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트리아 연방은 2025년 9월 16일에 '칼튼-페타르 연합왕국'이라는 이름으로 건국되었습니다. 이는 근대시기의 '칼튼-페타르 공국'을 바탕으로 재건국된 것이며, 9월 29일 왕실과 내각정부의 합의에 따라 국호와 국가상징이 '오리엔트리아'로 변경되었고, 이는 오리엔탈리아 왕국의 국호를 이어받은 것입니다. 11월 08일, 연합왕국에서 연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The Commonwealth of Orientria was founded on September 16, 2025, under the name of the "United Kingdom of Carlton-Petar." It was rebuilt based on the modern-day "Duchy of Carlton-Petar." On September 29, the royal household and the cabinet agreed to change the national name and symbol to "Orientria," inheriting the name of the Kingdom of Orientalia. and changed November 08, united kingdom to commonwealth.
오리엔트리아의 기원: 고대 타쿠(Taku) 왕국: 탐욕과 심판의 역사적 교훈
타쿠 왕국은 고대 동북아시아 해역의 역사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독특한 해양 문명입니다. 지정학적으로 쿠릴열도 북부와 북동부 해상 루트를 따라 약 75일 항해 거리에 위치했던 이 소왕국은 한때 풍요로운 어장과 광활한 삼림을 기반으로 평화를 누렸습니다. 타쿠는 뛰어난 항해술과 독자적인 야금술을 바탕으로 주변 소국들과 교역하며 일정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1. 번영의 시대와 왕조의 교체
타쿠는 초대 국왕 베른하림(Bernharm) 치세에 안정적인 통치 체제와 계율을 확립하며 번성했습니다. 왕실은 신전의 대리인인 '케엘'(Keel)의 조언을 받아 국정을 운영하는 이원적 통치 구조를 유지했으며, 이는 왕국의 정신적, 물질적 풍요를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기원전 3세기경 베른하림 왕이 서거하고, 그의 어린 아들 마르차(Marcha)가 왕위에 오르면서 왕국의 운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합니다.
2. 폭군 마르차의 출현과 국정의 파탄
세월이 흐르면서 마르차는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잃고 극심한 탐욕에 물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기존의 계율과 신전을 무시하며 백성들에게 가혹한 세금과 공물 징수를 강요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고는 잠시 불어났으나,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고 왕국 내부의 결속은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마르차의 탐욕은 단순한 재물 축적을 넘어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타쿠에서 배로 꼬박 1년이 걸리는 먼 해역의 '나크하' 지역에서 생산되는 청동빛 광물(靑銅光金屬)과 고대 유물에 광적으로 집착했습니다. 그는 이 금속이 인간 왕권을 신의 권위 이상으로 격상시킬 수 있는 신비한 힘을 가졌다고 믿었습니다.
3. 신전 모독 사건과 '타쿠의 대재앙'
세수(稅收)가 한계에 다다르고 국고가 다시 바닥나자, 분노한 마르차는 왕국의 정신적 중심지였던 신전으로 군대를 이끌고 진격했습니다. 그는 신의 대리인 케엘을 공개적으로 불러내 신의 권위를 모욕하고, 신성 모독적인 의식을 거행했습니다. 이 사건의 정점은 케엘의 목을 꺾어 흘러나온 청동빛 피를 모아 반지를 제작한 행위였습니다. 마르차는 이 반지를 착용하고 스스로를 '지상의 신'으로 선포하며 전횡을 일삼았습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이 사건이 발생한 그날 밤 타쿠 전역에는 '대재앙'이 닥쳤습니다. 하늘은 핏빛으로 변했고, 수개월간 지속된 가뭄으로 강은 말라붙고 경작지는 황폐해졌습니다. 타쿠의 생명줄이었던 어장마저 잠잠해지며 왕국은 급속도로 멸망의 길을 걸었습니다. 후세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케엘의 심판(The Judgment of Keel)'이라 칭합니다.
4. 폭군의 몰락과 '화해의 종'의 탄생
대재앙이 닥치자 왕국의 신하들과 절망에 빠진 백성들은 더 이상 폭정을 좌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봉기를 일으켜 왕궁을 습격하고 마르차를 사로잡았습니다. 신화적인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폭군의 심장을 꺼내 대리인 케엘의 상징적인 '손'(神聖한 봉인)으로 감싸 봉인하며 신에게 용서를 빌었습니다. 이 희생적인 속죄를 통해 타쿠에는 비로소 비가 내리고 생명이 다시 움트기 시작했습니다. 마르차의 심장은 청동빛 심장(靑銅心)으로 불리며 영원히 봉인되었습니다.
이후 타쿠 왕국은 폭군의 오만과 신의 심판, 그리고 왕국의 재생을 후대에 전하기 위해 특정한 의례 도구를 제작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타쿠의 역사적 상징으로 남아있는 '화해의 종(Bell of Atonement)'입니다. 이 종은 단순한 종교적 도구가 아닌, 권력의 오만과 통치자의 책임, 그리고 공동체의 속죄를 기억하는 국가적 상징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Ancient Story - The Kingdom of Taku: A Historical Lesson of Greed and Judgment
The Kingdom of Taku is a unique maritime civilization that cannot be overlooked when discussing the history of the ancient Northeast Asian seas. Located approximately 75 days' sailing distance from the northern and northeastern Kuril Islands along the maritime route, this small kingdom once enjoyed peace, fueled by abundant fishing grounds and vast forests. Leveraging its exceptional navigational skills and unique metallurgy, Taku traded with neighboring small states and secured a certain level of influence.
1. Era of Prosperity and Dynasties
Under the reign of its first king, Bernharm, Taku flourished, establishing a stable governing system and discipline. The royal family maintained a dual governance structure, governing under the advice of Keel, the representative of the temple. This system fostered both spiritual and material prosperity for the kingdom. However, the kingdom's fate entered a new phase when Bernharm passed away around the 3rd century BCE and his young son, Marcha, ascended to the throne.
2. The Rise of the Tyrant Marcia and the Collapse of the Nation
As time passed, Marcia lost the innocence of his childhood and became consumed by extreme greed. He ignored existing laws and temples, imposing harsh taxes and tributes on the people. This temporarily swelled the national treasury, but the people's lives were impoverished, and unity within the kingdom began to crumble.
Marcia's greed extended beyond mere wealth accumulation to an obsession with the "sacredness of power." He was particularly obsessed with the bronze minerals and ancient artifacts mined in the Nakhah region, a year's journey from Taku by ship. He believed this metal possessed mystical powers that could elevate human kingship above the authority of the gods.
3. The Temple Desecration and the 'Great Calamity of Taku'
With tax revenue reaching its limit and the national treasury once again depleted, an enraged Marcha led his army against the temple, the spiritual center of the kingdom. He publicly summoned Keel, the divine representative, to defy the divine authority and performed blasphemous rituals. This culminated in his act of breaking Keel's neck and collecting the bronze blood that flowed out, creating a ring. Wearing this ring, Marcha proclaimed himself the 'god of the earth' and exercised his tyranny.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night this incident occurred, a 'great calamity' struck all of Taku. The sky turned blood red, and months of drought dried up rivers and devastated crops. Even the fishing grounds, Taku's lifeline, were depleted, and the kingdom rapidly descended into ruin. Later historians would refer to this event as 'The Judgment of Keel.'
4. The Fall of the Tyrant and the Birth of the "Bell of Atonement"
When the great disaster struck, the kingdom's subjects and the despairing people could no longer tolerate tyranny. They rose up, stormed the palace, and captured Marcia. According to mythological accounts, they exhumed the tyrant's heart, sealed it with the symbolic "hand" (sacred seal) of their representative, Keel, and prayed for forgiveness from the gods. Through this sacrificial atonement, rain finally fell in Taku, and life began to sprout again. Marcia's heart, known as the Bronze Heart, was sealed forever.
The Kingdom of Taku subsequently created a specific ritual instrument to commemorate the tyrant's arrogance, the divine judgment, and the kingdom's rebirth to future generations. This is the "Bell of Atonement," which remains a historical symbol of Taku today. This bell became more than a mere religious instrument; it became a national symbol, remembering the arrogance of power, the ruler's responsibility, and the community's atonement.
화해의 종에 담긴 역사적 의미
'화해의 종'은 타쿠 역사의 주요 사건들을 색채와 구조로 상징합니다.
-노란색 상부 (마르차의 반지): 폭군 마르차의 탐욕과 권력에 대한 집착을 상징하며, 통치자에게 끊임없이 탐욕을 경계하라는 역사적 교훈을 제공합니다.
-붉은색 중앙 (케엘의 손): 신의 대리인 케엘의 분노와 정의로운 심판을 의미하며, 권력 남용의 결과를 경고합니다.
-노란색 하부 (말라버린 땅): 마르차의 폭정으로 인해 닥쳤던 타쿠의 대재앙과 황폐화를 상징합니다.
-파란색 하부 (재생된 생명): 백성들의 속죄와 노력으로 타쿠에 다시 찾아온 풍요와 생명의 회복을 의미합니다.
-청동색 구슬 (마르차의 심장): 종 안에서 울리는 청동 구슬은 봉인된 마르차의 심장입니다. 종을 치는 행위는 노란색 상부를 바라보며 과거의 죄를 되새기고, 청동 심장을 울려 올바른 통치와 윤리적 결정을 내리겠다는 맹세의 의식을 뜻합니다.
타쿠 왕국의 역사는 통치자의 윤리적 책임과 권력의 한계, 그리고 공동체의 정신적 가치가 한 국가의 운명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ell of Reconciliation
The Bell of Reconciliation symbolizes key events in Taku's history through color and structure.
- Yellow upper part (Marcha's Ring): Symbolizes the tyrant Marcha's greed and obsession with power, providing a historical lesson for rulers to constantly guard against greed.
- Red center (Keel's Hand): Symbolizes the wrath and righteous judgment of Keel, the representative of God, and warns of the consequences of abuse of power.
- Yellow lower part (Dried Land): Symbolizes the great disaster and devastation that befell Taku due to Marcha's tyranny.
- Blue lower part (Renewed Life): Signifies the restoration of abundance and life in Taku through the atonement and efforts of its people.
- Bronze bead (Marcha's Heart): The bronze bead that rings within the bell represents the sealed heart of Marcha. The act of ringing the bell symbolizes a ritual whereby one looks upon the yellow top, reflecting on past sins, and ringing the bronze heart, pledging to rule rightly and make ethical decisions.
The history of the Taku Kingdom remains a significant historical example of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of rulers, the limits of their power, and the impact of a community's spiritual values on the fate of a nation.
오리엔트리아 왕실 연대기 (타쿠 왕국 이후)
다음은 고대 타쿠 왕국(Taku Kingdom)의 유산을 이어받아 현대 오리엔트리아 연방(Commonwealth of Orientria)으로 발전한 왕실의 주요 역사 연대기입니다.
고대: 타쿠 왕국 (Taku Kingdom) - 베른하림 왕조의 번영과 몰락. - 화해의 종: 통치자의 윤리와 심판의 교훈.
중세 초 (공백기): - 마르차 폭군 이후 봉인된 심장 상징 계승. 신의 심판과 속죄의 기억.
중세 후기: 오리엔탈리아 왕국 (Kingdom of Orientalia) - 건국: 타쿠의 고대 유민들이 재건한 왕국. '동방의 땅' 이라는 의미로 국호 설정. 타쿠 왕실의 직계 후손이 왕위를 계승하며 '화해의 종' 의 정신을 통치 이념으로 삼음. - 동방의 재건: 타쿠의 정신적 유산을 이어받아 동방에 다시 세운 나라.
근대(1636년~1923년): 칼튼-페타르 공국 (Duchy of Carlton-Petar) 왕실 교체/분리: 오리엔탈리아 왕국이 외세의 압력이나 내부 분쟁으로 인해 약화되면서, 왕실의 두 주요 가문인 칼튼 가문과 페타르 가문이 연합하여 권력을 분점하는 공국(Duchy) 형태로 변화. 왕실의 권위는 약화되었으나 독립성 유지.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국가의 와해.
2025년 9월 16일: 칼튼-페타르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Carlton-Petar) - 주권 회복 및 재통합: 국제적 지위를 강화하고 통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칼튼 가문과 페타르 가문이 공국 형태를 벗어나 통합 왕국을 선포. 왕실 통합을 상징하는 새로운 국호 채택. - 통합된 주권: 두 가문 연합을 통한 완전한 주권 국가의 수립.
2025년 9월 29일~11월 08일: 오리엔트리아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Orientria) - 국호 및 상징 변경: 건국 13일 만에 국호를 오리엔트리아 연합왕국으로 변경. 이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정치적 의미를 담고 있음.
1. 역사성 강조: 중세의 오리엔탈리아 왕국의 정통성을 계승함을 대내외에 천명.
2. 국민 통합: 특정 가문(칼튼-페타르)의 이름보다 더 포괄적인 역사적 국호를 사용함으로써 국민적 통합 강화.
3. 상징 통합: '화해의 종' 상징을 현대적 형태로 재해석하여 공식 왕실 문장 및 국기에 반영. - 역사의 완성: 고대 타쿠와 중세 오리엔탈리아의 정신적, 역사적 유산을 현대 연합 왕국 체제로 완성.
Royal Chronology of the United Kingdom of Orientria (After the Kingdom of Taku)
The following is a chronology of the major historical events of the royal family that inherited the legacy of the ancient Taku Kingdom and evolved into the modern United Kingdom of Orientria.
Ancient: Taku Kingdom - The rise and fall of the Bernharim Dynasty. - The Bell of Reconciliation: A lesson in the ethics of rulership and judgment.
Early Middle Ages (Interregnum): - Inheritance of the Sealed Heart symbol after the tyranny of Marcha. A memory of divine judgment and atonement.
Late Middle Ages: Kingdom of Orientalia - Founding: A kingdom rebuilt by the ancient remnants of Taku. The name means "Land of the East." A direct descendant of the Taku royal family ascended to the throne and adopted the spirit of the "Bell of Reconciliation" as its governing ideology. - Reconstruction of the East: A kingdom reestablished in the East, inheriting the spiritual legacy of Taku.
Modern Period (1636–1923): Duchy of Carlton-Petar (Royal Change/Separation): As the Kingdom of Orientalia weakened due to external pressure and internal strife, the two main royal houses, the Carlton and Petar, united to form a duchy with shared power. The royal authority was weakened but independence was maintained. The country subsequently disintegr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ptember 16, 2025: United Kingdom of Carlton-Petar - Restoration of Sovereignty and Reunification: To strengthen its international standing and improve governance, the Carlton and Petar families abandoned their duchy status and declared a unified kingdom. A new national name was adopted to symbolize the royal unity. - Unified Sovereignty: The establishment of a fully sovereign state through the union of the two houses.
September 29, 2025~November 08, 2025: United Kingdom of Orientria - Change of national title and symbol: Just 13 days after its founding, the national title was changed to the United Kingdom of Orientria. This change carries the following histor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1. Emphasis on historical significance: Declar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legitimacy of the medieval Kingdom of Orientalia.
2. National unity: Strengthening national unity by using a historical name that is more comprehensive than the name of a specific family (Carlton-Petar).
3. Symbolic unity: The "Bell of Reconciliation" symbol was reinterpreted in a modern form and incorporated into the official royal coat of arms and flag. - Completion of history: The spiritual and historical legacy of ancient Taku and medieval Orientalia was completed into the modern United Kingdom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