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지역민과 함께하는 용지 미생물 탐험 행사 개최
본 연구팀은 지역민 및 중·고등학생 40여 명과 함께 수서 생태계 미생물 샘플링부터 현미경 관찰, 종 동정 등의 과학 체험 활동을 통해 과학의 즐거움과 지식을 나누었습니다.
[2025.06.22-06.27] 국제학술대회 ICOP/ISOP meeting 참석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본 연구팀은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학회(ICOP/ISOP 2025)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 Oral presentation
[2025.06.12] The ISME Journal 논문 출판 (IF: 10.8, JCR 1.8%)
본 논문에서는 연안과 외양 환경에 서식하는 Karlodinium 와편모류가 서로 다른 철 획득 전략을 통해 철 결핍 해양 환경에 적응함을 규명하였습니다. 전 세계 해양의 25% 이상이 철 결핍(HNLC region)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와편모류의 생존 전략에 대한 분자적·생태생리적 이해를 확장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어, Ecology 분야 상위 1.8%에 해당하는 최상위 저널에 개제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장세현 교수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Adrian Marchetti 교수팀의 국제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2025.06.05] 장세현 교수 '전남대학교 교육우수상' 수상
장세현 교수가 전남대학교「2024학년도 교육교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2.26] 양현준 대학원생 '2024 전남대학교 인재상' 수상
양현준 학생이 「2024년 전남대학교 인재상」 '우수 연구자' 부문에 선정되어 수상하였습니다. 본 부문은 전남대학교에서 우수한 연구 실적을 보유하고, 주저자로서 JCR 상위 5% 이내 최상위 수준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선발됩니다.
[2024.12.20] Algae 논문 출판 (IF: 3.1, JCR 9.2%)
본 논문에서는 코클로디니움(Margalefidinium polykrikoides)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 적조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bloom 지역과 주변 non-bloom 지역의 원생생물 및 후생동물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코클로디니움 적조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플랑크톤 간 상호작용의 근본적인 차이를 밝히고, 적조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양현준 학생이 주도하여 수행한 SCI 연구논문입니다.
[2024.12.07-12.13] 국제학술대회 AlgaEurope 2024 참석 (Athens, Greece)
본 연구팀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국제학회(AlgaEurope 2024 Conference Program)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 양현준, 서혜진, 조에덴 - Poster presentation
[2024.11.21-11.23] 제11차 차세대해양과학자워크숍 (제주 오리엔탈 호텔)
장세현, 멘토: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참석
[2024.11.06-11.08] 국내학술대회 한국조류학회 (소노벨 변산)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김민아 학생이 2024년도 한국조류학회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서혜진 학생이 우수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 Poster presentation
[2024.08.01] Marine Pollution Bulletin 논문 출판 (IF: 5.3, JCR 3.8%)
본 논문에서는 미세조류가 보름달물해파리(Moon jellyfish)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보름달물해파리와 여러 유해조류(Harmful algae) 종이 전 세계 연안에서 흔히 공존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들 간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해양 생태계 전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또한 미세조류 배양액이 잠재적으로 해파리 대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본 연구는 양현준 학생(현 석사 3학기 재학)이 주도하여 수행한 첫 SCI 연구논문입니다.
[2024.07.11] 2024년 대한민국 해양문화 대장정
장세현 교수가 '2024년 해양문화대장정-해양수산부 주최, 한국해양재단 주관' 발대식에 초청돼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2024.06.05] 장세현 교수 '전남대학교 우수신임교수상' 수상
장세현 교수가 전남대학교「2023년도 우수신임교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4.04.01]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논문 출판 (IF: 3.3, JCR 10.6%)
본 논문에서는 지구온난화가 북동중국해 원생생물 군집 변화에 미칠 잠재적 반응을 연구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서혜진 학생이 주도하여 수행한 첫 SCI 연구논문입니다.
[2023.11.05-11.10] 국제학술대회 ICHA 2023 참석 (Hiroshima, Japan)
양현준 학생이 국제학회(20th International Conferance on Harmful Algae)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 양현준 - Ignite talk and Poster presentation
[2023.11.01-11.03] 국내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컨벤션센터)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김연호, 김시은 학생이 2023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 양현준, 김윤희, 서혜진 - Poster presentation
[2023.09.01]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김시은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3.07.09-07.14] 국제학술대회 ECOP-ISOP joint meeting 참석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서혜진, 김윤희 학생과 오스트리아 국제학회에 참여 및 발표하였습니다.
: 장세현 - Oral presentation/ 서혜진 - Poster presentation/ 김윤희 - Poster presentation
[2023.07.03] 학생연구원/랩매니저 연구실 참여
정혜란, 김연호 학생과 조에덴 랩매니저가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3.06.12]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지원사업(BRL) 연구과제 선정
앞으로 3년간 전남대 이동욱(PI), 박희진 교수님 연구팀과 함께 "환경변화에 따른 혼합영양 식물의 영양모드 변환기작" 과제로, 해양 플랑크톤의 혼합영양능력(mixotrophy)에 대해 심도있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2023.06.05] Frontiers in Marine Science 논문 출판 (IF: 5.247, JCR 4.867%)
본 논문에서는 봄철 북동중국해에 존재하는 수괴들(특히, 제주 난류)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원생생물 군집의 조성과 종 다양성의 변화에 대해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북동중국해는 우리 해역에 쿠로시오 난류가 유입되는 지리적 관문으로써, 이곳으로부터 난류성 유해생물의 우리 해역 유입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본 논문은 학석사과정 김윤희 학생(학부 4학년)이 학부 2학년 겨울방학부터 연구에 매진하여 이룩한 성과로 주목 받았습니다.
[2023.05.01] 해양수산부 연구과제 선정: 2023-2027년
앞으로 5년간 "쿠로시오 한반도 해양위기 대응기술" 과제 공동연구를 통해, 한반도 해양현상 프로세스 규명을 위한 종합 관측 연구를 수행합니다.
[2023.01.19]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김연주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2.12.19]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논문 출판 (IF: 4.496, JCR 25.723%)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 3천여개 정점들의 eDNA 샘플 및 해양환경 자료를 분석하여, Suessiaceae 원생생물 그룹 내 종들의 생물 다양성, 글로벌 분포, 더 나아가 생태적 지위를 규명하였습니다. 그간, 너무 작은 세포 크기로 인하여 과소평가 되어왔던 Suessiaceae 종들의 수생 생태계 내 양적·생태학적 중요성을 밝혀냈으며, 동시에 eDNA 기반 빅데이터 분석법이 플랑크톤 생태생리 연구의 혁신 방법론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논문입니다.
[2022.12.05]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이동윤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2.11.02-11.04] 국내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강릉 리카이샌드파인)
서혜진, 김윤희 학생이 학석사 연구원으로 지난 1년간 수행한 본인들의 첫 연구 결과에 대한 학술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장세현 Oral presentation/ 서혜진 Poster presentation & 김윤희 Poster presentation / 양현준 참석
[2022.10.20-10.21] 국내학술대회 한국조류학회 (제주 소노벨)
장세현 Oral presentation/ 서혜진, 김윤희, 양현준 참석
[2022.09.01]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이희경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2.08.30]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논문 출판 (IF: 5.019, JCR 20.588%)
본 논문에서는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계통분석에 사용 가능한 수천 개의 유전자를 유전체 정보로부터 생물정보학 기술을 활용해 추출하고, 이러한 유전자를 계통학적으로 비교)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단일 유전자 기반 원생생물 분류 기법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종 분류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2022.08.11] 2022년 대한민국 해양문화 대장정
장세현 교수가 '2022년 대한민국 해양문화 대장정-해양수산부 주최, 한국해양재단 주관' 발대식에 초청돼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2022.07.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과제 선정
앞으로 4년간 "북서태평양 플랑크톤 생태계 분석" 과제 공동연구를 통해, 한반도 주변해역의 탄소순환을 이해하고 기후 변화가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합니다.
[2022.06.27]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박예찬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2.04.13] Frontiers in Marine Science 논문 출판 (IF: 5.247, JCR 4.867%)
갈라파고스 군도(Galápagos archipelago)에서 적도 잠류의 용승이 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섭식에 의한 군집 변화력에 대해 규명하였습니다.
[2022.04.01]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양현준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2.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신진연구과제 선정: 2022-2027년
앞으로 5년간 본 국책과제 연구비 수주를 통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소형동물플랑크톤 섭식작용 및 해양생태계 영향"에 대한 연구를 생리·생태 및 유전체 분석법을 융합하여 수행합니다. 기후변화는 심각한 문제로, 이로 인한 생태계 변화를 분석·예측하고 대응하도록 하는 연구는 전 인류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2021.12.27]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서혜진, 김윤희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1.12.20-12.22] 제8차 차세대해양과학자워크숍 (소노캄 여수 호텔)
장세현, 정다은, 장지우 참석
[2021.11.01] 학생연구원 연구실 참여
정다은, 장지우 학생이 해양환경분자생태 연구실의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21.09.01] 연구실 오픈
Se Hyeon Jang joined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