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annual Workshop

The 7th KSAP Grad Division Workshop

Philevents link: https://philevents.org/event/show/40154

한국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회원님들께,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제7회 한국분석철학회(KSAP) 대학원생분과 국내 워크샵이 2018년 3월 10일 토요일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될 예정임을 안내드립니다.

워크샵에서 발표가 확정된 초록은 이하에 첨부하오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은 3월 9일(금)에 한국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까페에 (http://cafe.naver.com/analyticphilosophy)에 업로드 될 예정이니 함께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부디 많은 선생님들께서 대학원생분과의 일곱 번째 워크샵에 참석해 주셔서 유익한 교류 시간을 나누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 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제 7회 워크샵>


일시: 2018년 3월 10일 토요일 오후 13:30 -

장소: 서울대학교 인문대 7동 315호

(해당 건물은 낙성대역 4번 출구 근처에서 관악02번 마을 버스 혹은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5513번 버스를 타시고 '관악사 삼거리' 정류장에서 하차하시면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지도는 http://map.snu.ac.kr/web/main.action를 참고하십시오.)

13:30 - 14:00 등록

14:00 - 14:10 개회사

14:10 - 15:00 이찬우 (서울대학교) "세계의 책 작성법?"

15:10 - 16:00 Nikolo Michael C. Panganoron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The Grammar of Religious Belief"

16:10 - 17:00 이영찬 (서울대학교) "데이비드 루이스의 <영향으로서의 인과> 비판"

17:10 - 18:00 이현우 (서울대학교) "Kant에게서 근본악의 보편성에 대한 경험적 성격과 그에 대한 숨겨진 논변에 대한 연구"

18:30 - 저녁식사

발표 목록:


발표자: 이찬우 (서울대학교)

제목: 세계의 책 작성법? (Can we write the book of the world?)

테드 사이더는 『세계의 책 쓰기』에서 존재론적 질문과 논쟁이 세계의 객관적인 사안들을 따지는 활동이라는 `존재론적 실재론'을 제안하고, 근본적 구조에 관한 스스로의 입장에 의거하여 옹호 논변을 펼친다. 하지만 사이더의 메타존재론적 틀에서 '구조' 개념은 비근본적 참에 대한 정초와 형이상학적 담론의 실질성 보장이라는 두 역할을 동시에 맡으며, 나는 이 두 역할이 종국엔 서로 상치되는 귀결을 낳으므로 사이더의 입장에 문제를 초래한다고 논하겠다. 더불어 본고에선 사이더의 틀에 의거하는 몇 가지 가능한 반론들에 대한 고려 역시 함께 제시하겠다.

In Writing the book of the world, Ted Sider argues for the position that ontological questions and disputes concern objective matters of the world, which he dubs ‘ontological realism’, based on his account of the fundamental structure. I argue that his metametaphysical framework exhibits a serious shortcoming since his notion of structure is burdened at the same time with two irreconcilable goals, underpinning nonfundamental truths and ensuring the substantivity of metaphysical discourses. Some possible rejoinders that can be constructed in Sider’s system are addressed as well.


발표자: Nikolo Michael C. Panganoron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제목: The Grammar of Religious Belief

Despite the fact that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influential thinkers of the past century and the harbinger of philosophy’s turn to language, Wittgenstein (1889-1951) did not write any philosophical treatise with religious language as its main subject. However, philosophers and scholars working on him believe that hi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1922)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953) together with some posthumously published works are implicit of a very distinctive framework in understanding religious belief. His mature notion of grammar, which for Addis (2006, p. 98) “encompassed many phenomena which are ordinarily not regarded as grammatical at all,” could surely become the springboard i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religious languag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essay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 we make sense of religious statements based on the notion of grammar? In answering this, 1)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s peculiarity and the different frameworks in understanding religious language are explored; 2) a diptych of Wittgenstein’s early and mature conceptions of philosophy is presented in order to evolve a viable methodology – i.e. grammatical investigation – in understanding religious language; and 3) the corollaries of this methodology to the life of the believers are considered.


발표자: 이영찬 (서울대학교)

제목: 데이비드 루이스의 <영향으로서의 인과> 비판 (A Criticism on David Lewis’s Influence Theory of Causation)

데이비드 루이스는 [영향으로서의 인과](2004)에서 인과 관계를 영향 관계로 분석하는 새로운 인과 이론을 제시한다.(이하 ‘영향이론’) 루이스는 영향이론이 기존의 자신의 반사실적 인과이론이 가지고 있었던 심각한 문제인 선점 문제(preemption)를 해결한다고 말한다. 선점문제의 사례들은 직관적으로는 인과의 사례이지만 루이스의 기존 인과이론에서는 인과가 아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루이스는 새로이 도입한 영향 개념으로 반례로서 제기되었던 선점 사례들을 인과관계로 분석되도록 만들었다.

나는 이 논문에서 직관적으로는 분명히 인과의 사례이지만 영향이론에서 인과가 아니게 되는 사례들을 보임으로써 영향이론에도 여전히 문제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사건 C가 사건 E에 영향을 끼칠 수 없지만, 직관적으로는 C가 사건 E의 원인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루이스의 영향 이론은 이와 같은 사례들이 인과의 사례라는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제시할 사례들 중에는 선점 사례도 포함되어 있기에 루이스의 영향이론은 선점 사례들에 대한 완벽한 대응도 되지 못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In [Causation as Influence](2004), David Lewis presented a new theory on causation that analyzes a causal relation as an influence relation.(Influence Theory) Lewis says that Influence Theory can solve the problem of preemption cases which his former counterfactual theory could not. Intuitively, preemption cases are cases of causation, but they were not analyzed as so in his former counterfactual theory. In this article, I will present new cases that are cases of causation, but are not analyzed as so in Influence Theory. These cases have a common structure that an event C has no influence at all on an event E, but still C is a cause of E intuitively. From these case I will argue that Influence Theory still has a problem.


발표자: 이현우 (서울대학교)

제목: Kant에게서 근본악의 보편성에 대한 경험적 성격과 그에 대한 숨겨진 논변에 대한 연구 (An alternative argument of Kant's radical evil)

칸트는 ‘종교’에서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악하다는 주장을 인간에 경험적 악행에 대한 나열을 근거로 사용하여 증명한다. 이러한 근본악의 보편성에 대한 주장에 대해 모든 인간이 악하다는 주장에서부터는 이 주장이 너무 강하다는 문제가, 그 근거로 제시되는 경험의 나열에서는 이 증명이 보편성을 증명하기에는 너무 약하다는 문제가, 그리고 주장 자체에서는 악의 근원에 대한 경험적 탐구는 불가능하다는 칸트의 다른 입장과 일관되지 않다는 문제가 손쉽게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몇몇 해석가들은 칸트 본인이 생략했다고 언급한 근본악의 보편성에 대해 가능한 대안적 논변을 몇 가지 방식으로 제시하였으나 그들이 제시한 논변은 쉽게 해결할 수 없는 철학적 혹은 문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악의 보편성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지지하는 다른 대안적 논변을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논변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시되는 칸트의 논변은 예외가 생각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보편성만을 가지면서도, 부당한 행복에 대한 최소한의 자각과 그로부터 이성적으로 파악 가능한 악에 대한 직관에 호소하는 논변으로 정리된다.

In 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ssen Vernunft, Kant asserts that all human beings are radically evil stems from mere empirical evidences. There are, at least, three major problems in the radical evil thesis: its claim is too strong, its ground is too weak, and it causes incoherence with regard to Kant’s general view of opacity of mind. To avoid those problems, some commenters gave out alternative arguments to the radical evil thesis but they faced with several philosophical and textual conundrums.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kind of alternative argument free from those conundrums by which we can buil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radical evil thesis that contains only a weak sense of universality allows exceptions and relies mainly on our self-awareness to unwarrented happiness and its rational consenquence: a subjective necessary evil.

본 행사에 대해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