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기술의 발달과정
[해상기술]
3학년 2반 2조 조연우
해상 수송기술의 기초적 원리
선박의 3요소
1) 부양성
부력*의 원리를 이용 ⇒ 배의 표면적을 넓게 해서 물 위에 뜨게 됨.
2) 적재성
배는 사람 및 물자 수송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사람이나 물자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함.
3) 이동성
수송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 또는 물자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이용하여 사람과 배를 이동시키는 이동성이 있어야 함.
*부력: 물이나 공기에서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부력을 많이 받기 위해서는 밀도를 낮게 하거나 표면적을 넓게 하면 된다.
해상 수송기술의 발달 과정
출처: KTTA(전국기술교사모임)
기원전 5000년경 고대 이집트 ⇒ '파피루스'를 엮어 배를 만들어 이용. (갈대배)
해상 수송 기술 초기에는 목선으로 돛을 달아 사용.
이후 바람의 힘을 조절하는 범선 등장 ⇒ 대항해 시대가 열리게 됨.
19세기 초, 세계 최초의 증기선 발명(클레몬트). 수송 능력이 급격히 향상.
스크루를 이용하게 됨 ⇒ 바람 없이 동력으로 바다를 항해.
20세기 이후, 해양 수송 기술은 대형 증기 터빈*을 이용 ⇒ 대형 선박 등장.
고속운행 가능해짐, 원자력을 에너지로 사용 ⇒ 오랜 시간 항해 가능.
21세기에는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선박 등장.
수송의 효휼성, 안전성 더욱 향상(자율 운행 선박)
*터빈: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계. 일반적으로 증기, 가스, 물 등의 유체가 터빈 내부를 흐르면서 회전 운동을 생성하게 됨.
이미지 출처: LM2500(엔진명) https://www.gereports.kr/ge-lm2500-marine-gas-turbine-engine-from-ge-aviation/
해상 수송 기술의 활용
해상 수송 기술이 발전하면서 운송 능력과 안전성,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래에는 보다 더 발전된 기술을 통해 해상 수송이 더욱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으로 [해상 수송기술의 발전]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