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채광 : 노천 채굴 우라늄 광상이 지각의 표면에서 확인되어 광상을 덮고 있는 표피의 흙을 제거하고 바로 광석을 채광할 수 있는 광산에서 시행
2.정련 : 정련시설로 수송된 우라늄 광석은 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침출 과정을 거친다. 광석 종류에 따라 황산, 염산, 질산 등을 사용. 이온 교환이나 용매 추출 과정을 거친 후 침전, 배소 과정을 거쳐 우라늄 정광이 된다.
3.농축 : 농축 우라늄은 농축 과정을 통해 우라늄-238의 비율을 줄이고 우라늄-235의 비율을 높인다.
4.재변환 : 우라늄-235가 분리되고 남은 농축 부산물을 열화우라늄이라고 합니다. 농축 불화우라늄은 화학 공정을 거쳐 핵연료로 사용되는 최종 화학적 형태인 이산화우라늄 분말로 재변환 한다.
5.가공 : 분말 형태의 이산화우라늄을 단단한 세라믹 형태의 이산화우라늄으로 소결체를 만들고 피복관에 넣어 밀봉해 핵연료봉을 만들고, 이 핵연료봉을 묶어 핵연료 집합체를 만든다.
우라늄 처리 과정
화석연료 생산 과정
지질시대에 살던 동식물의 유해로부터 얻어지는 연료를 말하며 석탄, 석유, 가스 등을 말한다
석탄계발이용 단계
1.조사탐탄 : (1). 간접탐탄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하여 탄을 찾아 내거나 항공사진을 판독 물리 탐사 등을 통하여 지하 내부구조를 간접적으로 조사하는 방법
(2). 직접탐탄 지하에 구멍을 뚫어 지하 내부구조를 직접 알아보거나 지표면상의 지질조사를 통하여 조사하는 방법
2.평가분석 : 탐탄을 통하여 확인된 석탄의 양과 묻혀있는 위치 그리고 경제적 가치 등을 평가 분석
3.계획설계 : 구역의 넓이, 모양, 지질, 석탄의 품질 등 자연적인 조건과 생산능력, 수요 등을 판단하여 개발 골격과 투자 계획 및 생산공정을 수립하는 과정
4.개발 : 지표로부터 석탄층 까지 암석 중에 갱도를 개설하여 생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5. 생산 : 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성함
액화천연가스(LNG)는 천연가스를 냉각시켜 액체로 만든 에너지원으로
1. 채취 과정 :
(1)지하에 매설된 천연가스를 시추하여 채취합니다.
(2)천연가스를 정제합니다.
(3)천연가스의 주 성분인 메탄을 영하 162도에서 냉각하여 액화시킵니다.
2. LNG 운반과 저장 :
(1) LNG는 초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특수하게 단열된 전용 탱크에 담아 운반합니다.
(2) 저장 탱크를 갖춘 LNG 선을 통해 해외 천연가스 산지에서 LNG를 도입합니다.
(3)도입된 LNG는 다시 기체화되어 파이프를 통해 발전소 등에 공급됩니다.
재생 에너지는 소모되는 것보다 더 빨리 보충되는 천연 자원에서 생성된 에너지이다.
재생에너지 종류
풍력에너지
블레이드가 바람을 받아 회전할 때 회전 운동 에너지가 만들어 진다. 증속기는 기어를 이용해 초기의 저속 회전을 발전용 고속 회전으로 전환하여 회전 운동 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회전 운동 에너지는 발전기를 거쳐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변전소를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태양광에너지
태양광 발전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이다.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을 의미한다.
수력에너지
수력발전이란 하천 또는 호소 등에서 물이 갖는 위치에너지를 수차를 이용하여 기계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방식 입니다. 즉,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수차를 돌리면 수차의 축에 붙어있는 발전기가 돌아가게 되어 전기가 발생한다.
지열에너지
땅속에 100M 이상을 천공하고 HDPE를 삽입하여 파이프 내부에 유체를 삽입한다. 그리고 펌프에 의해 순환시켜 땅속의 열과 열교환을 한다.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히트펌프에서 냉·온수를 저장탱크로 운반 한다.
등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