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Aug 2, 2025
김은형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과학의 가치중립성 논쟁에서 인식적 투영 접근의 한계"
김민혁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보편주의에 대한 역효과 문제제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방법"
우인진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절름발이’는 왜 부도덕한 표현인가?"
박민선 (서울대학교 철학과) "우연적 자연 법칙의 상상가능성에 대한 크립키적 설명 전략의 불가능성"
이찬우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수학적 구조주의: 개관과 전망"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Feb 26, 2025
서민철 (성균관대학교) "Multi-Agent Simulative Belief Ascription"
이휘원다니엘 (성균관대학교) "사회적 대상으로서의 국가에 관한 추상적 인공물주의"
이용우 (서울대학교) "The Aligned Preference View: Revisiting the “As Judged by Themselves” Principle"
김상수 (육군사관학교) "The Ontological Status of Collectives: A Dominant Sortal Approach to Collective Identity"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Aug 23, 2024
하원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존재론들을 표상하기: 규약주의 이차원 양상 모형"
이경근 (연세대학교 철학과)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이동준 (서울대학교 철학과) "정말로 위선자의 비난을 일축할 수 있는가? – Snedegar에 반대하여."
김선중 (Florida State University 철학과) "Kantian Constructivist Answer to the dilemma imposed by Evolutionary Debunking Arguments"
남기혁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허용주의와 비근본적 존재자들"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Feb 23, 2024
김민수 (경희대학교) "Necessary Substantive Irrationality"
김연호 (서울대학교) "도덕적 실수로서 도덕적 무지와 비난받을 만함"
고태훈 (서울대학교) "비대칭 관계와 그 역관계의 동일성 반대"
이준효 (서울대학교) "Generics, Deniability, and Shifting Speech Acts"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Aug 25, 2023
김상익 (건국대학교 철학과 / 심경문화재단 철학문화연구소) "The lottery paradox, the Gettier problem, and the closure principle"
조영근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전용은 반드시 의도를 수반하는가?"
최은성 (서울대학교 철학과) "환원적 물리주의에 대한 반대 논증으로서의 인과적 배제 논증"
엄성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The Boundaries of Honesty and Dishonesty (정직과 부정직의 경계들)"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 Feb 17, 2023
강규태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이해-지식 비환원주의 옹호: 이해의 정도차를 중심으로"
인유림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Parallelizing Permissivism and Eliminativism: Focusing on Perception and Common-sense"
김모현 (서울대학교 철학과) "자유 의지와 이유-반응성: 피셔·라비자, 멕케나, 사토리오 이론 비교"
이우람 (서울대학교 철학과) "구조적 합리성이란 무엇인가?"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 Aug 11, 2022
김정균 (성균관대학교) "의미-의도 문제 다시 보기"
정대휘 (성균관대학교) "허구적 부정존재진술의 문제와 비-존재하는 대상들"
김영성 (성균관대학교) "썸의 규범적 이해"
최이선 (이화여자대학교) "관계(relation): 순서(order)와 방향(direction)"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Online/ Feb 18, 2022
이동훈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참술어 역설에 대한 맥락주의적 접근은 무제약적 양화를 허용할 수 있는가?"
윤영경 (연세대학교) "기반에 대한 설명적 유관성의 우선성"
김동우 (The Graduate Center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Necessity, essence and explanation"
정대휘 (성균관대학교) "Millian’s Pragmatic Approach to Ordinary Empty Names and its Limits"
이정규 (성균관대학교) "There Might Have Been no such Thing as Sherlock Holmes: Creationism and Negative Existentials" [키노트]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Online/ Aug 26, 2021
이은홍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The Internalism and Externalism of reasons for love"
이승택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콰인식 술어주의 반대"
이동훈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Denotational Indeterminacy, Singular Existentials, and Metaphysical Realism"
박다혜 (연세대학교) "크립키의 믿음에 대한 퍼즐과 밀주의의 화용론적 해결"
김정균 (성균관대) "허구적 실재론의 맥락적 논제 비판적 검토"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Online/ Feb 19, 2021
강규태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지각 경험의 인식적 정당화 역할에 대한 반증주의 접근"
논평: 서인준 (경희대학교 철학과)
윤유석 (서강대학교 철학과) "현상학적 해석학에서 분석적 해석학으로"
김혜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구성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의 작품 간 동일성 문제"
서인준 (경희대학교 철학과) "허용주의 논쟁에서 임의성 문제 재검토 그리고 유일주의의 반직관적인 귀결 해소"
논평: 강규태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Online/ Jul 26, 2020
허민 (서울대학교 철학과) “Can Compulsory Hospitalization of Schizophrenics Be Justified? – Schizophrenics’ Autonomy and Paternalistic Policy”
노장면 (고려대학교 철학과) “CZF에서 귀납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코시수열을 이용한 최소상계 성질의 증명”
배열림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퍼머턴의 직접대면 토대론에 대한 정합론적 비판”
이동훈 (연세대학교 철학과) “'때문에'를 위한 재귀”
이병호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기능적 뇌영상 촬영법과 심리학 이론들의 분별 가능성 ”
김민석 (중앙대학교 철학과) “How (not) to Understand Generic Essential Statements in terms of Essence of Properties”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ungkyunkwan University/ Sep 21, 2019
이동훈 (연세대학교 철학과) “What does it mean to say no to Ft?”
박성수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증거의 역할을 못하는 증거”
이종현 (고려대학교 철학과) “덤밋의 검증주의 의미론과 근본가정의 역할”
이찬우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철학과) “구조주의에서 가산무한을 정당화하기”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eoul National University/ Feb 23, 2019
강규태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과학의 성공에 대한 선택론적 설명 비판”
최희윤 (서울대학교 철학과) “자기 귀속과 믿음의 합리성”
양현 (서울대학교 철학과) “윤리적 전체론의 생태파시즘 의혹에 대한 한 대응방안”
이승택 (연세대 철학과) “취소된 서술 행위와 표적 이동”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eoul National University/ Oct 20, 2018
이동훈(연세대학교 철학과) “상응자 이론을 위한 새로운 일들”
허민 (서울대학교 철학과) “죽음을 규정하는 두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영찬 (서울대학교 철학과) “존재원리 반대(Against Existence Principle)”
박충식 (서울대학교 철학과) “내재성과 일원론(Intrinsicality and Monism)”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Seoul National University/ Mar 10, 2018
이찬우 (서울대학교) "세계의 책 작성법?"
Nikolo Michael C. Panganoron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The Grammar of Religious Belief"
이영찬 (서울대학교) "데이비드 루이스의 <영향으로서의 인과> 비판"
이현우 (서울대학교) "Kant에게서 근본악의 보편성에 대한 경험적 성격과 그에 대한 숨겨진 논변에 대한 연구"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Chung-Ang University / Sep 16, 2017
이상헌 (서울대학교) 사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방식의 윤리적 정당화는 가능한가? - 롤즈의 인센티브 논변에 대한 코헨의 비판을 중심으로 -
논평: 이현우 (서울대학교)
김정균 (성균관대학교) 디로즈(Derose)의 인식적 맥락주의 비판
논평: 오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이영찬 (서울대학교) 복수어 표현에서 발생하는 존재론적 개입에 대한 문제
논평: 이동훈 (연세대학교)
Thomas Park (서울대학교) The location of pain as evidence for its representational status
논평: 이찬우 (서울대학교)
김영성 (성균관대학교) 삶 속의 의미, 삶에 대한 의미
논평: 양현 (서울대학교)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74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Mar 4, 2017
이승택 (연세대학교) 속성 실재론과 개별적 대상 구성의 문제
논평: 서지수 (연세대학교)
이은홍 (중앙대학교 ) 자유의지 주관주의를 통한 기존의 강한 양립불가능론 비판
논평: 양승철 (숭실대학교)
이동훈 (연세대학교) Grounding as a formal notion
논평: 임상무 (서울대학교)
이영찬 (서울대학교) 루이스는 필연주의자인가?
논평: 박충식 (서울대학교)
Announcement and abstracts: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68
Sungkyunkwan University / Aug 13, 2016
이동훈 (연세대학교 철학과): “새로운 양상 환원주의”
논평: 이상구 (연세대학교 철학과)
오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인식적 의존성 논제, 인식적 쌍둥이 지구 사례, 인식적 프랭크퍼트 사례, 강건한 덕 인식론”
논평: 김용성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반재선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다수 실현과 비환원의 형이상학”
논평: 전승태 (서울대학교 철학과)
김가영 (서울대학교 과학사 과학철학 협동과정): “공약불가능성 논제는 자가당착적인가?: 내용-도식 이분법과 범례로서의 패러다임”
논평: 정원호 (서울대학교 과학사 과학철학 협동과정)
Yonsei University / Feb 27, 2016
목영준 (한양대학교) "흄의 일반적 관점(general point of view)에 대한 정감주의적 해석(sentimentalist interpretation)"
논평자: 백송이 (성균관대학교)
이동경 (고려대학교) "Breaking the “Tie-Breaking” Argument for Saving the Greater Number"
논평자: 김대현 (서울대학교)
이찬우 (서울대학교) "Learning event as an Internalistic Epistemic Justifier"
논평자: Tsugita Shun (University of Tokyo)
서지수 (연세대학교) "States of Affairs as Mereological Compositions: Against Armstrong's Non-mereological Composition"
논평자: 남수민 (연세대학교)
Tsugita Shun (University of Tokyo) "On the fulfillment conditions of basic desire"
논평자: 이찬우 (서울대학교)
Announcement: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47
Seoul National University / Aug 8, 2015
박성수 (성균관대학교) "뜻 개념에 대한 대체가능성”
논평자: 봉성용 (서울대학교)
남수민 (연세대학교) “Troubles with Armstrong’s Truthmakers Maximalism: Focusing on the totality states of affairs”
논평자: 서지수 (연세대학교)
유환 (서울대학교) “수용과 존중: 불일치 및 철회 현상에 관한 비지표적 맥락주의 옹호”
논평자: 오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
김대현 (서울대학교) “Anti-Humean Theory of (Normative) Motivation”
논평자: 김지원 (고려대학교)
김동우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ies) "Reconciling Grundgesetze with Grundlagen”
논평자: 소한종 (고려대학교)
반재선 (서울시립대) “민주정체에 대한 플라톤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한가”
논평자: 이현우 (서울대학교)
Announcement: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38
Korea University / Jan 24, 2015
홍예리 (이화여자대학교) "프리차드의 인식론적 선언주의가 전면적 회의주의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한 비판"
(논평자: 유원실, 이화여자대학교)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확장을 통한 긍정적 실험철학 모색 :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논평자: 백송이, 성균관대학교)
Daniel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Reexamining our Concept of Moral Judgment"
(Commentator: Thomas Park, Seoul National University)
Jiwon Kim (Korea University) "Revealing a new aspect to blame: a consideration to partial relationship"
(Commentator: Hyunwoo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omas Park (Seoul National University) "Why do Korean clients sponsor shamanic healing rituals?"
(Commentator: Daniel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오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게티어 문제, 안전성, 넉넉하게 능력을 드러낸 믿음"
(논평자: 반재선, 서울시립대학교)
Announcement: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