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인 : 그 모든 일련의 질량 없는 것들
배지인 : 그 모든 일련의 질량 없는 것들
*전시 제목에서 권민경의 시 「팀파니 연주자여 내게 사랑을」 (『온갖 열망이 온갖 실수가』, 2024, 문학동네) 구절을 인용했다.
때
전시 : 2024. 11. 8. ― 12. 10.
권민경 시 낭독 : 2024. 11. 8. 17:00―18:00
곳
소현문 (수원 팔달구 월드컵로357번길11-20)
위아워스(수원 팔달구 월드컵로357번길11-21)
바르토스 커피 랩 (수원 팔달구 세지로 442)
푸른 멍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영화, 사진이론가이자 역사철학자인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S. Kracauer)는 오래된 할머니의 사진이 낯선 두려움(uncanny)의 감정을 자아낸다고 말한다. 현재의 모습과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사진 속 젊은 시절의 할머니는 시종일관 웃고 있다. 어딘지 모르게 닮았지만 전혀 다른 모습, 환하게 웃고 있는 그 모습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일까. 크라카우어는 사진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과 함께 할머니의 “사진 속 미소는 삶으로부터 추출된 것이지만 그것은 더 이상 삶을 가리키지 않는다”*고 적었다. 삶을 가리키지 않는 미소, 사진 속 미소는 그 안에 박제된 시간 속에 영원히 봉인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사진이 가지는 특징이다.
배지인은 이를 중첩시켜 그림으로 옮기는 작업을 시도한다. 그의 그림은 가족사진에서부터 출발하는데, 작가 자신 혹은 누군가의 유년기가 담긴 어린 시절의 사진들이 여러 겹으로 포개어져 나타난다. 크라카우어가 바라보았던 할머니의 젊은 시절 사진처럼, 과거의 시간이 그대로 봉인되어 있는 이 낡은 가족사진들은 어딘지 모르게 불안감을 야기한다. 그것은 아마도 시간이 외면한 사진 속 자신과 현재의 자신 사이에서 비롯된 간극이자 괴리에서 발생할 것이다. 이 간극의 틈새에서 낯선 두려움의 감정이 싹튼다. 더욱이 사진은 카메라 렌즈의 위치나 각도에 따라 피사체의 선명도가 결정되는 반면, 그의 그림은 오로지 작가의 작위적 선택으로 인해 흐리거나 선명하거나 그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때때로 뿌옇게 표현된 얼굴들, 푸르스름한 색감이 더해진 배지인의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왠지 모를 그리움과 알 수 없는 불안이 함께 나타난다.
어느새 나조차도 너무 낯선 어린 시절 자신의 모습, 지금과 사뭇 다른 젊은 시절 부모의 모습, 그리고 이제는 얼굴도 잘 기억나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에서 작가가 찾아낸 것은 파편화된 기억의 잔상이다. 시간이 멈춘 자리에는 기억이 들어서기 때문이다. 시간과 기억의 술래잡기는 영원히 끝나지 않고 지속되지만, 우리는 사진을 통해 이들의 어느 순간을 포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놀이의 마지막 승자가 누구일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작가는 이 술래잡기에 동참하듯 사진을 선택하고 이를 화면에 옮긴다. 그가 여러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옮기는 순간부터, 사진에 박제된 시간이 하나의 기억이 되어 다시 그에게 돌아온다. 사진의 장면들을 엮어 직조한 화면은 여러 겹의 기억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기억은 때로는 달지만 때로는 아프고, 때로는 아련하지만 지극히 무심하고, 무심하다. 가족사진의 어느 장면들이 다시 돌아갈 수 있는 안식처라기보다, 다시는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상기할 뿐이다. 과거에 매몰된 개인은 그때로 돌아가고 싶은 것일까, 그때를 잊고 싶은 것일까. 배지인에게는 이러한 과거에 대한 향수가 푸른 멍처럼 남아있다.
언제부터 있었던 건지, 어디서 부딪힌 건지조차 기억나지 않는 멍 자국은 시퍼런 잔상처럼 꽤 오랜 시간 동안 몸에 흔적을 남긴다. 그렇게 생긴 멍은 의식도 하지 못할 만큼 아프지 않을 때도 있지만, 또 어느 때에는 살짝 건들이기만 해도 그곳이 몹시 쓰리다. 이는 마치 기억처럼, 언제부터 있었던 건지 어디서 생긴 건지조차 자신도 알 수 없지만 어느 때에는 조용히 사라지기도 하고, 또 어느 때에는 지독히도 오랫동안 남아서 자신을 괴롭힌다. 배지인은 이런 푸른 멍을 그림으로 옮긴다. 언제부터 있었던 건지도,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인지도 모를 기억을 담아 잔상처럼 흐트러뜨리고 멍처럼 푸르스름한 색감으로 화면을 덮는다. 그는 이 푸른 멍을 “온전한 어른이 되지 못한 불안”의 표현이라 말한다. 푸른 멍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글 이슬비, 독립큐레이터, 미학관 디렉터)
*Siegfried Kracauer, "Photo", in The Mass Ornament: Weimar Essays, trans. Thomas Y. Levi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p.48.
배지인의 글
윤곽 잃은 세계
시간이 사라진 세계에 살고 있다. 이 비어진 자리에 과거가 침범한다. 현재의 지평은 항시 뒤흔들리고 만다. 멀리서 다가오는 기억은 순차적으로 캔버스에 쌓이며 그 형상을 잃어버린다.
만화경
유한한 시간에서 벗어나고자 만화경을 들었다. 형형색색 반짝이는 빛이 스치는 광경에 취한다. 만화경 드는 시간이 잦아졌다. 살기 위해 선택했던 행동으로, 나는 알 수 없는 시간대에 정체한다. 일렁이는 잔상이 내 일상을 맴돈다. 탐험가가 망원경을 들 듯 만화경을 들고 앞으로 나아간다. 도착한 그 끝에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았다.
푸른 멍
푸른 멍이 좀처럼 낫지 않는다. 많은 기억이 슬픔으로 치환된다. 내일은 너무나도 모호하고 아득하다. 어제는 무너진 오늘을 안아준다. 희망찬 미래가 존재했던 지난 날의 설렘을 다시 만끽하고 싶다. 강에 황혼이 내려앉는다. 빛이 지는 순간은 그저 황홀하다. 푸른 빛으로 눈이 멀어간다. 온 몸이 멍으로 가득하다.
희미한 내일
인간은 미래를 상상하기에 현재를 온전하게 만족할 수 없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다. 실패와 환멸로 얼룩진 기억 조각과 불확실한 미래향 사이 간극. 우리는 이곳에서 불안과 공존한다. 다가오는 미래는 더 이상 과거 데이터로 예측되지 않는다. 미래는 점점 더 희미해진다.
운영시간
소현문 : 12:00―19:00, 매주 수요일 쉼
바르토스 커피 랩 : 08:30―19:00, 매주 일요일 쉼
위아워스 : 11:30―17:00, 매주 월요일 쉼
시 낭독
권민경
서문
이슬비
사진기록
양이언, 정희수, 김해찬
주최
소현문
주관
배지인, 백림기획, 마음랩
협력
바르토스커피랩, 위아워스
큐레이팅
백필균
전시 매니징
김해찬
후원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소현문 Sohyunmun
바르토스커피랩 Bartos Coffee Lab
위아워스 Weehours
BAE Jiyin_All These Massless Things
Date
Exhibition : 8 November ― 10 December 2024
Poem Recital : 5~6PM, 8 November 2024
Venue
Sohyunmun
Bartos Coffee Lab
Weehours
The Blue Bruise Lingers On
Film and photography theorist and philosopher of history Siegfried Kracauer once remarked that an old photograph of his grandmother evokes a sense of the uncanny. In the image, his grandmother—decades younger than he knew her—smiles brightly. Her face, eerily familiar yet strangely other, is frozen in a state of joy that bears little resemblance to the person she became. What, then, does this radiant smile point to? Kracauer, in his sharp reading of photography, writes that the "smile in the photograph is extracted from life, but it no longer refers to life."* A smile severed from its lived context, the expression captured in the image remains sealed within a time that is no longer accessible. It is embalmed—preserved outside the flow of life. And this, perhaps, is the fundamental nature of photography.
Bae Jiyin attempts to translate this layered temporality into painting. Her works begin with family photographs—images that capture childhood moments, whether her own or someone else’s. These fragmented recollections are superimposed, creating a dense visual field where multiple times converge. Much like the old photograph of Kracauer’s grandmother, these aged family photos carry a certain quiet unease. Their uncanny quality seems to emerge from the dissonance between the person depicted—forever young, sealed in the past—and the self that exists in the present. It is within this temporal rupture that the emotion of unfamiliar dread takes root. Whereas the clarity of a photograph is dictated by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camera lens, Bae’s paintings rely entirely on deliberate painterly choices—blurring or sharpening forms at will. Faces in her paintings often appear blurred, their outlines soft and unclear. With cool, bluish tones layered throughout, Bae’s works evoke a strange mix of emotions—an unexplainable sense of longing, and a subtle but persistent feeling of unease.
The artist looks into old photographs—images of her childhood that even she now finds unfamiliar, of her parents in their youth looking quite different from today, and of people whose faces she can barely remember. What she finds in them are fragments of memory. When time halts, memory fills the space it leaves behind. The endless game of tag between time and memory never truly ends, but photography allows us to capture a fleeting moment within it. Still, no one can predict who will have the final say—time, or memory. Bae joins this game through her paintings. She selects photographs and brings them onto the canvas. As soon as she layers multiple photos into one image, the frozen time inside them returns to her as a composite memory. The resulting image is a woven surface of overlapping memories—some sweet, some painful, some distant, some strangely indifferent. The scenes from old family photographs are not a refuge to return to, but rather a reminder that the past is no longer within reach. The self buried in the past—does it wish to return, or to forget? For Bae Jiyin, this longing for the past lingers like a blue bruise.
A bruise—one that you don’t remember when it appeared or what caused it—can linger on the body like a bluish trace for a surprisingly long time. Sometimes, it doesn’t hurt at all, almost to the point of being unnoticed. But at other times, even the slightest touch makes it ache sharply. Memory can be like that too: we don’t always know when it started or what brought it on, but it can either fade quietly or stay with us for a long time, haunting us. Bae Jiyin paints this kind of blue bruise. She captures memories whose origins are unclear—memories scattered like afterimages, spreading across the canvas in shades of blue. She describes this bluish mark as a visual expression of "the anxiety of not being a complete adult."
The Blue Bruise Lingers On. (Text by LEE Seulbi, Independent Curator & Director of Mihakgwan)
*Siegfried Kracauer, "Photo", in The Mass Ornament: Weimar Essays, trans. Thomas Y. Levi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p.48.
Artist’s Note by BAE Jiyin
A World Without Contours
I live in a world where time has disappeared. The past seeps into the empty spaces, invading the present. The horizon of the now is constantly shaken. Memories approaching from afar pile up on the canvas, gradually losing their shape.
Kaleidoscope
I picked up a kaleidoscope to escape the limits of time. I became intoxicated by the fleeting scenes of color and light. Holding the kaleidoscope became a frequent ritual—a way to survive. In doing so, I became stuck in an unknown time zone. Shimmering afterimages drift through my daily life. Like an explorer lifting a telescope, I lift the kaleidoscope and step forward. But at the end of the journey, nothing remains.
Blue Bruise
The blue bruise refuses to heal. So many memories are transmuted into sorrow.
Tomorrow feels vague and distant. Yesterday embraces the collapse of today. I want to feel again the excitement of a past where a hopeful future once existed. Dusk settles over the river. The fading light is nothing short of dazzling. My vision blurs in blue. My body is covered in bruises.
Faint Tomorrow
Humans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present because they imagine the future. We are incomplete beings. There is a gap between the shards of memory stained by failure and disillusionment and the uncertain direction of what lies ahead. We coexist with anxiety in this in-between space. The future can no longer be predicted by the patterns of the past. It becomes fainter each day.
Open hours
Sohyunmun, 12:00~19:00, closed on Wed.
Bartos Coffee Lab 08:30~19:00, closed on Sun.
Weehours 11:30~17:00, closed on Mon.
Poem Recital
Gwon Minkyung
Preface
LEE Seulbi
Hosted by
Sohyunmun
Organized by
BAE Jiyin, Maum Lab, White Forest Agency
Curated by
PAIK Philgyun
Photo recorded by
YANG Yian, JUNG Heesu, KIM Haechan
Exhibition managed by
KIM Haechan
Poster designed by
PPG
Supported by
Gyeonggi Provinc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