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1
종강을 맞이하여 연구실에서 연말총회를 진행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연구년으로 아쉽게 참석하지 못했지만, 연구실의 많은 학생들이 참석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연구실 졸업생인 김성열, 박일수, 이승현, 형은정 학생도 오랜만에 함께 했습니다.
앞으로 있을 공간생태연구실 행사에서도 또 볼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Goodbye 2022!
2022.11.25
2022년 한국기후변화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건강성 과제 특별세션이 진행되었고, 단국대에서는 김휘문 박사과정 학생이 대표로 발표하였습니다. 연구 결과가 잘 정리되어 논문으로 발전될 수 있길 바랍니다.
eDNA를 활용한 도시생태계 및 자연생태계에서의 육상 생물종 탐지(김휘문, 김경태, 이현정, 송원경, 박찬)
2022.11.25
단국대학교 총학생회와 다산 LINC3.0 사업단에서 주최한 제 2회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산학연구 경진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임태양 석박통합과정 학생과 김채영 석사과정 학생이 참여하였습니다. 임태양 석박통합과정 학생은 외래거북류 개체식별 연구 주제로 최우수상, 김채영 석사과정 학생은 붉가시나무 서식지 분포 예측 주제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 축하합니다.
학생회로 활동하고 있는 이현정, 김경태 석사과정 학생들(각각 부총학생회장, 학술부장)도 준비하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UAV 기반 OCR 딥러닝을 활용한 외래거북류 개체식별 연구(임태양, 김태경, 김지윤, 김휘문, 정상준, 강완모, 송원경)
SSP 시나리오 상세화 생태기후지수를 적용한 붉가시나무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김경태,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이세민, 이현정, 조재필, 최재용)
2022.11.20
공간생태연구실에서는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환경복원기술학회인 ICLEE에서 온라인으로 참석 및 구두발표를 진행하여 전 세계 생태복원 연구자들과 연구를 공유했습니다.
연구실 이현정 석사과정 학생이 국내에서 ASF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멧돼지의 서식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회로이론 기반의 연결성 모델링에 대해 영어로 구두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현장의 생생함을 느낄 순 없었지만 다양한 연구자들이 많은 질문으로 다음번 ICLEE를 더 기대하게 만들었습니다.
Connectivity Modeling Considering the Habitat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Wild Boars (Sus scrofa L.) (이현정)
2022.11.10.-11.11
2022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제주 미래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임태양 석박통합과정 학생, 이현정, 이세민, 김채영, 김지윤 석사과정 학생, 정상준 학부연구생은 구두발표, 김경태 석사과정 학생은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그중 김채영 석사과정 학생과 정상준 학부연구생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우수발표자로 선정되는 좋은 소식이 있었습니다. 수상 축하하고 모두들 학술대회를 준비하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봅시다!
UAV 기반 OCR 딥러닝을 활용한 외래거북류 개체식별 연구(임태양, 김태경, 김지윤, 김휘문, 정상준, 강완모, 송원경)
도시생태계 내 오소리(Meles leucurus)의 행동권 분석(이현정, 김경태, 임태양, 김지윤, 이세민,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반영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이세민, 김경태, 김휘문, 김수련, 최재용, 박찬, 송원경)
SSP 시나리오 상세화 생태기후지수를 적용한 붉가시나무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김경태, 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이세민, 이현정, 조재필, 최재용)
국내 민물거북류 모니터링을 위한 카메라트래핑 적용 사례 검토(김지윤, 김채영, 김휘문, 정상준, 구교성, 송원경)
시민참여형 무미양서류 음성신호 데이터 수집 및 활용(정상준, 김경태, 김채영, 이세민, 이현정, 김도훈, 남경현, 박수아, 이호성, 김다은, 신아영, 장정훈, 전승욱, 송원경)
(포스터)오픈소스 알고리즘을 활용한 무인센서 카메라 트래핑 데이터 분류방안(김경태, 이현정, 이세민, 김채영, 김보민, 송산해, 전승욱, 송원경)
2022.11.09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성과발표회가 코엑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실에서 참여하고 있는 ‘도시 생물종 맞춤형 서식환경 관리 기법 개발’ 과제와 ‘Bio+City 구현을 위한 회복력 향상 패키지 기술개발’과제에 대해 박찬 교수님과 김남춘 교수님께서 각각 발표해주셨습니다. 이후에는 시민을 포함한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토론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올해 과제가 잘 마무리되면 좋겠습니다.
2022.08.15-08.19
공간생태연구실에서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미국 최대 생태학회인 ESA 2022에 참가 및 구두 발표를 진행하고 전 세계 생태학자들과 연구를 공유했습니다.
영어로 구두 발표를 준비하느라 노력한 연구실 대학원생들 고생 많았습니다. 국제 학술대회는 국내와 다른 또 다른 울림이 있어 많은 걸 느꼈을거라 생각합니다. 남은 연구실 생활도 항상 긍정적으로 재밌게 마무리 합시다. 수고했습니다 !
ESA 2022에서는 2019년 이후부터 쌓아온 총 4건의 연구 실적을 공유했습니다.
Can citizen science be used with aritifical nest box monitoring (김경태)
Urban heavy metal concentrations may affect paridae survival(이세민)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mels mels living in urban ecological corridors using remote wireless tracking(김채영)
eDNA compliments moniroting and occupancy estimation of urban terrestrial species (김휘문)
2022.06.20-21
연구실에서는 환경부 과제를 진행하면서 2년 동안 인공새집을 이용한 시민과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김경태 학생을 중심으로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교에서 인공새집을 모니터링하는 생태프로그램을 진행 중입니다. 인공새집 모니터링에 적극적인 참여를 희망한 몇 개 학교 중, 이번에는 합천가야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공간생태연구실과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이야기"를 주제로 환경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프로그램은 발표 및 토론, 둥지 내부 재료 분해 및 분류 실습, 에코백 꾸미기 실습, 담당 교사님 인터뷰, 학생 설문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유치원생과 저학년 뿐만 아니라 고학년 학생들 역시 적극적으로 교육과 실습에 참여하여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왜 인공새집을 설치해야 할까요? 둥지는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을까요? 왜 우리는 자연에 관심을 갖고 보전해야 할까요? 다양한 질문과 경험이 쌓여가고, 어린 학생들의 생태 감수성이 무럭무럭 자라나길 기대합니다.
2022.6.7
이번 학기를 마지막으로 단국대학교에서 36년 근무하신 김남춘 교수님이 퇴임을 맞게 되었습니다. 공식적인 퇴임식은 대학에서 따로 진행되지만, 이번 녹지조경학 전공 학생회에서 김남춘 교수님과 작년에 퇴임하신 최준수 교수님을 위해 퇴임식을 준비해 주었습니다.
김남춘 교수님은 조경학과 교수로서 자연환경, 생태복원 분야에 가장 중요한 전문가로 활동하셨습니다. 지금 제도화된 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등 생태복원의 중요한 역사가 김남춘 교수님과 함께 했습니다. 단국대학교에서도 조경학 전공 개설, 대학원 운영 등에 큰 공헌을 하셨고, 현재 많은 석박사 제자들이 김남춘 교수님의 뒤를 잇고 있습니다.
최준수 교수님은 잔디와 지피식물 전문가이십니다. 다양한 한국잔디 품종 육성, 관리 등에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하셨고 국제협력을 추진하셨습니다. 2002년 월드컵 당시 조직위원회에서 잔디분야 시설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전국 월드컵경기장 관리를 지도하기도 하셨습니다.
그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이제는 무거운 책임감과 의무를 조금 덜어 내시고 가벼운 마음으로 행복한 일상을 보내세요. 늘 건강하세요.
2022.6.3
봄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늦은 6월 3일 금요일, 2022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가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도 연구실에서 많은 학생들의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학부연구생인 김보민, 정상준 학생이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이 고민했고, 중요한 것들을 배웠으리라 생각합니다. 김채영 학생은 김휘문, 조재필 박사님과 함께 준비한 "SSP 시나리오에 따른 고로쇠나무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으로 우수발표자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여러 프로젝트와 개인적인 고민으로 기초를 완성한 이번 발표자료가 논문으로 잘 마무리되길 기대합니다. 임태양 학생은 진행하고 있는 모니터링 과제를 위해 학회 참석을 하지 못해 아쉬웠네요.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연구실에서 참여하고 있는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사업 회의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특별세션에서 김경태 학생이 시민과학 분야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4차년도의 성과가 잘 마무리될 수 있도록 힘내봅시다.
SSP 시나리오에 따른 고로쇠나무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김채영, 김휘문, 송원경, 조재필, 최재용)
NDVI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경관 단위 산림변화 분석(이세민, 김휘문, 송원경, 최재용)
초중고 학생들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인공새집 모니터링 사례를 중심으로(김보민, 김경태, 송원경)
시민기반 무미 양서류 음성신호 데이터 활용방안(정상준, 김경태, 송원경)
시민과학을 활용한 도시생태계 건강성 취약성 평가방안(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송원경)
(포스터)멧돼지 군집분석을 통한 잠재 서식 적합성 분석 개선(백경열, 김호걸, 박현준, 송윤주, 정승규, 김유진, 현지연, 이승민, 박찬, 송원경)
2022.5.12
스승의 날은 아직 어색합니다.
여러분에게 기억될 수 있는 선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4.26-5.3
연구실에서는 외래생물 분포 확산 탐지모델 개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구대상지에 대한 드론 촬영을 통해 공간데이터 구축하고 있습니다. 외래거북류, 뉴트리아, 라쿤, 대만꽃사슴 등 외래종이 주로 서식하는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창녕 우포늪, 안산 시화호, 천안 천호지, 굴업도 등을 정기적으로 촬영하고 자료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인천 굴업도는 사람이 엎드려서 일하는 것처럼 생겼다는 것에서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흑염소와 대만꽃사슴을 방목하여 현재는 그 개체수가 매우 늘었고, 이 때문에 대만꽃사슴의 서식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대상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입지와 면적 특성상 일주일의 조사 기간 동안 열심히 드론촬영을 진행하느라 임태양, 김지윤 두 학생이 많이 고생했습니다.
2022.4.1
올해 봄은 평년보다 조금 쌀쌀해서 수목원 식물의 개화일이 조금 늦어졌지만, 천리포수목원은 평화롭고 아름다운 장소였습니다. 올해에는 단국대 공간생태연구실과 시립대학교 융합환경계획연구실이 함께 참여하여 천리포수목원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과제를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올해 수목원에 방문해 보니 CI가 바뀌어 있었습니다. 천리포수목원에는 호랑가시나무가 대표식물 중 하나인데, 완도호랑가시나무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CI를 만들었다고 하네요. 좋은 날에 천리포수목원에 방문해서 전 세계적으로 잘 보존되고 있는 다양한 식물의 아름다움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2022.2.25
단국대학교 공간생태연구실과 서울시립대학교 융합환경계획연구실이 공동으로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13시 부터 17시까지 진행된 세미나는 총 3개의 세션과 1개의 특강으로 준비되었습니다. 첫 번째 세션은 "시민과학과 모니터링"을 주제로 서울시립대 박소민, 단국대 김경태 학생이 발표하였고 두 번째 "모델링 활용" 세션에서는 서울시립대 백지원, 단국대 김휘문 학생이 미세먼지, 환경DNA 등 환경생태분야 현안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를 준비하였습니다. 특강을 준비해 주신 서울대 이동근 교수님은 "왜 도시에 그린인프라가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조경분야의 현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참여한 대학원생과 학부생들의 큰 관심을 이끌어 내었습니다. 세 번째 세션은 "공간분석 연구 방법"을 주제로 서울시립대 최재연과 조민균 학생, 단국대 임태양 학생이 공간 및 데이터 처리에 대한 방법론을 공유하였습니다. 바쁜 일과 속에서 세미나 준비를 위해 고생한 대학원생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세미나는 단국대, 서울시립대 대학원생 외에도 많은 학부생과 청주대, 영남대 학생 등 총 50명 이상이 참여한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행사를 크게 개최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전공과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감사함을 전합니다. 오늘 석박사 연구자들은 연구 성과를 교류하며 본인의 관심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학부생들은 연구자의 삶이 어떤 것인지 살짝이나마 엿보는 기회가 되었겠네요. 아무쪼록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미래에 오늘의 연결이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길 기원합니다.
세션1-1) 벚꽃 시민조사 데이터 이용(서울시립대 박소민)
세션1-2) 인공새집 모니터링(단국대 김경태)
세션2-1) 미세먼지 영향예측(서울시립대 백지원)
세션2-2) 환경DNA 활용 육상종 모니터링(단국대 김휘문)
특강: 왜 도시에 그린인프라가 필요한가(서울대 이동근 교수)
세션3) 원격탐사 활용 공간 모니터링(단국대 임태양)
줌 세미나 참여자
2022.2.16
꺾인 줄 알았던 추위가 졸업식을 앞두고 칼 같은 차가운 바람과 함께 찾아왔습니다. 가뜩이나 코로나로 인해 공식적인 졸업식에 참여하기 어려웠던 천안캠퍼스 학생들에게는 더 아쉬운 날씨였네요. 그렇지만 많은 졸업생과 이들을 축하해주기 위한 가족, 친구, 후배들이 오랫만에 얼어있던 캠퍼스를 따뜻하게 덥혀 주었습니다.
2022년 단국대학교 봄 학위수여식은 공식적으로 죽전캠퍼스에서 개최되고 온라인으로 생중계되었습니다. 올해 단국대에서는 5천 명 이상이 졸업했다고 하네요. 공간생태연구실에서도 두 명의 학부연구생이 졸업을 맞게 되었습니다. 김채영 학생은 석사과정도 연구실에서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연구생이었던 송산해 학생은 전북대학교에서 산림분야로 석사과정에 진학할 예정이라고 하니, 학과는 달라도 언젠가 또 만나게 될 날이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경험해보지 못한 일 앞에서는 그 누구도 자신감을 갖기 쉽지 않습니다. 세월의 힘은 물방울이 만들어 낸 거대한 석회동굴과 같이 여러분에게 많은 것들을 이야기해 줄 것입니다. 선배나 선생님, 부모님, 어르신 등의 모습으로 여러분에게 많은 조언과 잔소리를 들려주었던 분들을 이해하게 될 날도 얼마 남지 않았겠네요. 시행착오는 젊음에게 주어진 특권이니 맘껏 누리고 성장하고 행복을 위해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작은 실수에도 크게 좌절하지 않도록, 모든 졸업생들에게 행운이 함께하길 기원하겠습니다.
2022.1.24 - 2.14
< 2022 앞마당 조류 모니터링단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2022년 "전국으로 확대된 앞마당 조류 모니터링단"을 모집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모집인원 : 선착순 700명(예정)
지원자격
모바일 앱을 사용할 수 있는 전국 누구나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
지원절차 및 일정
접수기간 : 2022년 1월 24일 ~ 2월 14일
접수방법 : 참여신청 링크
최종발표 : 2022년 2월 이내(개별 연락)
활동기간 및 내용
활동기간 : 2022년 3월 1일 ~ 9월 1일까지(약 6달간 진행)
활동내용
1) 새집 만들기(거주지로 새집 만들기 세트 배송)
2) 새집 설치하기(거주지 근처 적당한 장소에 새집 설치)
3) 새집 관찰하기(일주일에 한 번 설치한 새집 관찰/사진 촬영으로 기록)
기타 문의 사항
2022.1.11
해가 바뀌고 도시생태계 건강성 과제도 마지막 연차를 맞게 되었습니다. 행정적으로는 총괄 과제와 세부 과제가 분리되었지만 마지막 연차이니 두 과제의 연계성을 위해 연구진 회의를 계속 함께하게 될 것 같네요. 몇 년이 지난 후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얼굴을 확인해 보는 것도 작은 즐거움일 것 같습니다.
환경DNA, 카메라트래핑, 생태통로 모니터링, UAV, LiDAR, 다중분광영상, 무선추적, 연결성 모델링, 종분포모형 등 다양한 연구실의 방법론을 발전시킨 이 과제가 올 한 해 만족할 만한 성과로 마무리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