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윤 : 신중년 랩소디
때
스크리닝 프로그램 : 2024. 10. 24. ― 10. 30.
*정오부터 20분 간격으로 상영합니다.
*10월 30일(수) 소현문 정기휴무일에도 임시 운영합니다.
*GV(대화) : 2024. 10. 26.(토) 15:00~16:00
곳
소현문
현지윤 : 신중년 랩소디
때
스크리닝 프로그램 : 2024. 10. 24. ― 10. 30.
*정오부터 20분 간격으로 상영합니다.
*10월 30일(수) 소현문 정기휴무일에도 임시 운영합니다.
*GV(대화) : 2024. 10. 26.(토) 15:00~16:00
곳
소현문
고령 친화적 사회 공동체를 가꾸는 움직임으로, 소현문은 10월 마지막 주를 ‘창의적 노화(creative aging) 주간'으로 정하고, 현지윤 신작 상영회 《신중년 랩소디》를 열어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번 스크리닝 프로그램은 신중년 문화의 고유함, 그 "징글징글함"에 보내는 무한한 사랑이자, 인생의 제2막을 열어가는 누군가의 행보에 춤과 노래로 격려하는 자리입니다. '열정 사랑 평화 꿈', '하얀 밤', '신중년 디스코' 세 편의 영상을 하나로 엮는 이번 기획에서 현지윤 작가는 지난 10여년 동안 이어온 커뮤니티 아트, 회화, 뮤직 비디오 형식의 연작에 또 다른 교차점과 분기점을 살펴봅니다.
작가의 글(1)
중년 세대를 대상으로 한 미디어 수업을 진행하던 어느 날이었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수업에 참여하시던 어머님께서 수업이 끝나고 다가오시더니 그동안 아무도 하지 않았던 질문을 하기 시작하셨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에 답변을 하며 마주친 눈빛에는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가득했다. 순수한 광기가 느껴지는 맑은 눈빛에 기가 눌려서 살짝 뒷걸음질을 쳤다. 수업이 끝난 뒤에도 열성적으로 질문을 문자로 보내셨고, 많은 궁금증을 해소하신 듯 보였다. 그 눈빛이 인상 깊어서 가끔씩 떠올리곤 했다. '신중년 랩소디'는 그 눈빛에서 시작되었다.
〈열정 사랑 평화 꿈〉은 신중년 세대가 바라는 이상을 담아낸 힘찬 구호다. 강렬한 국악의 리듬에 힘차게 솟아오르는 중년 세대의 역동적인 모습을 담았다. 새로운 ‘꿈’을 향한 ‘열정’과 ‘사랑’, ‘평화’ 로운 삶을 염원하며 구호를 외친다.
〈하얀 밤〉을 위해 제작한 회화 무대 〈하얀 밤 #01―#05〉는 5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었다. 한 중년 여성의 삶의 순간들과 고요한 내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회화 무대를 미디어로 확장하여 감정의 여정을 신체로 승화시킨다. 무용가는 회화에서 전달된 감정을 몸짓으로 풀어내며, 관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구조물들은 고립된 공간이자 동시에 감정의 교차로로 기능하여 여성이 마주하는 내적 갈등과 외부의 시선을 반영한다. 무용가는 이러한 구조물 사이에서 움직이며, 각 공간이 지닌 의미를 몸으로 표현한다. 회화 속에서 정지된 감정을 생명력 있는 동작으로 승화시키며, 중년 여성의 내면을 심도 있게 표현한다. 〈하얀 밤〉은 중년 여성들이 겪는 외로움과 고립감을 드러내면서, 이를 극복하려는 내적 투쟁과 희망의 순간들을 동시에 포착한다.
〈신중년 디스코〉는 신중년 세대의 ‘인생 제2막’을 주제로 한 디스코 장르의 음악으로 다시 한번 삶의 주인공으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는 모습을 그린다. 과거의 젊은 시절에 대한 그리움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향해 더욱 주체적으로 나아가며 여전히 타오르는 꿈과 희망을 노래한다. 그들의 새로운 도전과 희망, 사랑, 열정을 응원하며, 신중년 랩소디!
작가의 글(2)
‘오팔(OPAL)은 올드 피플 위드 액티브 라이프(Old People with Active Life)의 영문 앞글자를 따서 만든 말로 대한민국의 베이비붐 세대를 대표하는 ‘1958년생’을 뜻하기도 합니다. 베이비부머는 한국 전쟁직후 출생률이 급격히 증가한 1955년에서 1963년까지 태어난 사람들로 포괄적으로 5060세대는 대한민국 인구의 28%를 차지하는 거대한 집단입니다. 특히 한해에 90만명이 태어난 58년생 개띠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 이전에는 오팔세대가 고령층에 속했지만, 단순히 ‘베이비부머’라는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탄탄한 경제력과 안정적인 삶의 기반을 바탕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060 세대는 정년과 퇴직을 하고 사회생활을 마무리 하는 기존 통념과는 달리 퇴직 후에도 자신을 위해 끊임없이 투자하고, 소비를 통해 만족스러운 삶을 일구어나가고 있습니다. 새로운 중년이 나타났다 하여 ‘신중년’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고, 늘어난 수명에 맞추어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설계하고 본인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에도 익숙하고, 유투브 플랫폼의 다수 소비층으로 주목 받을 정도로 신기술에 적응해가는 세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분명 긍정적인 인생 2막을 주체적이고 활기차게 보내는 신중년 세대들도 있지만, 58년 개띠들은 또다시 ‘100세 시대’라는 수명 연장의 첫 세대가 되면서 험난한 인생 2막을 준비 없이 맞이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심한 취업난으로 효도는 커녕 부모의 품으로 되돌아온 ‘캥거루 자녀’들을 책임져야 할 신세에 놓인 경우도 있습니다. 빈곤한 노후를 맞지 않으려면 80~90세까지는 안식 없이 또다시 생활전선에 나서야 합니다. 하지만 그들을 기다리는 안정된 일자리는 극히 드뭅니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 자신들과는 상관이 없을 것 같았던 4차 산업혁명이라는 ‘괴물’이 갑자기 출현하면서 예측할 수도, 거부할 수도 없는 현실에 당면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예상치 못한 100세 시대를 맞아 수명 연장에 따른 교육과 건강관리 등도 또 다른 부담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개인의 준비와 노력뿐만 아니라 국가에서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미칠 사회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을 마련하는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8년 개띠들이 태어난 지 60년이 넘었고, 숨 가쁜 시대를 살아온 그들을 기다리는 건 죽을 때까지 일을 놓을 수 없는 피곤한 현실이기도 합니다.‘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지막 세대, 자식에게 버림받는 최초의 세대’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어느 시대나 어느 세대나 고민과 걱정이 자리하고 있지만, 제가 중년 세대에 대해 담는 작업을 하겠다고 결심한 가장 큰 이유는 작가가 아주 가까이서 지켜 본 작가 본인의 부모님 세대의 이야기이고, 누군가의 부모님이자 자식의 이야기 일 수 있습니다. 젊은 세대로서 중년 세대에 공감하는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이해되지 않아 그 간극이 좁혀지지 않는 세대 간의 틈도 있습니다. 삶의 이야기를 수집하면서 이전에 이해하지 못해서 벌어진 틈새를 조금은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중년의 삶을 마주하고 기록하면서 그들의 삶을 되짚어보고, 신중년 세대들의 가장 보편적인 이야기를 담아내고 싶습니다.(글 현지윤)
GV 패널
〈신중년 랩소디〉 사람들(스태프, 출연자)
주최
소현문
주관
현지윤, 백림기획, 마음랩
홍보물 및 대본집 디자인
윤희선(희비 스튜디오)
사진/영상 기록
김해찬
후원
경기도, 수원특례시, 경기문화재단, 수원문화재단
*수원문화재단 「2024 경기예술활동 지원사업」 선정작
HYUN Jiyun : New Middle Agers Rhapsody
Date
Exhibition : 24 ― 30 October 2024
GV : 15:00, 26 October 2024
Venue
Sohyunmun
As part of an ongoing effort to foster an age-friendly community, Sohyunmun designates the last week of October as ‘Creative Aging Week’ and warmly invites you to the premiere screening of New Middle Agers Rhapsody, a new work by artist Hyun Jiyun. This screening program is a celebration of the unique and “delightfully over-the-top” culture of Korea’s middle-aged generation. It offers joyful encouragement—through music and dance—to those stepping into the second act of their lives. The three-part video series—‘Passion Love Peace Dream’, ‘White Night’, and ‘Middle-Aged Disco’—comes together in this special event. In this work, Hyun Jiyun expands on a long-standing artistic practice that spans community art, painting, and music video, creating new intersections and departures in storytelling.
Artist’s Note (1)
It happened during a media class I was teaching for middle-aged participants. One day, a woman who had been taking the class with curious eyes approached me after the session. She started asking questions—questions no one else had thought to ask. As I answered, her eyes sparkled with a deep desire to learn. There was something intense and pure in her gaze, almost like a kind of gentle madness, and I found myself instinctively taking a small step back. Even after the class, she sent follow-up questions by text with great enthusiasm. It seemed she was finally finding the answers she had long been looking for. That gaze stayed with me—it would come back to me now and then. New Middle Agers Rhapsody began with that gaze.
Passion Love Peace Dream is a powerful slogan that captures the ideals cherished by the middle-aged generation. Set to the strong rhythm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video portrays the energy and vitality of people in midlife. With voices raised in unison, they chant for a life filled with passion, love, peace, and new dreams.
The painted stage White Night #01–#05, created for the video White Night, consists of five structures. These represent moments in the life of a middle-aged woman, revealing both her quiet inner world and her many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ainted stage is expanded through media, turning emotion into body movement. A dancer expresses the emotions from the paintings through gestures, offering the audience a new way to experience the story. The structures function as both isolated spaces and emotional crossroads. They reflect the inner struggles and social pressures faced by women. As the dancer moves between these structures, each space becomes a stage for physical expression. By transforming still emotions from the paintings into vivid motion, the dancer brings the inner world of middle-aged women to life. White Night captures the loneliness and isolation they often feel, while also showing moments of inner strength and hope.
New Middle Agers Disco is a disco-style song about the ‘second act of life’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It shows them stepping back into the spotlight, writing their own stories once again. Rather than longing for their youth, they move forward with confidence toward the present and future—still dreaming, still full of hope. Cheering on their new challenges, hopes, love, and passion—New Middle Agers Rhapsody!
Artist’s Note (2)
“OPAL” stands for “Old People with Active Life.” In Korea, the term is also used to refer to those born in 1958—a key part of the country’s baby boomer generation. Baby boomers in Korea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during a time of rapid population growth after the Korean War. This group, now in their 50s and 60s, makes up about 28% of the entire population. Among them, those born in 1958, known as the “Year of the Dog” generation, are especially large in number—with over 900,000 births in that year alone. While this generation used to be seen simply as the elderly, many now live active, independent lives. Thanks to financial stability and a strong social foundation, they have created their own unique lifestyle that cannot be summed up by the term ‘baby boomer’ alone. Unlike past generations who often stepped away from social life after retirement, today’s 50s and 60s continue to invest in themselves, find joy in spending, and shape fulfilling second chapters of their lives. Because of this shift, a new word has emerged—‘New Middle Agers’, or Sinjungnyeon in Korean. They are also highly adaptable to new technology: they use smartphones with ease and are a major audience on platforms like YouTube. This generation is redefining what it means to age—actively shaping their own lives, seeking purpose, and embracing change.
Of course, many in the middle-aged generation today—especially those born in 1958—are actively and confidently living the second act of their lives.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the first generation to enter what is now called the ‘100-year life era’, often without enough preparation.
Some are in difficult situations, now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adult children who, due to job shortages, have returned home instead of becoming independent. These so-called “kangaroo tribe” put an unexpected burden on their aging parents. To avoid falling into poverty in old age, they must keep working into their 80s or even 90s, without real rest. But stable jobs for them are very hard to find. On top of that, the sudden arrival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with AI, the Internet of Things(IoT), and virtual reality(VR)—has created a future that feels unfamiliar, unpredictable, and impossible to ignore. It is a reality they never imagined they would have to face.
With the unexpected arrival of the 100-year life era, living longer has brought new challenges—not just in terms of work, but also in education, healthcare, and managing one’s overall well-being. It’s no longer just about personal effort and preparation. I believe that society, and especially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long-term plans and safety nets to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s retirement. More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ose born in 1958 came into the world. After living through decades of intense change and hard work, many now face a future where they may have to keep working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ere is even concern that they may become ‘the last generation to care for their parents, and the first to be abandoned by their children.’
Every generation has its own worries and struggles. But the reason I chose to focus my work on the middle-aged generation is simple: this is the story of my parents’ generation—people I’ve observed closely. And their story could also be yours. They are someone’s parents, and at the same time, someone’s children. As someone from a younger generation, there are things I can relate to, but also many things I still don’t fully understand. There is a gap between generations that remains hard to close. But through collecting stories of real lives, I hope to bridge that distance, even just a little. Through this project, I want to face, reflect on, and document the lives of the middle-aged. My goal is to capture the most common and honest stories of the new middle agers—their reality, their struggles, and their hopes. (Text by HYUN Jiyun)
Hosted by
Sohyunmun
Organized by
HYUN Jiyun, Maum Lab, White Forest Agency
Poster and script book designed by
YOON Heesun(Heebee Studio)
Curated by
PAIK Philgyun
Supported by
Suwon City, Suwon Cultural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