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그는 인터넷 공간 안에서 하이퍼링크라는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가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법을 제안. 이를바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해 1991년에 배포. 발표와 동시에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급증하자 소스코드를 모두에게 공개.
팀 버너스리는 www를 배포 후 1994년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재단을 창설.
W3C는 웹표준을 지정하는 기관이며, HTML표준을 제정하는 단체.
ie11(R.I.P 22.06.15) / Firefox / Chrome / Microsoft Edge / Safari / Opera / Samsung Internet / Whale / Brave
제 1차 웹브라우저 전쟁 - 인터넷익스플로러의 승리
플러그인 - 웹브라우저와 연동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자 pc에 추가해 웹 브라우저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Active-X와 Flash가 있다.
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 플러그인으로 인해 웹사이트들이 무거워지자, ie를 제외한 웹브라우저 제공기업들이 모여 독자적으로 새로운 웹 표준 기관을 설립한다. Web Application 1.0을 표준을 작성하여 W3C의 채택을 받음. 2014년 10월에 HTML5 표준 권고안이 발표되었다.
제 2차 웹 브라우저 전쟁 - 모든 브라우저가 빠른속도로 업데이트를 진행, 구글 크롬의 압승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웹 언어의 한 종류.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이동(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태그, tag)로서 홈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쓰인다.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둔 스타일시트이다. 간단히 스타일시트라고 부르며, 한번 지정으로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벤트나 입력 값을 받아 동적인 처리를 목적으로 고안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HTML 문서에 내재되며,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스마트폰 시대가 되면서 다양한 운영체제가 등장. 한스 베스트버그(현,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즈 CEO )는 2020년 안에 500억개의 디바이스가 웹과 연결될 것으로 예측했다. 500억개의 디바이스가 모두 다른 운영체제를 가진다면 각각 개발해야하지만, 웹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라면 그럴필요가 없다. 웹은 주인도 국적도 없는 모두에게 공개된 기술이므로 모든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HTML5 기반의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개발엔진 일렉트론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엔진 리액트 네이티브 등을 활용하여, 한번 개발로 여러장치에 대응하게 된다.
HTML5 기반의 데스크탑 App 개발엔진. 대표 App으로 스카이프, 워드프레스, 비주얼스튜디오코드 등이 있다.
HTML5 기반의 모바일 App 개발 엔진. 대표 App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등이 있다.
웹 UI·UX디자이너, 퍼블리셔로서의 접근방법은 반응형 웹이 있다. 제작하는 웹 페이지를 어떠한 디바이스에서든 최적화 된 사이즈로 서비스 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 이미지로만 화면 디자인을 해 오던 방식을 발전시켜, HTML, CSS, JS를 활용하여 마크업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 해야하는 것이다.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월드 와이드 웹(WWW)을 구현하기 위해 따라야 할 표준 또는 규격. 현재는 HTML5 버전이 기준이다.
W3C가 국제 표준화 기구로 이를 관리하며, 대표적 웹 표준으로 HTML, XHTML, CSS, JavaScript, 웹 사용에 대한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등이 있다.
장애인이나 고령자는 물론 어떤 사용자들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개념.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 방법으로는 쉬운 인식, 쉬운 운용, 쉬운 이해와 견고함을 기반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