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현상은 여러가지 기전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복잡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각 기전들 간의 유기적인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위해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합분석할 생물정보학 기법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최신의 분석장비들을 이용하여 전사체학(Transcriptomics), 단백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를 포함한 다학제(Multidisciplinary)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한 생물정보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영원한 젊음에 대한 갈망은 더 이상 전설 혹은 꿈에 국한되지 않고, 과학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영역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현 시대에 전세계에서는 Yamanaka factors (OCT4, SOX2, KLF4, and MYC)와 같은 역분화인자를 기반으로 생물학적 노화를 역전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역노화 연구는 의학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고, 특히 노화 관련 질환들(퇴행성 뇌질환, 근감소증, 퇴행성 관절염, 심혈관 질환)에 대한 병증의 완화가 아닌 치료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역노화라는 신규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필요한 단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다학제 융합 연구를 바탕으로 역노화에 대한 기전 분석과 나아가 신규 노화조절인자에 대한 발굴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통합오믹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환경 및 산업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유발의 생물학적 기전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미세입자의 독성에 대한 정확하고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 및 산업 유래 미세입자의 유해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환경 및 산업 유래 미세입자와 질환과의 연관성을 찾거나, 미세입자의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