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여름 Lab. Activity로 다함께 배드민턴을 즐겼습니다.
연구실을 벗어나 구성원들 간의 끈끈한 팀워크와 활력을 느낄 수 있었던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운동 후에는 시원한 음료와 간식을 나누며, 웃음 가득한 하루를 마무리했습니다.
항상 훌륭한 지도와 아낌 없는 격려로 우리 연구실을 이끌어 주시는 교수님의 생신을 맞이하여,
연구실 구성원들과 함께 감사의 마음을 담은 케이크와 꽃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시 한번 생신을 진심으로 축하 드리며, 항상 감사드립니다.! 🎉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제2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으로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학생이
석사과정에 이어 박사과정에서도 연이어 선발되었습니다. 이번 장학생 선발 소식은 부산일보를 비롯한 여러 언론을 통해 보도 되었습니다.
전제석 학생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제 2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정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하였고 "탁월한 학문적 통찰과 세심한 지도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신 강태홍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늘 함께 해준 연구실 동료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전제석 학생은 "앞으로 DNA Repair 연구를 선도하는 핵심 인재로 성장하여 국가 과학 기술 및 기초연구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2025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FAOBMB 국제학술대회에 DNA Repair 연구실의 박사과정생 전제석 학생과
연구 참여생 박재영 학생이 참가하여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전 세계 석학들의 다양한 강연과 최신 연구 동향을 접하며,
연구 역량을 넓힐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2025년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DNA Repair 연구실 멤버 및 연구 인턴 학생들과 함께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담은 꽃과 케이크 그리고 편지를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함께 식사를 하며 교수님께서 들려주신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학문에 임하는 자세에 대한 귀중한 말씀을 듣고,
모두는 올바른 연구자가 되겠다는 각오를 더욱 굳건히 다질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Transcription-Coupled Repair (TCR)와 R-loop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리뷰 논문이
IJMS 저널의 Special Issue "Genome Stability"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TCR과 R-loop이 유전체 안정성을 조절하는 분자적 원리와
조절 이상 발생 시 초래되는 병리적 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학생이 제 1기 대학원 대통령 장학생으로서 제 11회 미래 과학자 시상식에 참석하였습니다.
이날 전제석 학생은 장학증서를 수여 받고,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및 여러 대통령 장학생과 함께 청년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 과학자로서의 지도력, 과학자의 실패와 극복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소통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박정민 박사가 최근 결혼이라는 기쁜 소식을 전해주셨습니다.
이날 결혼식에는 강태홍 교수님께서 직접 참석하시어 축하의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결혼을 축하드리며, 두 분 앞날에 행복과 건강이 늘 함께하길 기원하겠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석사 과정생이 이학 석사 학위를 수여 받았습니다.
이날 강태홍 교수님께서는 졸업을 축하하며 앞으로의 박사 과정 진학에 대한 격려의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또한, 많은 바이오메디컬학과 선후배들도 참석하여 함께 뜻 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도 전제석 학생의 연구 활동과 박사 과정 진학에 좋은 결실이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 합니다.
8월에 열린 바이오메디컬학과 정기세미나에서, DNA 손상회복 연구실 소속 석·박사 통합과정 이상곤 학생이
'Discovering the role of RNA Helicase in the regulation of nucleotide excision repair' 에 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1학기가 끝나고 여름방학을 맞아, 교수님과 DNA Repair Lab 멤버들은 거제도로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거제도의 맛집 "옥돌 횟집"에서 점심 식사를 한 후, "베토벤" 카페에 들러 향기로운 커피와 함께
담화를 나누며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4년 KSBMB 국제학술대회에 DNA Repiar의 전제석, 이상곤 학생,
연구 참여생 윤주은 학생이 참가하여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날 국제학술대회 참가를 통해 전 세계 석학들의 강연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 및 새로운 연구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2024년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DNA Repair 연구실 멤버 및 연구 인턴 학생들과 함께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담은 꽃과 케이크를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과 연구에 대한 마음가짐 등 유익한 말씀을 듣고,
올바른 연구자가 되기 위한 마음을 다짐할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학생이 1:25의 경쟁률을 뚫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제1기 대학원 대통령 과학 장학금’ 장학생으로 선발 되었고, 장학생 선발 소식은 국제 신문 및 다수 언론에 보도 되었습니다.
전제석 학생은 언론 인터뷰에서 “제1기 대학원 대통령 과학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앞으로 책임감과 자긍심을 갖고 DNA Repair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훌륭하게 지도해주신 강태홍 교수님과 함께한
연구실 동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학생이 ‘제 19회 부산 미래 과학자상’에서 석사 이학 부문을 수상하였다는 소식이
아시아 경제 외 7곳의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전제석 학생은 언론 인터뷰에서 “두려움보다 설렘이 컸기에 지금까지 연구를 꾸준히 해올 수 있었고,
훌륭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강태홍 교수님과 연구실 동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과학기술협의회와 부산시가 지역 차세대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시상하는 '제 19회 부산미래과학자상'에서 우리 연구실의 전제석 학생이 석사 이학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강태홍교수님이 한국연구재단 생명과학단 프로그램 매니저인
전문위원으로 선정되어 2년간 활동하게 되셨습니다.
강태홍교수님께서 Editor로 주관하신 IJMS 저널(IF: 5.6)의
Special Issue “DNA Damage, Repair, and Cancer Metabolism”에 대한 Editorial 논문을 게재하셨습니다.
전제석 학생이 학부생으로서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다는 소식이 동아대학보에 보도되었습니다.
전제석 학생은 인터뷰에서 “연구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강태홍 교수님께서 잘 이끌어 주시고 연구실 선배들의 도움을 통해 이를 극복하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며 “3년 동안 훌륭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강태홍 교수님과 많은 도움을 준 연구실 동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소감을 말했습니다.
하루 중 항암제 처리 시각에 따라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생존 반응이 DNA 회복 기전과 세포사멸 활성도에
의존적으로 달라지는 분자 기전을 규명한 논문을 IJBCB 저널에 출판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간항암치료법의 임상적용을 위한 기반 연구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
강태홍 교수님께서 2023년 8월 부터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5.6)의
Molecular Genetics and Genomics Section의 Section Board Member로 초빙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거제도 장승포항에서 유람선을 타고 해금강과 외도보타니아를 관광하는 일정으로 랩 MT를 다녀왔습니다.
찜통더위에 지치고 땀도 많이 흘렸지만, 자연이 빚어낸 위대한 경관을 체험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위안이 되는 하루였습니다.
뒤풀이로 싱싱한 회와 해산물을 먹으며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
동물 세포 노화 탐구 방법을 주제로 사직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탐구활동을 지원했습니다.
동물세포 배양법, 활성산소와 자외선에 의한 세포노화 유도, 세포노화 분석법 등 전문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실험을 직접 수행할 기회를 제공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
바이오메디컬학과에서 실시한 6월 정기세미나에서 , DNA 손상회복 연구실 석박사 연계 과정 이상곤 학생이
' Discovering the role of RNA Helicase in the regulation of nucleotide excision repair' 에 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정성으로 이끌어 주시고 지도해주신 교수님께 케이크와 꽃 전달식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 앞으로의 연구 및 학문 방향에 대한 유익한 말씀을 듣고 나아가 올바른 연구자가 되기 위한 마음 다짐을 할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였습니다 ◡̈ 💐
바이오메디컬학과에서 실시한 3월 정기세미나에서 , DNA 손상회복 연구실 학석사 연계 과정 전제석 학생이
' The senomorphics effect of SIRT1 activators on the nucleotide excision repair' 에 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
2023학년도 석박사 과정 입학 예정인 이상곤 학생과 석사 과정 입학 예정인 정유진 학생의 학사 학위 수여식이 있었습니다.
모두 졸업을 축하합니다 ◡̈
강태홍 교수님께서 2023년 1월부터 Frontiers in Oncology 저널(IF=5.738)의 Associate Editor로 초빙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2022.10.18~10.22. 3일간 부산 해운대 Grand Josun Hotel에서 개최된 2022 International IBS Conference for Genomic Integrity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강태홍 교수님은 Invited speaker로 초청받아 피부노화 억제 물질의 개발과 세포내 기전에 대해 발표하셨고,
전제석, 이상곤 학생은 각각 복제스트레스 조절과 DNA회복 활성 조절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하였습니다.
많은 해외 참자가들과 교류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본 연구실이 독자 보유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생물학적 기전과 약학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국내 특허로 등록되었습니다.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2년 KSBMB 국제학술대회 참가하여 전제석 연구원과 서형대 연구원이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으며, 전 세계 석학들의 강연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과 새로운 연구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던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연구실 멤버들과 은퇴하신 정정남 교수님과 함께 어린이 대공원 나들이를 갔습니다.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좋은 공기를 마시며 산림욕을 하고, 이후 해물파전, 회무침, 막걸리 등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교수님께 케이크와 꽃을 전해드렸습니다.
이후,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학문에 대한 유익한 말씀을 들을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강태홍 교수님의 학문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과 후학 양성의 공헌에 감사드리며,
정교수 승진을 축하드립니다.
새해의 봄을 맞이하며 거제도로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거제도 회 맛집에서 싱싱한 해산물과 회를 먹고, 이후에 거제 정글돔으로 이동하여 정글 플랜트 체험을 하였습니다.
오랜 만에 실험실 멤버들간에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었던 시간이였습니다.
2월 바이오메디컬학과 정기세미나에서는 DNA 손상회복연구실 학부연구생 전제석 학생이 세포 노화 (Cellular senescence)와 DNA Repair 연구에 대해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노화는 노화 세포의 축적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 골관절염 등 노화 관련 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세포가 노화되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DNA에 발생하는 손상이 제대로 회복되지 못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DNA Repair의 향상은 노화 세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에, DNA Repair를 연구하는 것은 노화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음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DNA가 자외선에 손상될 때 작동되는 DNA 회복 기전인 NER (nucleotide excision repair)과 ATR 단백질 인산화 효소 활성 조절이 우리 몸속 항상성 조절의 주체인 생체시계
(Circadian clock)의 조절을 받아 일주기 리듬을 가진다는 내용으로 Biomolecules 저널에 리뷰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관련 정보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예방과 항암화학치료시 암환자의 생체시계를 기반으로 맞춤의료를 구현하는 시간항암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본 연구실이 한국유방건강재단 후원의 유방암 연구과제(자유주제 단독과제)에 최종 선정되어 2년간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과제명은 PARP-저해제 내성 유방암세포의 합성치사 타겟 개발 입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연구 성과가 Nature 자매지인 'Oncogene'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의 공통적인 특성인 만성적 DNA 복제 스트레스를 어떻게 암세포가 극복하는지에 대한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암세포의 DNA 복제 스트레스를 타켓으로 한 새로운 암치료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
강태홍 교수님께서 Nature Research Cancer Community의 초정을 받아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한 Behind the paper를 게재했습니다.
강태홍 교수님께서 Oxidative DNA damage의 주요 회복 메커니즘과 연관된 인간 질병들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정리하여 Encyclopeida Review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유전체 안정성을 위협하는 DNA oxidation은 암 발생 및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IJMS 저널의 초청을 받아 Oxidative DNA damage의 주요 회복 메커니즘인 뉴클레오티드-절삭 회복(Nucleotide excision repair)과 염기-절삭 회복(Base excision repair)의 최신 연구 동향을 정리하여
Review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본 연구실의 이태희 박사과정생이 이학 박사 학위를 수여하였습니다.
강태홍 교수님께서 연구년으로 인하여 부재중이시라 정정남 교수님께서 참석해주셔서 학위를 수여해 주시고,
축하의 말씀을 전하셨습니다.
그리고 많은 생명과학과 선후배들도 한자리에 모여 뜻 깊은 날을 함께했습니다.
Tristetraprolin은 타겟 유전자의 mRNA의 분해를 유도하는 전사후조절인자로서 다양한 발암유전자(Oncogene)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Tristetraprolin (TTP)의 종양억제자(Tumor suppressor)로서의 기능과 TTP 발현 조절의 문제가 어떻게 암 발생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연구논문을 정리하여
IJMS 저널에 Review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COEX에서 열린 2018년도 KSMCB 국제 정기 학술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강태홍교수님께서는 Molecular mechanisms to preserve genomic integrity symposium에서
PRP19의 뉴클레오티드-절삭 회복 조절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발표하셨습니다.
본 연구실의 박정민, 최지예 학생이 이학 박사 학위를 수여하였습니다.
강태홍 교수님께서 직접 박사후드를 씌워주시고 축하의 말씀을 전하셨습니다.
그리고 많은 생명과학과 선후배들이 한자리에 모여 뜻깊은 날을 함께했습니다.
생명과학에 관심이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연구 활동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경암 Bioyouth 실험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은 6월 17~19일 3일동안
‘IBS-KSMCB Conference on Genomic Integrity & Cell Cycle’을 개최하였습니다.
DNA 손상반응과 유전체 안정성 유지를 주제로 다루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3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했습니다.
강태홍 교수님께서는 PRP19에 의한 뉴클레오티드-절삭회복의
활성 조절 메커니즘을 소개하였습니다.
강서체육공원에서 실험실 멤버들과 배드민턴을 친 후
대저생태공원에 들러 유채꽃밭길을 산책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새로운 항암제 투여 방법 (Administration method for anticancer drugs)이 국제특허(USA)에 등록 되었습니다.
특허의 주된 내용은 생체시계(Circadian rhythm)에 따라 시스플라틴 항암제에 대한
대사능력이 달라짐을 바탕으로한 시간항암치료방법(Chrono-chemotherapy)의 개발입니다.
추유정 학생의 학사 학위 수여식
추유정 학생은 2018학년도 석사 과정에 입학하여 연구 활동을 수행할 저희 실험실의 새 멤버입니다.
본 연구실에서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저온 플라즈마 분사 장치를 이용한 암세포의 선택적 세포사멸 방법이 특허로 등록되었습니다.
신년맞이 MT를 다녀왔습니다. 거제 해상 펜션에서 직접 낚시를 했습니다.
실험실 멤버들간에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었던 시간이였습니다.
강태홍 교수님께서 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습니다.
Marquis Who's Who는 정치, 경제, 과학, 예술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들을 선정하여
프로필과 업적을 등재하는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 입니다.
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에서 주관하는 경암 Bioyouth 실험 체험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7년도 정기 국제 학술 대회에 참가하였습니다.
실험실 멤버들과 함께 대저생태공원에 봄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만개한 유채꽃 사이를 걸으며 봄을 만끽할수 있었습니다.
교수님 부교수 승진을 축하드립니다!
본 연구실의 이정민 학생이 석사 학위를 수여받았습니다.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는 이정민 학생을 응원합니다!
본 연구실에서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폐암 치료용 의약 조성물 스크리닝 기술이 특허로 등록되었습니다.
거제 해상 펜션에 MT를 다녀왔습니다. 직접 낚시를 해서 잡은 호래기와 회맛이 인상적이였습니다.
실험실 멤버들간에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었던 시간이였습니다.
뉴클레오티드-절삭 회복(Nucleotide excision repair)의 전사 및 번역 후 조절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정리하여 Review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에서 주관하는 경암 Bioyouth 실험 체험
고등학생들에게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연구 성과가 BMB reports에 게재되었습니다.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6년도 정기 국제 학술 대회에 참가하였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성과가
국제학술지 Oncotarget에 게재되었습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거제 해상펜션에 낚시를 다녀왔습니다.
실험실 멤버들과 함께 힘찬 한해를 다짐하며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돌아왔습니다.
본 연구실의 김민지 학생이 제11회 부산미래과학자상 대학생 이학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인체질환 극복을 위한 의생명과학 연구동향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동아대학교 기초과학 심포지엄을 주최하였습니다.
심포지엄을 마친 뒤 VRK1 as a target for cacer therapy 라는 주제로 강연해주신
김경태 교수님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께서 연구실을 방문해주셨습니다.
정정남 교수님과 함께 거제 장목으로 갑오징어 낚시를 다녀왔습니다.
갑오징어 낚시를 직접 해보고 교수님께서 만들어 주신 먹물찜과 갑오징어회도 먹었습니다.
실험실에만 있는 일상에서 벗어나 바닷 바람도 쐬고 낚시도 배울수 있었던 즐거운 야유회였습니다.
2015년 08월 20일 ~ 08월 23일
The 5th Short-term Student Exchange Program
일본 효고현립대학을 방문하여 실험환경을 체험하고
연구내용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 실험실 멤버들과 효고대학 근교를 관광하며 좋은 추억을 만들었습니다.
홍익수 교수님 (University of Cincinnati)을 초청하여 Circadian clock 관련 세미나를 주최 하였습니다.
세미나 주제는 Circadian clock-gated synchronized cell division cycles
from Neurospora crassa to mouse 3D enteroids 였습니다.
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에서 주관하는 경암 Bio youth 실험 체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고등학생들에게 생명과학 전공 분야에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성과가
국제학술지 Oncotarget에 7월 20일 자로 게재되었습니다.
바다 위에서 숙식하며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해상 펜션으로 여름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배를 타고 들어간 해상 펜션에서 저희만의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낚시로 참돔, 감성돔, 도다리, 볼락 등을 잡아 신선한 회도 먹고
1박 2일동안 실험실 구성원들 간에 친목을 돈독히 하는 뜻깊은 여행이였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은 5월 27~29일 3일동안 UNIST에서
‘제1회 유전체항상성연구단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습니다.
DNA 복제, 손상과 복구 과정을 주제로 다루는 이번 심포지엄은 5개의 세션으로 진행되며
2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했습니다.
저희 지도교수님께서는 Repair session에서 뉴클레오티드-절삭회복의 활성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XPA의 발현과 안정성 조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5년도 국제 학술 대회의 Young Investigator Session에서
최지예 박사과정 학생이 연구 내용을 발표 하였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연구 성과가
국제학술지 ‘BBR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에
4월 22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실이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DNA slot blot repair assay protocol이
‘Bio-protocol'에 4월 20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지예 학생이 석사 학위를 수여하였습니다.
이를 축하하기 위해 많은 생명과학과 선후배들이 한자리에 모여 뜻깊은 날을 함께했습니다.
다우림 입학사정관 전공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생명과학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연구실을 소개하고 실험 체험을 시행하였습니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4년도 정기 국제 학술 대회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정기 학술대회의 Young Investigator Session에서 박정민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구두 발표를 하였고,
최지예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다대포에서 배를 타고 나가 동이섬에서 낚시를 즐겼습니다.
낚아 올린 돔과 노래미 등으로 싱싱한 회도 먹고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2014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55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학회에서 본 연구실의 석박사 통합과정 박정민 학생이 Young Scientist Session에서 구두 발표를 했습니다.
우수 발표상과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에서 주관하는 경암 Bio youth 실험 체험
고등학생들에게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유익한 시간 이였습니다.
강태홍 교수님의 연구실 소개
박정민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의 연구 내용 발표
즐거운 저녁식사 시간
삼악산 등반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교수님의 열정적인 가르침과 격려 말씀에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드립니다.
본 연구실의 최근 연구 성과가
‘Nucleic Acids Research’에 1월 30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실의 이태희 학생이 제9회 부산미래과학자상 대학원생-석사 이학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3년 11월 01일
정정남 교수님과 함께한 가지산 산행.
학심이골의 아름다운 가을 단풍을 감상하고 왔습니다.
2013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54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2013년 08월 21일 ~ 08월 24일
The 3rd Short-term Student Exchange Program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방문한 일본 효고현립대학.
다함께 거제 외도에 다녀왔습니다.
더운 날씨였지만 즐겁고 신나는 하루였습니다.
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에서 주관한 경암 Bio youth 실험 체험에 참가한 고등학생들과 함께
2013년 05월 14일 ~ 16일, 서울, COEX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연례학술대회
스승의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임선희 교수님과 기능성 유전체학 연구실 멤버들과 함께 다녀온 송정 해동 용궁사
명품 물회 한사발에 배 까지 든든해진 봄 나들이 였습니다.
본 연구실의 박정민 학생이 한국세포생물학회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에 35차 세포생물학회 동계 학술대회에서 수상 내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본 연구실의 최지예 학생이 제8회 부산미래과학자상 대학생 이학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경 축★☆
본 연구실의 최근 연구 성과가
nature 자매지인 ‘Oncogene’에 11월 26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2012년도 한국 생명과학회 제 53회 정기총회 및 국제 학술대회
Poster presentation 우수 포스터 상 수상
2012년 10월 10일~12일 서울 COEX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Poster presentation
2012년 07월 23일~26일
학생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한
효고현립대학 생화학실험실의 Keisuke Kubota와 Yumeto kawai
한려수도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간 미륵산 정상
[2012-06-22]
2012년 6월 22일 ~ 23일
제34차 한국세포생물학회 학술대회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부산경남분회 심포지움
DNA repair&Cancer therapy
벚꽃이 만개한 따스한 봄날에
DNA 손상 회복 실험실 의 OPEN을 기념하여 간단하게 식사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방문해주신 여러 교수님과 대학원생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