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석박통합과정 학생이 2025년 6월 19일 한국기후변화학회에서 최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논문제목은 'Greenhouse gas emission and stable isotopic ratio from Seoul Megacity, South Korea'입니다.
2024년 12월14일에 자연과학대학 공개강연이 있었습니다.
안진호교수님의 인터뷰 동영상을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cqTO4evZdI
(2024.12.31)
최근 저희 연구실에서 논문을 게재한 것이 언론에 소개되었습니다.
그린란드 빙하를 이용해서 백두산 천년분화 과정을 자세히 연구한 것으로, 학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성과
https://www.snu.ac.kr/research/highlights?md=v&bbsidx=149740
조선일보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4/10/07/BY6V27WLJFJMHQKHEXBFO66VCA/
BBC미디어센터 https://blog.naver.com/sunhoo272/223611022371
SBSbiz https://biz.sbs.co.kr/article/20000194951
동아사이언스 https://v.daum.net/v/20241007153012797
한국경제tv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10070180&t=NN
(2024.10.07)
9월27-28일 양일간 영월고와 영월지역 일대에서 제19회 전재규학술캠프가 개최되었습니다. 전재규학술캠프는 서울대학교와 극지연구소가 공동으로 해마다 개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예전과 다르게, 지역 고등학교를 서울대학생들이 찾아가서 기념식과 멘토링 시간을 함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관련 언론보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베리타스알파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680
에너지 경제신문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41001023239093
강원일보 http://kwnews.co.kr/page/view/2024092717025596846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4/09/27/I2SG674JDSALNNNMO2GEGUVG2Q/
(2024.10.03)
안진호교수님께서 9/9-9/11에 미국 오리건주립대에서 개최된 COLDEX (Center for OLDest ice EXploration) 연례 워크숍에 초청을 받아서 한국과학자의 남극에서의 블루아이스연구에 대해 강연을 하고 오셨습니다. COLDEX는 미국 13개 대학의 연구팀이 만든 연구센터로 100만년 이상된 빙하를 찾아 기후변화의 원인과 고인류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연구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https://coldex.org/
(2024.09.24)
이기윤 연구원의 박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24년 8월)
교수님께서 'YTN사이언스 포럼' 프로그램에서 상연을 하셨습니다. (6월8일 첫방송)
아래 링크를 이용해서 확인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b2W--hubAlE?t=220s
(2024.06.12)
5월11일에 서울시립과학관에서 교수님의 강연이 있었습니다.
아래 유투브 링크에서 동영상을 찾아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8L7e4Y3P0GE
(2024.05.27)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과의 업무협약식 관련해서, 인터넷뉴스에서 아래와 같이 협력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브릿지경제뉴스
http://m.viva100.com/view.php?key=20240422010006841
대한경제뉴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404220922117950981
인천일보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6103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40423010002658
코리아뉴스미디어
http://www.koreanewsm.kr/h/contentxxx.html?idx=226447&code=newsbd&hmidx=3
(2024.04.24)
서울대학교 빙권과학연구센터와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과 MOU를 맺었습니다.
이 MOU로 온실가스 배출 감시 및 기후변화관련 연구에 상호협력체계가 마련되었습니다.
(2024.04.20)
최근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에서 교수님과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베리타스 교양수업인 '기후위기와 인류'라는 수업에 관한 것인데, 올해 새롭게 신설된 교양과목으로 서로 다른 분야의 교수3명이 융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이용해 주세요.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11
(2024.04.06)
교수님께서, 연합뉴스TV 스페셜 프로그램에서 간단한 인터뷰로 기후위기에 대해 언급하셨습니다.
https://www.yonhapnewstv.co.kr/program/view/9573
(2024.03.21)
고기후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 [풀강연]
https://tv.naver.com/v/41963750
<10가지 질문주제>
1. 고기후란 무엇인가?
https://tv.naver.com/v/41963415?playlistNo=879807
2. 지구의 온난화 정도는?
https://tv.naver.com/v/41963471?playlistNo=879807
3. 과거의 온실가스 농도는?
https://tv.naver.com/v/41963520?playlistNo=879807
4. 현재와 과거의 온실가스
https://tv.naver.com/v/41963571?playlistNo=879807
5. 온실가스 증가 이유는?
https://tv.naver.com/v/41963601?playlistNo=879807
6.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은?
https://tv.naver.com/v/41963616?playlistNo=879807
7. 해수면 상승은 언제까지?
https://tv.naver.com/v/41963637?playlistNo=879807
8. 남극에서 주요 연구는?
https://tv.naver.com/v/41963655?playlistNo=879807
9. 탄소중립이 달성된다면?
https://tv.naver.com/v/41963712?playlistNo=879807
10. 고기후로 바라보는 우리의 미
https://tv.naver.com/v/41963742?playlistNo=879807
(2024.02.13)
서울대 소식지에 나온 보도자료입니다.
https://www.snu.ac.kr/snunow/press?md=v&bbsidx=145740
(2024.02.13)
2024년 1월5일 일본 홋까이도대학 북극연구센터(Arctic Research Center)의 Evgeniy Podolskiy교수님을 모시고 아래와 같은 흥미로운 주제로 강연을 들었습니다.
제목: Sounds of ice and animals in Greenland: listen to learn
연사: Prof. Evgeniy Podolskiy
소속: Arctic Research Center, Hokkaido University
일시: 2024년1월5일(금) 오후4시
장소: 25-1동 304호
(2024.01.05)
(2023.12.23)
서울대학교 공식 인스타그램에 올려진 릴스(동영상)을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reel/C0BjDdzLwMx/
(2023.12.22)
'시사IN'에 저희 연구실에서 찍은 빙하사진이 실렸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아름다운 빙하의 얼음 결정과 공기방울을 감상하세요.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837
(2023.12.22)
2023년 추계 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에서 이기윤연구원이 'New insights into the 946 CE Millennium Eruption of Paektu volcano from glaciochemical and tephra analysis of Greenland ice cores'라는 제목의 구두발표로 우수논문 발표자상을 받게되었습니다. 이기윤연구원은 작년에도 서로 다른 주제로 우수논문발표자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모두 축하해 주세요!
(2023.11.09)
청풍과 단양 지역에서 2023년 7월 24일 ~ 25일 1박 2일간 워크샵 및 야외조사를 개최하였다. 서울대, 이화여대, 연세대학교, 부경대학교 등에서 총 20명의 연구원이 참여하여 얼음쐐기를 이용한 고기후 및 고환경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 토의와 비봉산 정상(청풍호반케이블카 이용)에서의 대기시료 채취, 고수동굴 야외조사등을 진행하였다.
(2023.09.02)
서울시교육청에서 발간하는 '지금서울교육' 소식지 6월에 교수님 인터뷰글이 실렸습니다.
첨부파일의 8-9쪽을 보세요.
(2023.06.12)
4월 10-11일 MPI (Melnikov Permafrost Institute) 에서 2분의 과학자들이 서울대를 방문하셨고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참여해 주신 Aleksandr Fedorov 박사님과 Pavel Konstantinov 박사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23.04.25)
얼음쐐기를 이용한 고기후고환경 복원 워크숍이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참여해 주신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연구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23.03.03)
서울대학교 빙권과학교육연구센터와 (주)지오그린21과의 업무협약식이 2023년 2월21일에 있었습니다.
(2023.02.22)
12월15일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 빙권과학교육연구센터 간의 업무협약식이 있었습니다.
서울에서의 온실가스 대기오염에 대해서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2022.12.29)
12월14일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기후변화대응본부와 빙권과학연구센터가 속한 미래혁신연구원 간의 업무협약식이 있었습니다.
앞으로 고기후, 온실가스 측정기술 등에 관한 상호 협력이 기대됩니다
(2022.12.29)
안진호교수님이 참여하셨던 IPCC가 Gulbenkian Prize for Humanity 상을 수상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https://gulbenkian.pt/en/news/2022-gulbenkian-prize-for-humanity-distinguishes-ipbes-and-ipcc/
(2022.12.01)
석박통합과정 이기윤학생이 2022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2.10.28)
피플투데이에 실린 안진호교수님 인터뷰 내용을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epeople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33
(2022.10.13)
대한지질학회 소식지에 실린 교수님 인터뷰 글입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https://newsletter.gskorea.or.kr/newsletter/220922/contents/gsk_vol61_con6.html
(2022.09.23)
수백 수천년동안 쌓인 눈이 다져져서 생긴 얼음덩어리 '빙하'.
이런 빙하 속에는 옛날 대기가 공기 방울의 형태로 갇혀있다.
따라서 빙하를 연구하면 그 당시의 대기와 기후 변화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고!
지구환경과학자 안진호 교수를 만나본다.
Full 영상 ▶ https://youtu.be/XKYJfXXfui4
(2022.07.07)
빙하를 연구해 기후변화를 공부하는 안진호 교수.
그에게 가장 중요한 연구 자료는 극지방에서 직접 가져온 빙하다.
빙하 조각이 녹지 않도록
극지방과 비슷한 환경의 극저온 빙하 보관실에서 빙하를 보관한다.
Full 영상 ▶ https://youtu.be/XKYJfXXfui4
(2022.07.07)
안진호 교수는 빙하를 통해 과거의 대기를 연구한다.
연구에 쓰이고 남은 빙하는 어떻게 처리할까?
그는 가끔 오염된 부분을 잘라낸 빙하를 갈아서 그의 실험실 학생들과 함께 팥빙수를 만들어 먹는다.
남극의 빙하로 만든 팥빙수는 과연 어떤 맛일까?
Full 영상 ▶ https://youtu.be/XKYJfXXfui4
(2022.07.07)
안진호 교수는 빙하를 통해 기후를 연구하는 과학자이다.
빙하 말고도 과거의 기후변화를 밝힐 수 있는 또 하나의 증거가 있는데,
그건 바로 얼음 쐐기다.
그는 동토 연구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동토 연구 개척에 앞장섰다.
Full 영상 ▶ https://youtu.be/XKYJfXXfui4
(2022.07.07)
YTN에서 저희 교수님과 연구실을 취재한 뒤 방영한 기사입니다.
안진호 교수는 그의 연구를 토대로 남극과 그린란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를 정리해 표를 만들었다. 빙하 연구라는 생소한 분야에서 오랜 세월 노력한 결과 전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연구 성과를 내게 되었다.
(2022.07.06)
대한지질학회 학생기자단 인터뷰 내용입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이용해주세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k1947&logNo=222781468469&navType=by
(2022.06.20)
YTN에서 저희 교수님과 연구실을 취재한 뒤 방영한 기사입니다.
■ 안진호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스물 두 번째 주인공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의 안진호 교수이다.
빙하가 없는 땅 한국에서 수천 년, 혹은 수만 년 전에 얼어붙은 빙하 속 대기를 연구하는 과학자가 있다. 바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의 안진호 교수. 그는 직접 시추해온 빙하에서 채취한 공기로 고기후의 발자국을 좇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빙하를 이용해 과거의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이유는 뭘까? 그 이유는 지구온난화와 관련이 있는데. 빙하 속 공기 방울을 채취하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기온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의 움직임을 알게 되면 미래 지구의 기온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빙하 연구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과거의 기후변화를 연구하기까지 참 오랜 시간이 걸렸다. 안진호 교수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빙하를 연구할 당시만 해도 빙하 연구자는 극소수. 척박한 연구 환경에서도 안진호 교수는 빙하 연구를 포기하지 않았다. 국내 유일의 빙하 온실가스 농도 측정 장비를 직접 개발, 우리나라에서도 빙하를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또 그가 처음 쓴 빙하 관련 논문이 사이언스지에 게재될 정도로 그의 연구법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지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이게 끝이 아니다. 직접 개발한 실험 장비를 이용해 현재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도 측정하며 현재의 기후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를 모두 연구해 미래의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안진호 교수. 인류 미래의 최전선에 뛰어들기 위해 지구의 끝을 연구하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 본다.
YTN 사이언스 박인식 (ispark@ytn.co.kr)
(2022.06.02)
신문 <월간인물> 6월호에서 안진호교수님을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첨부파일을 보시거나 아래 링크에서 기사를 읽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onthlypeop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70107
(2022.05.27)
교수님께서 지질자원연구원 소식지인 '지질, 자원, 사람'에 기고한 글이 출간되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소식지를 다운 받으시면, 6-9쪽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igam.re.kr/gallery.es?mid=a10206030000&bid=0016
(2021.12.09)
2021학년도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동계,유형1) 모집안내 관련하여 안내드립니다.
1. 선발인원 : 17명
2. 신청기간 : ~ 2021학년도 11월 23일까지
* 자연대 추천 기한을 고려하여 학부에서는 11월 23일까지 신청을 받아 선발 후 명단 제출 예정입니다.
3. 연수기간 : 2021. 12. 13.(월) ~ 2022. 2. 11.(금) (2개월)
4. 제출서류
1) 2021년 학부생 연구인턴십(유형1) 신청서 및 추천서 [붙임1]
2) 성적증명서, 재학증명서
3) 개인정보수집 이용 제공 동의서(수료증 발급용) [붙임1]
4) 연구원 보안서약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붙임1]
5. 연 수 비 : 600,000원 (기타소득세 8.8%공제 후 지급)
6. 지원대상 : 본교 및 타 대학교 학부 재학생 (2~4학년)_휴학생 신청 불가
* 군 제대일 전 휴가 등으로 조기복귀한 경우에도 참여불가 (제대 및 복학처리가 기 완료된 자만 신청가능)
7. 이수조건
* 안전환경교육 수료 및 결과 보고서 제출 [붙임2] *실험실에 출입하지 않는 학생들도 환경안전교육 의무
* 2021년 동계 인턴부터 지도교수 확인을 받은 연구실 출석부를 제출해야함
* 국외대학 소속자의 경우 연수기간동안 국내 거주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출입국기록증명 제출 필요
8. 특이사항
* 인턴기간 중 본인 인턴십 결과를 본인이 저자로 발표(구두 또는 포스터)시 학회등록비 및 출장비 지원 [붙임2]
* 학기중(하반기, 유형2)인턴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은 연수기간 중복으로 인해 참여불가
* 2개 이상 연구실 중복신청 불가 (ex1_지구환경과학부 연구실 중복 신청 불가, ex2_지구환경과학부와 타 학부 연구실 중복 신청 불가)
* 국외대학 소속자의 경우 연수기간 동안 국내에 거주해야 함
(2021.11.12)
네이처지에서 기후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입니다.
기온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도 상승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3도 이상 상승할 것이라 전망합니다. 그 이유는 정책수립과 실천이 충분히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글을 읽어 보세요.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1-02990-w
(2021.11.03)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온실기체 거동을 연구할 학부생 인턴연구원을 모집합니다. 주요 연구주제는 (1)주요 온실가스인 CO2, CH4, N2O의 과거 대기 중 농도 자료와 인공지능 방법을 이용하여, 각 온실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주요 요인 및 조절기작 규명과 (2) 온실가스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측정센서의 최적화 및 이를 활용한 2차원 및 3차원 온실가스 거동 연구입니다. 이 중에 1가지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Nasrin Salehnia 연구교수님이 인공지능 연구에 필요한 기술적 방법을 도와주시고, 관측장비는 임광진연구원이 기술적인 부분을 도와주십니다. 그리고, 안진호교수님께서 전체적인 연구주제에 대해서 지도해 주실 예정입니다. 관심있는 학부생은 안진호교수님께 이메일을(jinhoahn@gmail.com) 보내주세요.
(2021.11.01)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21 was awarded "for groundbreaking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complex systems" with one half jointly to Syukuro Manabe and Klaus Hasselmann "for the physical modelling of Earth's climate, quantifying variability and reliably predicting global warming" and the other half to Giorgio Parisi "for the discovery of the interplay of disorder and fluctuations in physical systems from atomic to planetary scales."
https://www.nobelprize.org/prizes/physics/2021/summary/
(2021.10.05)
가. 지원서 접수: 2021. 10. 5.(화) 10:00 ~ 10. 8.(금) 17:00
나. 서류 제출: 2021. 10. 12.(화) 17:00까지
다. 면접 및 구술고사: 2021. 10. 14.(목) ~ 10. 22.(금) 중 실시 예정
라. 합격자발표: 2021. 11. 25.(목) 18:00
마. 전기 모집인원: 석사 11명, 박사 9명, 석박통합 15명
관심있는 학생은 안진호교수님(jinhoahn@gmail.com)께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2021.09.16)
안진호교수님께서 SNU magazine '서울대사람들' 에 투고하신 글입니다.
https://people.snu.ac.kr/bbs/board.php?bo_table=65&sca=SNU+inside&wr_id=7
코로나19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는 인류는 ‘자연 앞에서 욕심을 줄이고 겸허해야 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계속해서 받고 있다. 이와 맞물려,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와 빙하 용융(melting)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대응이 국제적 주요 이슈로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렇다면, 온실가스와 빙하의 거동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를 알기 위해 과학자들은 빙하를 뚫어 빙하 내부의 상태와 과거 기후변화 기록을 알아내고 있다. 빙하 속에는 시간에 따른 기후변화 기록이 담겨있고, 이는 현재의 지구를 진단하고, 미래의 지구를 예측하는데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빙하 얼음(H₂O)의 산소(O)와 수소(H)를 분석하거나, 시추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면 과거 온도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빙하에 포집된 과거 공기를 이용해 빙하 두께 변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변화 원인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서울대학교 빙하고기후연구실에서는 주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남극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남극은 전 지구 빙하의 약 88%를 간직하고 있고, 비교적 깨끗한 환경에서 과거의 기후변화가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 중 하나로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산화이질소(N₂O)의 수만 년 동안의 농도 변화와 그 원인을 규명하는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에는 수많은 공기 방울이 있으며, 여기서 과거의 공기를 추출해 그 성분을 분석한다. 소량의 빙하 시료를 이용해 온실가스의 농도와 동위원소비(무겁고 가벼운 원자의 비율)를 측정한 뒤 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가 어떻게 형성되고 소멸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는 특수 냉동설비와 공기추출을 위한 진공 라인, 그리고 동위원소 측정을 위한 질량분석기 등 고가 장비가 필요하고 때에 따라서는 남극 현장에서 빙하 상태를 직접 관찰하고 측정해야 한다.
국제협력 연구도 필요하다. 남극, 그린란드 여러 지역에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남극 전체 또는 전 지구적 규모에서의 기후변화 요소 간의 연결성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6월, 국제 공동연구의 수행 결과를 ‘사이언스(Science)’지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공동연구단은 남극 빙하의 시추공 온도, 빙하의 얼음과 포집된 공기의 연령 자료를 이용해 남극 표층에서의 과거 온도변화를 복원했다.
현재 우리는 *간빙기를 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최근 빙하기의 온도를 산출했는데 서남극의 경우 약 섭씨 10도가량 온도가 내려갔었고, 동남극의 경우 기존에 알려진 것(섭씨 약 9도)보다 절반 수준(섭씨 4~7도)으로만 온도가 내려간 것을 알아냈다. 또한, 이렇게 동남극과 서남극의 온도변화가 다른 이유를 빙하표면의 고도변화가 서로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했다. 최근 빙하기에는 현재에 비해 서남극의 빙하표면 고도는 상승했으나 동남극은 오히려 하강했던 것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빙하 거동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모델의 개발과 검증에 활용돼 미래 기후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기후변화 연구에서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분야는 지구상에 얼음으로 이루어진 빙권(cryosphere)에 관한 것이다. 빙권은 육상에 눈이 내려 다져진 빙하(glacier), 2년 이상 연속적으로 얼어있는 토양인 동토(permafrost), 바닷물이 얼어서 만들어진 해빙(sea ice), 계절적으로 분포하는 눈 등을 포함한다. 지구온난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빙권이며, 이와 맞물려 발생하는 대기 온실가스 농도, 해류순환, 해수면 변동, 육상과 해양의 생태계 변화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핵심 연구 분야가 바로 빙권과학이다.
향후 빙권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 리더로서의 역할을 서울대학교가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인력양성과 대민교육을 목적으로 5월 31일부로 시흥캠퍼스에 ‘빙권과학교육연구센터’가 신설되었다. 전 지구적 현안을 한국의 과학자와 국민이 선도적으로 해결하는 날이 곧 오리라 기대해 본다.
*기후모델 기후를 예측하는 방법중 하나로써 기후의 시간변화를 물리법칙으로 컴퓨터에 입력하여 기후를 예측한다.
*간빙기(間氷期) 지구의 과거 지질시대 중 빙하시대에 빙기(氷期)와 다음 빙기 사이에 있는 기간으로, 전후(前後)의 빙기에 비해 따뜻한 시기가 비교적 오래 계속되던 시기
(2021.09.01)
최근 IPCC 6차보고서 요약본에 관한 국내 과학자 기여 소식인데, 안진호교수님께서 주저자로 활동하셨습니다.
http://www.inews24.com/view/1395033
(2021.08.14)
한겨레신문 기사입니다.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06996.html#csidx2a29389517cc0d5a746082180837a40
KBS뉴스 동영상도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RFcmSbBM18k
(2021.08.10)
기후변화에 관한 UN보고서인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보고서 일부가 공개되었습니다.
아래에 웹싸이트에서 정책입안자를 위한 요약 (Summary for Policy Makers), 기술보고서, 보고서 전체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하면, 현재까지 최종본으로 승인된 것은 '정책입안자를 위한 요약' 부분입니다.
https://www.ipcc.ch/report/ar6/wg1/
6차보고서에서는 지역적 예상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interactive하게 볼 수 있게 하였는데, 아래 주소를 참고하세요
https://interactive-atlas.ipcc.ch/
그리고, 2021년 8월9일 부로 언론에 소개된 동영상 파일은 아래 youtube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149vLKn9d8
(2021.08.10)
2021학년도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 (하반기,유형2) 모집안내 관련하여 안내드립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하반기,유형2) 참가자를 선발하고자 하니 참여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도 부탁드립니다.
* 지원현황에 따라 성적 등 여러내용을 고려하여 학부장님과 의논하여 선발토록 하겠습니다.
1. 신청기간 : ~ 2021학년도 8월 12일 17시까지
* 자연대 제출이 8월 16일까지이기 때문에 학부에서는 8월 12일 17시까지 신청을 받아 선발 후 명단 제출 예정입니다.
2. 연수기간 : 2021. 8. 30.(월) ~ 2022. 1. 28.(금) (5개월)
3. 제출서류
1) 2021년 학부생 연구인턴십(유형1) 신청서 및 추천서 [붙임1]
2) 성적증명서(타대학교 학생만)
3) 개인정보수집 이용제공 동의서 [붙임3]
4. 연 수 비 : 900,000원 (기타소득세 8.8%공제 후 지급)
5. 지원대상 : 본교 및 타 대학교 학부 재학생 (2~4학년)
6. 이수조건 : 안전환경교육 수료 및 결과 보고서 제출 *실험실에 출입하지 않는 학생들도 환경안전교육 의무
7. 특이사항 : 인턴기간 중 본인 인턴십 결과를 본인이 저자로 발표(구두 또는 포스터)시 학회등록비 및 출장비 지원 [붙임2]
8. 선발결과 발표 : 2021. 8. 20.(금) 예정
(2021.08.02)
우리 연구실에 있었던 김경민 석사가 오늘 결혼했습니다.
모두 축하해 주세요.
https://sisterreviewshop.cafe24.com/210728/index.html
(2021.07.28)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 '빙권과학교육연구센터'가 2021년 5월3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안진호교수님께서 센터장을 맡으셨고, '빙하', '해빙', '동토'를 포함하는 빙권과학(Cryospheric Science) 연구와 교육에 있어 국제적인 리더가 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2021.06.11)
최근 저희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 결과가 2021년 6월4일 부로 Science지에 게재되었고,
서울대학교 연구성과 싸이트
https://www.snu.ac.kr/research/highlights?md=v&bbsidx=132255
그리고, 관련된 기사가 아이뉴스24에 나왔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inews24.com/view/1373156
(2021.06.04)
021학년도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 (하계, 유형1) 모집안내 관련하여 안내드립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하계, 유형1) 참가자를 선발하고자 하니 참여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도 부탁드립니다.
* 지원현황에 따라 성적 등 여러내용을 고려하여 학부장님과 의논하여 선발토록 하겠습니다.
* 상반기 유형2와 하계 유형1은 연수기간이 겹치는 관계로 중복지원 불가
1. 신청기간 : ~ 2021학년도 5월 28일 15시까지
* 자연대 제출이 6월 2일까지이기 때문에 학부에서는 5월 28일 15시까지 신청을 받아 선발 후 명단 제출 예정입니다.
2. 연수기간 : 2021. 6. 14.(월) ~ 2021. 8. 13.(금) 2개월
3. 제출서류
1) 2021년 학부생 연구인턴십(유형1) 신청서 및 추천서 [붙임1]
2) 성적증명서(타대학교 학생만)
3) 개인정보수집 이용제공 동의서 [붙임3]
4. 연 수 비 : 600,000원 (기타소득세 8.8%공제 후 지급)
5. 지원대상 : 본교 및 타 대학교 학부 재학생 (2~4학년)
6. 이수조건 : 안전환경교육 수료 및 결과 보고서 제출 *실험실에 출입하지 않는 학생들도 환경안전교육 의무
7. 특이사항 : 본인 인턴십 결과를 본인이 저자로 발표(구두 또는 포스터)시 학회등록비 및 출장비 지원 [붙임2]
8. 선발결과 발표 : 2021. 6. 9.(수) 예정
(2021.05.13)
Congratulations!
Dr. Eunji Byun published an article in Nature Geoscience.
She earned her master degree in our lab and PhD degree at University of Toronto.
Now, she is at University of Waterloo as a postdoc.
You can see her article at: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1-020-00670-4
(2021.02.19)
2021년도 제1차 포상추천위원회에서 안진호교수님을 수상자로 선정하였습니다.
시상식은 2021년 3월5일에 있을 예정입니다.
(2021.02.19)
우리 연구실 박사후 연구원이신 Nasrin Salehnia 박사님께서
학술지인 'Journal of Arid Land' 의 우수 심사위원으로 상을 받으셨습니다.
모두 축하해 주세요.
(2021.02.01)
2020학년도 동계 학부생 연구인턴십 유형1 모집안내 관련하여 안내드립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동계 학부생 연구인턴십 (유형1)을 선발하고자 하니 참여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도 부탁드립니다.
(지원현황에 따라 성적 등 여러내용을 고려하여 학부장님과 의논하여 선발토록 하겠습니다.)
1. 신청기간 : ~ 2020년 11월 24일 (화)
* 자연대 제출이 12월 1일 (화)까지이기 때문에 학부에서는 11월 24일까지 신청을 받아 선발할 예정입니다.
2. 연수기간 : 2020. 12. 14.(월) ~ 2021. 2. 12.(금) 2개월
3. 제출서류
1) 2020년 동계 학부생 연구인턴십(유형1) 신청서 및 추천서_첨부
2) 성정증명서(타대학교 학생만)
3) 상해보험 관련 서류(해당자만) *해당자: 본교 휴학생(이과계열 포함), 본교 문과계열 소속 학부생, 타 대학교 학생 중 본인 소속 대학교에 가입된 보험이 없는 학생_첨부
4. 연 수 비 : 600,000원 (300,000원x2개월)
5. 지원대상 : 본교 및 타 대학교 학부 재학생 (2~4학년)
6. 이수조건 : 안전환경교육 수료 및 결과 보고서 제출 *실험실에 출입하지 않는 학생들도 환경안전교육 의무
7. 특이사항 : 본인 인턴십 결과를 본인이 저자로 발표(구두 또는 포스터)시 학회등록비 및 출장비 지원
(202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