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실의 석사과정 김서혁 학생이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의 e-생물산업 웹진 2025년 9월호에 "KMB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RSM)을 통해 Hemp seed(대마씨) 착유 파우더로부터 단백질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여, Hemp seed 착유 파우더가 식품 업사이클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단백질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아울러, Hemp seed 단백질이 식품 산업에서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향후 그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입니다.
김서혁 학생의 연구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이렇게 좋은 결과로 이어져 정말 기쁘고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의 연구 활동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석사과정 박준하 학생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3차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신규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선정을 통해 이공분야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을 지원받게 되었으며, 앞으로 1년간(2025년 9월 ~ 2026년 8월) 연구에 더욱 매진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를 얻었습니다.
선정된 과제는 "Zero-Waste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한 국내산 홍조류 유래 차세대 기능성 소재 개발" 입니다. 본 연구는 국내산 홍조류를 원료 단계부터 전량 활용하는 Zero-Waste 바이오리파이너리 전략을 기반으로,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산물(색소단백질, 탄수화물 등)을 기능성 소재로 고부가가치화하고자 합니다. 특히 3,6-Anhydro-L-galactose(AHG)와 그 환원체인 3,6-Anhydro-L-galactitol(AHGol)의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이들의 기능성(수분 유지력, 피부 보습 등)을 검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상용화 가능한 차세대 기능성 소재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박준하 학생의 과제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앞으로 펼쳐나갈 연구 여정에 아낌없는 응원과 지지를 보냅니다!
지난 8월 21일, 우리 연구실의 박사과정 Lilik Krisna 학생이 대전 호텔 ICC에서 열린 제6회 세계여성과학기술인 국제융합학술대회(BIEN 2025)에 참석하였습니다.
BIEN 2025는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KWSE)가 주최하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대회로, 올해는 '국경 없는 과학기술(Science and Technology without Borders)'을 주제로 전 세계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교류의 장이었습니다.
Lilik는 학회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 캠프(YWS Camp)'에서 Webinar, Smart Sister Program, 포스터 세션, 초청 강연, 팀 빌딩 등 다채로운 활동을 통해 동료 연구자들과 교류하며 최신 지견을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번 학회 참석을 통해 Lilik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고, 성장할 수 있는 귀중한 밑거름이 되었으리라 믿습니다. 열정적인 활동을 마치고 돌아온 Lilik에게 큰 박수를 보냅니다!
경북대학교에서 Global Centers: International Bioeconomy Macroalgae Center - UC Berkeley 2차년도 자체 중간점검 워크샵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워크샵은 김동현 교수님께서 주관하셨으며, 해양 거대조류를 활용한 바이오경제 분야의 발전을 위해 함께 힘쓰고 있는 여러 전문가분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고려대학교 김경헌 교수님, 부경대학교 심길보·박은정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윤은주 교수님, 경북대학교 김수린 교수님 연구실의 구성원들이 참석하셨고, 바이오크래프트의 김도형 대표님께서도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각 연구실은 연구 현황과 주요 성과들을 발표하며 최신 지견을 공유했습니다. 해양 거대조류의 잠재력을 실질적인 바이오 소재와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과 심도 깊은 논의가 오갔고, 공동 연구의 시너지를 체감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발표 세션이 끝난 후에는 다 함께 식사를 하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교류를 이어갔습니다. 연구에 대한 열정과 비전을 나눌 수 있었던 이번 워크샵은 단순히 성과를 점검하는 자리를 넘어, 참여 연구자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미래 협력을 다지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성공적인 워크샵을 준비해주신 김동현 교수님과 귀한 시간을 내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우리 연구실은 2025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KMB)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하였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미생물 및 생명공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소중한 자리였습니다.
특히, 김동현 교수님은 international symposium 세션에서 구두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Valorization of Red Algae-derived Polysaccharide for the Production of Value-added Materials"라는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국내외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발표 후에는 활발한 질의응답과 토론이 이어져, 우리 연구실의 연구 역량과 국제적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학회를 통해 저희 연구실은 최신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협력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학술 활동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하는 연구실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5.05.01. 축! 녹색융합 기술연구 전문인력 양성 연구과제 선정
우리 연구실의 석사과정생인 김선희, 박준하 학생이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지원하는 생물자원 및 녹색융합 기술연구 분야 전문인력 양성 연구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2025년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선정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에서 이공계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을 선정하였습니다. 그 중 식품소재공학전공에서 저희 연구실의 석사과정 김선희 학생과 채연희 학부연구생이 김동현 교수 지도하에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를 위한 발판이 되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화이팅!
김동현 교수님께서 고려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한빛사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본 논문은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당인 D-ribose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신규한 다중효소시스템을 개발한 논문입니다. D-Ribose는 뉴클레오시드 인산(ATP), RNA, DNA를 포함한 핵심 세포 분자를 합성하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식이 보충제로서 각광을 받는 식품소재입니다.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는 대한민국의 생물학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1996년 한국과학재단과 포항공대의 지원으로 설립된 전문 정보센터입니다. 생명과학 분야 정보 제공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과학적 검증 및 토론의 장, 연구자들 간 커뮤니티 및 협력 네트워크, 교육 및 대중화 활동 등 다양한 주요 역할을 하는 BRIC은 생물학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와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생명과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UC Berkeley의 국제 바이오경제 해조류 센터(Global Centers: International Bioeconomy Macroalgae Center, IBMC)는 전 세계 공급망에서 해조류(seaweed) 활용을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연구 센터입니다.
IBMC의 연구는 해조류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초 지식을 확장하고, 양식 및 수확 기술을 개발하며, 해조류 바이오매스 처리 방법을 혁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김동현 교수님께서 발표를 하시고 많은 연구들을 교류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본 논문은 분해성과 재처리 가능성을 갖춘 dynamic themosets blends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시합니다. 이는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열경화성 재료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개발된 재료는 식품 포장, 의료용 임플란트,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있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바이오 기반 폴리머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순환 경제와 지속 가능한 재료 과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ACS(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s은 화학 및 관련 과학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고, 가장 많이 인용되며, 가장 많이 읽히는 저널 컬렉션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도 출판되었습니다.
2025 제 2회 식품생물공학연구회
고려대학교에서 주최한 2025 제 2회 식품생물공학연구회에 참석했습니다.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유익한 인사이트를 얻는 뜻깊은 시간이었고, 연구에 대한 열정과 고민을 나눌 수 있어 더욱 의미 있었습니다.
행사 후에는 참석자들과 함께 식사 자리를 가지며 연구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었습니다. 공식적인 발표를 넘어, 학문적 교류와 소통의 의미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석유계 유래 연료 및 화학물질을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대체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에 바이오매스로부터 당 기반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이 아니라, 레불린산(Levulinic acid)를 통한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제시하고 있음. 이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협업을 통해 진행이 되었으며, 기초연구사업 신진후속-중견연계 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Bioresource Technology 저널은 IF= 9.7 / JCR 5%이하(Agricultural engineering)에 해당하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논문에 해당합니다.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는 대한민국의 생물학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1996년 한국과학재단과 포항공대의 지원으로 설립된 전문 정보센터입니다. 생명과학 분야 정보 제공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과학적 검증 및 토론의 장, 연구자들 간 커뮤니티 및 협력 네트워크, 교육 및 대중화 활동 등 다양한 주요 역할을 하는 BRIC은 생물학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와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생명과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4.05.01. 축! 녹색융합 기술연구 전문인력 양성 연구과제 선정
우리 연구실의 석사과정생인 신채연, 최윤경 학생이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지원하는 생물자원 및 녹색융합 기술연구 분야 전문인력 양성 연구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김동현 교수는 2023.05.15. ~ 2024.05.14. 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표준(식품, 정유, 전분 분과)에서 다뤄지는 주요 사안에 대해 국내 산학연 입장을 대변하는 ISO 국제표준화 활동 대응 전문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많은 활동 기대합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후원하고 주관하는 plastic forum에서 '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Solution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ssues of Secondary Microplastics'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그곳에 김동현 교수가 초청 받아 발표를 하고 많은 관련 연구들을 교류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PET 분해효소를 Science 지에 발표함으로써 연구의 장을 열어주신 Dr. Kohei Oda 도 같은 세션에서 keynote speaker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2023년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선정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에서 이공계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을 선정하였습니다. 그 중 식품소재공학전공에서 저희 연구실 학부생 황희주 학생과 한동엽 교수님 대학원생 여채은 석사과정생이 공동연구로 한동엽 교수님 지도하에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를 위한 발판이 되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화이팅!
2023.02.09. ~ 10.
2023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영남지부 학술대회
FBR이 첫 학회를 참석하며, 김동현 교수가 초청 받아 발표를 하고 많은 관련 연구들을 교류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Development of an efficient chemo-bioprocess for biological PET upcycling'
일동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연구를 통해 모유를 먹인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probiotic의 안전성 및 이것의 postbiotic로서 잠재성을 평가한 논문임.
김동현 교수의 박사후 연구원 PI인 Dr. Gregg T. Beckham(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이 첫 한국 방문으로 학회에 와서 발표하고 한국 과학자들(김경진 교수님 팀)과 함께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활발한 국제교류가 계속적으로 이뤄졌으면 합니다.^^
2023.03.01.부터 한국당과학회 국제협력위원으로 김동현 교수님이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응원합니다!
2023.01.01.부터 경북대학교 미생물연구소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김동현 교수 위촉되었습니다. 많은 활동 응원합니다.
2023.01.01.부터 한국생물공학회 홍보소식위원회 위원으로 김동현 교수님이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응원합니다!
2022.12.19. - It was confirmed that Young Hoon Kang will join Maeil Dairies Co., from Jan. 02. 2023. Congratulations!
2022.09.01 - The Food BioResource Lab was officially open! Welcome and join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