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rizon 1~3 단계별 구조를 통한 인재 육성과 성장은 재단의 프로그램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한국고등교육재단, 최종현학술원, 사회적가치연구원뿐만 아니라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단계별로 확장됩니다. 장학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더 깊이 확장하면서도, 다른 분야의 인재들과 만나 시너지를 창출하고 사회적 가치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KFAS 인재상은 Knowledge-driven, Forward-thinking, Action-oriented, Socially-conscious 네 가지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장학생들이 Horizon 단계별 성장 구조를 통해 길러야 할 능력과 태도의 지향점이 됩니다. 재단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KFAS형 인재 핵심 역량*을 정립했고, 인재림·문우림을 비롯한 프로그램에서 이를 계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핵심역량은 Horizon 1~3 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KFAS 인재상이 요구하는 역량으로 발전합니다.
또한 재단은 장학생들이 자신의 성장 방향을 구체화하고, 특정 전공이나 직업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KFAS 인재유형(TALENTS)*을 제시합니다. TALENTS는 직업 구분이 아닌, 인재가 사회 속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역량을 발휘하고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성장 경로 가이드라인입니다. 한 개인은 특정 유형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을 동시에 아우르며 복합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학문적 전문성을 갖춘 학자형(Scholar)이면서 동시에 국제적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글로벌리더형(Global Leader)일 수 있고, 전문가형(Expert)의 깊이를 지니면서도 예술가형(Artist)으로서 창의적 감수성과 사회적 공감을 함께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인재상·핵심역량·인재유형을 토대로 재단은 학부 시기부터 사회 진출 이후까지 이어지는 Horizon 1~3 단계의 성장 구조를 마련하였습니다.
Horizon 2는 Horizon 1을 거친 인재들이 진로 구체화 시기에 자기주도적으로 탐색해 보는 단계입니다. 장학생들은 선후배 멘토링, 학습공동체, 네트워크 교류 등을 통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하고 실험하며, 실패와 성찰을 거쳐 방향을 구체화합니다. 다양한 기회를 통해 글로벌 리더와 교류하고, 실제 현장에서 협력과 문제 해결을 경험합니다.
성장 관리와 자기 점검: 정기적으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성장 목표와 계획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멘토링 및 진로 탐색: 2~3년 선배로부터 창업, 취업, 진학, 연구 등 진로 준비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회 제공
자기주도 프로젝트와 학습공동체: 스스로 기획한 탐구·연구 활동을 실행하고, 동료와 함께 구성한 다양한 방면의 학습을 통한 동반 성장의 장 제공
네트워크와 교류: 다양한 전공과 기수 간 교류를 통한 융합적 사고와 경험 확장의 기회 제공
국제 협력 경험: 국제 무대에서 협력과 문제 해결을 직접 경험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Horizon 3는 사회 진출 초·중기까지 이어지는 전문성 심화와 사회적 기여의 단계입니다. 사회혁신과 창업, 국제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인재들에게는 매칭 펀딩과 공동 연구 기회가 제공되며, 학문 연구를 지속하고자 하는 인재에게는 해외유학 지원과 신진학자 발굴·포상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장학생들이 그려가는 인재 성장의 경로를 다양하게 지원할 예정입니다.
연구·창업·사회 프로젝트: 새로운 연구, 창업,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에 도전할 수 있도록 자금과 실행 기회를 지원
학문 연구 지원: 해외 유학, 국제 학술 네트워크, 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문적 성장을 지원
지속 성장 공동체: 다양한 분야의 동료와 함께 지식을 나누고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학습·토론의 장을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