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There
Yang Jungae │ Curator
<From there> is a collection of art works by Park Younggyun(b.1966~ ), which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for more than 30 years, from around 1985 to 2022. By categorizing the series of works by 10 years, 300 works were selected. By archiving not only images of works but also data (drawings, photos, artist notes, critics, etc.), this book is structured so that you can see the context surrounding the works at a glance.
In the 1980s, the artist’s unpublished early works, such as his family who supported him to walk on the path of an artist, the scenery of his childhood hometown, and the studio he stayed in during his school days, are presented. In addition to his individual works, works such as <Youth> mural, which was co-produced through the ‘Jjokbit’(Indio light) activity in Kyung Hee University, were also included, allowing us to examine the traces of the artist who has worked hard in the field of Minjung Art.
In the 1990s, works from the days of the art movement groups ‘the Federation of Seoul National People’s art, hereinafter Seomiryun)’ and ‘Ganeonpae’(a small collective of art movements) are mainly included. They contain prints dealing with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labor movement in Ulsan, and drawings that became the basis for the serie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intings. In this collection of works, in particular, drawings in the letters sent by Park Yeonggyun from the detention center while he was imprisoned for violating the National Security Law by Seomiryun activities were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ese works are not only traces of life as an individual artist going through modern Korean history, but also lay the foundation for shedding light on the new art-historical value of artists during the period. The middle and late 1990s, when the art movement organization he was involved in was disbanded,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for the artist Part Younggyun, and representative works were included such as the series of <Assistant Manager Kim (Kim Daeri) of the Class of 1986> who was the artist’s personas and the <Gwanghwamun> series.
Entering the 2000s, along with the <the Fat Sofa> series that expands the identity of the 386 generation, the artist returned to the field and presented works such as Daechu-ri, Memories of the Square, and Nakdong River series, which addressed social issues as art, through experiments with various media and colors.
In the works of the 2010s, a new attempt was made to connect the narrative of the studio where he is currently painting and the sites where historical events took place - Sewol ferry, Jeju 4.3, Gangjeong Village, etc. - on a large horizontally expanded screen. In addition to spatial continuity, temporal continuity was also showed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the form of a painting within a painting - a form of re-embracing paintings he drew in the past in his works. In representative works of this period, such as <From there to the Place I Am>(2012-2014) and <Report on the Flower Garden in Daehanmun>(2018), the artist's unique details looking at the grand narrative are an interesting point.
In the 2020s, you can find works that reinterpreted the scene facing a kind of civilizational transition after the pandemic with Park Younggyun’s own intimate sensibility -<Tears of Ice>(2020), <Connection>(2021), <Beyond the Purple Hill>(2021), etc.- and new works <Where a Bird has Left>(2022) and others in 2022. Expectations are high on how the artist, who has extended his works to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ssues, will draw the rest of the year in the 2020s in line with the changed air of the world.
Apart from works by period, a series of self-portraits that I have not let go of since he was a student in the 1980s until recently have been compiled into one section. The self-portrait series not only shows the artist's history of various formal experiments using his face as a tool, but also makes us look back on the individual's life in history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the reality of the times the artist has been experiencing behind the face.
Following the self-portrait series, some of the artist’s animation works are also presented. Looking at the collaborative work <It is one now KTUC> released in 1990 and the iPad drawing <In Front of a Purple Camera> in 2019 side by side, it is also interesting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roduction technique with a 30-year time difference and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 looking at the times. Video works and public art projects that could not be fully included due to space limitation – Jeon Tae-il Street Project(2019-2021), Seoul Station Project(2018), etc. – were introduced on the artist’s website (www.parkyounggyun.com).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artist Park Younggyun,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follow the artist's artistic traces that he has silently practiced in various places in the field as well as his work activities.
Lastly, while holding 15 individual exhibitions and about 100 large and small group exhibitions, critics who paid attention to Park's paintings were organized and translated.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14 writers who willingly participated in the re-publish of the articles – Kang Seongwon, Kim Jeongyeon, Gim Jonggil, Gim Jungi Kim, Kim Jiyeon, Kim Heokyung, Kim Hyungsu·Lee Youngjin, Noh Hyungseok, Park Eungju, Yang Jungae, Choi Beom Choi, Hong Jiseok, and Hwang Chanyeon. Based on the critiques included here, I hope that future ones that can take a fresh look at the artist will continue.
This collection of works was produced through a collaborative planning process with artist Park Younggyun with the support of the 2022 Arts Council Korea’s middle-aged artist promotion project. Through this collection of works, including recent works, it was an opportunity to view the context of his works for more than 30 years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He has built a rich painting work for a long time and has entered a generation with the qualifier of a middle-aged artist, but looking at his works created by penetrating ‘there’ in Korean society as an individual artist, the modifier ‘young artist’ in front of his name seems more suitable. For Park Younggyun, ‘there’ is not just a designation of a place, but a certain starting point that became the driving force of his art works. Each one’s departure will be different, but hopefully From there will become a medium and act as a passage through which people can meet their companions along the way of the artist.
그곳으로부터
양정애 │ 기획
<그곳으로부터>는 1985년 무렵부터 2022년에 이르기까지 30여년 이상 꾸준히 축적해온 박영균(b.1966~ ) 작가의 작품을 총망라한 작품집이다. 시기별 주요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10년 단위로 범주화하여, 300여점의 작품을 선별 수록하였다. 작품 이미지뿐 아니라 자료 -드로잉, 사진, 작가노트, 평론 등- 를 함께 아카이빙하여, 작품을 둘러싼 맥락까지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980년대에는 예술가의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준 가족들, 어린 시절 고향의 풍경, 학창 시절 머물던 작업실 등 작가의 미발표 초기작들을 선보인다. 개인 작업 외에도 대학 시절 그림패 ‘쪽빛’ 활동을 통해 공동 제작한 경희대 <청년> 벽화 등, 민중미술 장에서 애써온 작가의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는 작업들도 포함하였다.
1990년대에는 미술운동 조직 ‘서울민족미술운동연합(서미련)’과 ‘가는패’ 활동 시절의 작품들을 주로 수록하였다.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판화, 울산의 노동운동을 다룬 판화, 동학농민혁명 회화 시리즈 등의 모태가 된 드로잉들을 담았다. 특히 이번 작품집에서는 서미련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감된 시절 박영균이 구치소에서 보낸 편지 속 드로잉들을 최초로 공개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한국현대사를 겪어내는 개인 예술가로서의 삶의 흔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당대 예술가들의 활동에 대한 새로운 예술사적 가치를 조명하는 단초를 마련한다. 몸담고 있던 미술운동 조직이 해체되는 1990년대 중·후반기 무렵은 박영균 작가에게 있어 중요한 변곡점이 되는 시기로, 작가의 페르소나였던 86학번 김대리 시리즈와 광화문 시리즈 등이 등장한다.
2000년대에 접어 들어서는 386세대 정체성을 확장한 작업 살찐 소파 시리즈와 더불어, 다시 현장으로 돌아가 예술로서 사회적 현안들에 대해 발언한 대추리, 광장(광장의 기억), 낙동강 시리즈 등의 작품들을 다양한 매체와 색채 실험과 함께 선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0년대 작품들에서는 가로로 확장된 대형 화면 안에 현재 그림을 그리고 있는 작업실과 역사적 사건이 벌어진 현장들 -세월호, 제주4.3, 강정마을 등- 의 서사를 잇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공간적 연속성과 더불어 그림 속 그림 –지난 시절 자신이 그렸던 그림을 작품 속에 다시 담아내는 형식- 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시간적 연속성 또한 보여준다. <저기에서 내가 있는 이곳까지>(2012-2014), <대한문 앞 꽃밭에 관한 리포트>(2018)를 비롯한 이 시기 대표작들 속에서 작가가 설정한 디테일들을 발견하는 즐거움이 있다.
2020년대에는 팬데믹 이후 일종의 문명적 전환을 마주한 현장을 박영균 작가만의 내밀한 감성으로 재해석한 작품들 -<얼음의 눈물>(2020), <연결>(2021), <보라색 언덕 너머>(2021) 등- 과 <새가 떠나간 자리> 등 2022년 최근 신작들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환경과 생태 문제로도 시선을 확대한 작가가 달라진 세상의 공기에 맞춰 2020년대의 남은 해를 어떻게 그려나갈지 기대되는 지점이다.
시기별 작품들과 별도로, 1980년대 학생 시절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손에서 놓지 않았던 자화상 시리즈들도 한 섹션으로 엮었다. 자화상 시리즈는 자신을 얼굴을 도구삼아 다각도로 형식적 실험을 해온 작가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 얼굴 이면에 담긴 작가가 겪어온 시대적 현실을 읽어내는 과정에서 역사 속 개인인 각자의 삶을 돌아보게도 만든다.
자화상 시리즈에 이어 작가의 애니메이션 작업들도 일부 수록하였다. 1990년 발표한 공동작업 <이제는 하나다 전노협>과 2019년의 아이패드 드로잉 작업 <보라색 카메라 앞에서>를 나란히 보면서 30년의 시간차를 둔 제작 기법상의 차이와 더불어 시대를 바라보는 작가의 관점을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지면의 한계 상 못다 수록한 영상 작업들과 공공미술 프로젝트들 –전태일 거리 프로젝트(2019-2021), 서울역 프로젝트(2018) 등- 은 작가의 웹사이트(www.parkyounggyun.com)에 소개하였다. 박영균 작가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 활동 못지않게 현장 곳곳에서 묵묵히 수행해온 작가의 예술적 흔적들을 따라가 보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15회 차례의 개인전과 100여회의 크고 작은 단체전을 치르는 동안 박영균의 화업에 주목했던 평론가들의 비평을 정리하고 번역하였다. 글의 재수록에 흔쾌히 동참해 준 14명의 필자-강성원, 김정연, 김종길, 김준기, 김정연, 김지연, 김허경, 김형수·이영진, 노형석, 박응주, 양정애, 최범, 홍지석, 황찬연-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여기에 수록된 비평을 바탕으로 작가를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또 다른 비평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작품집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중견작가 프로모션 사업의 지원으로 박영균 작가와의 협력기획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최근의 작품까지 망라한 이번 작품집을 통해 그의 30여 년 이상의 작업 맥락을 보다 다층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오랜 시간 풍부한 화업을 구축하며 어느덧 중견작가라는 수식어가 붙는 세대에 접어들었지만, 예술가 개인의 몸으로 한국 사회의 ‘그곳’들을 관통하며 만들어낸 그의 작품들을 보면, 그 이름 앞에는 여전히 ‘청년작가’라는 수식어가 더 어울리는 것 같다. 박영균에게 있어 ‘그곳’은 단순한 장소적 지칭이 아니라, 예술의 동력이 되었던 어떤 시발점을 의미한다. 각자의 출발은 다르겠지만, 모쪼록 『그곳으로부터』가 매개가 되어 작가가 걸어가는 길 위에서 함께 가는 동행자들을 만날 수 있는 하나의 통로로 작용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