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주 박사가 뉴로모픽 하드웨어 반도체 연구에 대한 공로로 NIH로 부터 Early career scholar Blitz Award를 수상하였고 the Brain Initiative에서 주관하는 NeuroAI workshop에 참석하여 관련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Nature Nanotechology에 출판된 김승주 박사의 뉴로모픽 하드웨어 연구가 여러 언론을 통해 "초저전력 AI 연산을 위한 뉴로모픽 하드웨어 개발" 의 제목으로 보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서울대 공대, 인공지능신문, 조선일보, 헤럴드타임즈, 국민일보, 한국교원신문, 뉴스와이어, 글로벌비즈뉴스, 월간리크루트, 베리타스알파, 미래환경신문, 일요저널, 한국강사신문, 스타트업앤, 투데이안, 시사코리아저널, 미디어데일, 특허방송, 디지털연합뉴스, 세라믹코리아
김승주 박사 독일 린다우에서 개최되는 노벨 수상자 회의에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연구자로 선정되어 40 여명의 노벨상 수상자들 및 전세계에서 선발된 600 여명의 젊은 과학도들과 교류하였으며 2024 Mainau 평화 선언에 동참하였습니다. [Link1][Link2] [Link3]
Photos with Nobel Physics Laureates. From left:
Prof. Konstantin Novoselov (2010) Graphene
Prof. Klaus von Klitzing (1985) Quantum Hall Effect
Prof. Brian D. Josephson (1973) Josephson Effect
김승주 연구원이 서울대학교 국제협력본부에서 주관하는 장기 해외연수 프로그램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김승주 연구원이 제주 라마다 호텔에서 열린 ENGE 2022 학회에서 "Vertically aligned two-dimensional halide perovskites for reliably perable artificial synapses" 의 발표내용으로 최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승주 연구원이 뇌의 구동방식을 본뜬 컴퓨팅 신소재의 연구로 서울대학교 인공지능연구원에서 주최하는 ‘제3회 율촌 AI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진-링크)
서울대 재료공학부, 뉴시스, 인공지능신문, 한국대학신문, 글로벌뉴스통신, 전자신문, 베리타스알파, 베타뉴스, 내외통신
김승주 연구원이 BK21플러스 창의인재 재료교육연구단에서 "Vertically aligned two-dimensional halide perovskites for reliably perable artificial synapses" 논문으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승주 연구원이 한국세라믹학회에서 "Vertically aligned two-dimentional halide perovskites for reliably operable artifical synapses" 논문으로 우수포스터 상을, 한국재료학회에서 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사진-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