된 생태계서비스 연구 동향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6), 1-13.
김성열, 문건수, 송원경, 최재용. 2021. 대청댐 유역 굴참나무림의 군락분류학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6), 15-34.
유다영, 임태양, 김휘문, 송원경. 2021. HSI와 MaxEnt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모델 비교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5), 1-14.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김성열, 송원경. 2021. 도시녹지 유형별 박새과 둥지 재료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5(3), 256-264.
Kim, E., Choi, J., Song, W. 2021.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Ageratina altissima in a Disturbed Forest Ecosystem. Sustainability, 13(11), 6152.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최재용. 2021. 미국 잠정종자이동구역(Seed transfer zone) 개념의 국내 적용 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2), 39-56.
김성열, 문건수, 임성빈, 백혜정, 송원경, 최재용. 2021. 대청댐 유역 상수리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2), 85-102.
이현정, 김휘문, 김경태, 김영, 최재용, 송원경. 2021. 이해관계자와 이용객 설문 조사를 통한 국내 ODA 산림협력사업 평가 연구 - 인도네시아 룸핀양묘장 사업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2), 19-37.
김수경, 최재연, 박찬, 송원경, 김수련. 2021.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3 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 1 지구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30(2), 117-131.
백지원, 박찬, 박소민, 최재연, 송원경, 강다인, 김수련. 2021.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풍속 및 기온 비교. 환경영향평가, 30(2), 105-116.
박일수, 김휘문, 김성열, 박찬, 송원경. 2021.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4(1), 69-80.
Choi, H., Song, Y., Kang, W., Thorne, J. H., Song, W., Lee, D. K. 2021. LiDAR-derived three-dimensional ecological connectivity mapping for urban bird species. Landscape Ecology, 36, 581-599.
김수련, 박진한, 송원경, 성선용, 손학기, 권혁수, 주우영, 박찬. 2020. 지역의 미래 환경 비전 공간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시나리오 체계 연구. 국토계획, 55(5), 120-133.
임은성, 김이슬, 한수정, 임태양, 송원경. 2020.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액비 오염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정.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6(3), 542-549.
김휘문, 김성열, 박일수, 이현정, 김경태, 김영, 김혜정, 곽민호, 임태양, 박찬, 송원경. 2020. 도시 내 육상 생물종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DNA 리뷰 및 적용.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3(2), 69-89.
Kim, W. M., Kim, S. Y., Song, W. 2020.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ccurrence and diversity of queen hornets (genus Vespa) in an urban green a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6, 173-186.
송원경. 2020. 도시공원에 번식하는 박새의 이소 전후 어미 행동권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3(1), 97-106.
김휘문, 김성열, 송원경, 최문보. 2019.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genus Vespa) 출현 경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3(5), 506-514.
김경태, 김영, 김혜정, 김성열, 김휘문, 송원경. 2019.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저수지 인공식물섬 조류 이용현황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2(5), 57-67.
김성열, 김휘문, 송원경, 최영은, 최재용, 문건수. 2019. 다중시기 항공 LiDAR를 활용한 도시림 개체목 수고생장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2(5), 1-12.
최영은, 최재용, 김휘문, 김성열, 송원경. 2019. 산림경관천이모델(LANDIS-II)를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의 생물량 장기변화 추정 연구-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봉소리 일대 산림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2(5), 27-43.
김수련, 송원경. 2019.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2(4), 65-80.
강완모, 송영근, 김호걸, 김남춘, 송원경. 2019. 국내 육상경관 연결성의 정량적 분석 및 시각화.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1(2), 198-207.
Lee, H. J., Lee, D. K., Song, W. 2019.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urban residents: analysis of secondary survey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8), 1445.
송원경. 2019. 도시 녹지공간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2(1), 61-72.
최재용, 박명수, 김수경, 유승현, 최원태, 송원경, 김휘문, 김성열, 이지영. 2018. 도로에 의한 산림 내 온습도 변화. 환경영향평가, 27(6), 604-617.
최재용, 김성열, 김휘문, 송원경, 이지영, 최원태, 문건수. 2018. 항공영상을 활용한 도로개발 전· 후 산림 훼손지 개체목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1(4), 65-73.
김은영, 정경민, 송원경. 2018.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회복력 평가 및 증진방안: 수원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27(4), 335-344.
송원경. 2018. NDVI를 활용한 도시 녹지 분석 및 도시공원 조류 종다양성 분석 모형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1(1), 73-82.
김성열, 김휘문, 송원경, 형은정. 2018.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곤줄박이 (Parus varius) 의 이소 (離巢) 직후 행동권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1(1), 95-102.
이명진, 박욱, 송원경. 2017. 환경공간정보의 이해와 활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5), 763-771.
Lee, S., Lee, S., Song, W., Lee, M. J. 2017. Habitat potential mapping of marten (Martes flavigula) an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South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 learning. Applied Sciences, 7(9), 912.
김은영, 김지연, 정혜진, 송원경. 2017.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26(4), 227-241.
김은범, 김남춘, 신지훈, 송원경, 김도희. 2017. 도시 내 가로수의 광선투과량에 따른 온도저감 효과-서울시 서초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0(3), 45-54.
김휘문, 송원경, 김성열, 형은정, 이승현. 2017.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도시 내 양봉꿀벌 서식환경 분석 연구-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0(3), 55-64.
송원경. 2017. 도시공원 경관 연결성 및 구조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20(1), 131-142.
김은영, 김지연, 송원경. 2016. 도시산림 내 침입교란종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9(3), 93-102.
김은영, 송원경, 윤은주, 정혜진. 2016. 침입교란종 개념 정립 및 영향요인 고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9(1), 155-170.
Song, W., Kim, E. 2016. Landscap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great tit in fragmented urban forests of Seoul, South Ko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2, 73-83.
민창현, 김남춘, 최준수, 송원경, 주상대. 2015. 한국잔디 줄기를 이용한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의 적용성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8(4), 1-14.
Lee, M. J., Song, W., Lee, S. 2015. Habitat mapping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South Korea using GIS. Sustainability, 7(4), 4668-4688.
송원경. 2015. 도시공원 구조 및 식생 조건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천안시 26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8(3), 65-77.
송원경. 2015.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수원청개구리의 번식기 서식지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8(1), 71-82.
김은영, 전성우, 김유훈, 이정원, 송원경, 김현구. 2014.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7(4), 17-27.
Lee, M. J., Song, W. K., .Won, J. S., Park, I., Lee, S. 2014. Spatial and temporal change in landslide hazard by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probabilistic-based frequency ratio model. Geocarto International, 29(6), 639-662.
송원경. 2014. 지역규모의 지형경관 보전을 위한 상대고도 분석 방법론 제안: 분석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환경복원기술), 17(5),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