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PLUS+ 연구실 구성원들이 국토・도시계획 부문의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이 블로그는 PLUS+ 연구실 구성원들이 국토・도시계획 부문의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24. 하늘색 바람, 녹색의 춤 - 20이종현
2025-09-06
산청 겁외사 (성철스님 생가)
서울식물원
서울숲
순창 강천산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
도시를 휘젓는 하늘색 바람과 녹색의 춤.
그 품에 안긴 채 내쉬는 숨이, 오늘의 하루를 쓰다듬어 주기를.
그러고 나서 멀어지는 어제에게
“고마웠어, 잘 가렴”이라는 말 한 마디, 끝.
23. 작은 마음 속의 도시 - 20이종현
2025-08-24
내가 머무르는 곳의 안정감이 포근하면서도 가끔씩 이러한 나로부터 탈피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아무 계획도 없이 여러 도시를 가보면서, 내 눈에 보이는, 그리고 내 귀에 들리는 삶의 생생함을 상기해본다. 이렇게도 저렇게도 걸어가보고, 사람이 사는 곳들도 둘러보면서, 나의 감각이 온전히 나의 것임을 향유해본다. 이렇게 내가 가진 것들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에게 삶의 본질에 대해 물어본다.
‘삶이란 무엇일까? 왜 나에게 삶이 주어졌을까?’
내가 읽은 어느 책에서는 ‘삶은 그저 삶’이기 때문에 살아가야 한다고 밝히고 있었다. 처음에 이 문장을 접했을 때는, 논리의 간단명료함과 더불어 삶을 삶으로 설명한다는 접근이 신선하게 느껴졌었다. 그러나 머지않아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A는 A이기 때문이다?’ 삶의 완결성을 위해 탄생한 논리학에서도 삶이란 건 동어반복의 오류에서 예외로 둘 수 있는 걸까? 그만큼 모두에게 삶은 소중하니까?
도시 여행은 위 질문에 대해 어떠한 답도 말해주지 않지만, 나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공간을 잠시 내어준다. 나는 단지 삶을 개척하기 위한 현장을 관찰하고, 질문을 곱씹어보며, 도시가 설계된 원리를 따라가본다. 이런 식으로 모두의 세상을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고 나만의 세상을 응집해본다. 이 질문이 비록 나에게 무겁고 벅차지만 그럼에도 놓지 않은 이유는 이 질문이 너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나를 이해하지 않고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가치관이 나의 기저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속초 (2024.07.07)
퍼즐을 완성하는 작은 조각들은 모두 제자리를 알고 있다. 퍼즐 중심에 놓여진 조각은 그림의 핵심을, 가장자리의 조각은 그림의 틀을, 경계의 조각은 그림의 안과 밖을 구분한다. 마치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시민들이 모여 한 도시를 이루고, 이러한 도시들이 모여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것처럼.
삶도 퍼즐과 별반 다르지 않다. 나를 움직이는 철학이 중심에 있고, 그 철학을 지키는 기관들이 가장자리에 있으며 그 경계에는 나와 세상을 구분하는 ‘선’이 존재한다. 도시도, 우리의 삶도 퍼즐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도시와 함께 내 삶의 경계를 다듬는 시간을 가지고 싶었다.
경계가 확고해야 내가 뚜렷해지니까.
이러한 생각이 깊어질 무렵에 찾아간 곳은 다름아닌 속초였다. 국토의 동북쪽 끝에 서 있는 도시, 속초에서 ‘경계’를 마주해보고 싶었다. 이렇다 보니 여행에 별다른 계획은 없었다. 단지 날씨가 좋으면 시내를 한 바퀴 둘러보는 게 여행의 전부였다.
잔잔한 바다와 고요한 하늘로 맞이하는 아침. 속초의 시내 풍경은 이러한 나의 소망에 보답을 해주는 듯 했다. 전날 밤에는 보이지 않던 선들, 육지와 호수의 경계, 산과 하늘의 경계, 보도와 차도의 경계가 선명하게 보였다.
이 선들은 다른 이의 경계를 침범하지 않고 각자의 그림을 품으면서 속초의 풍경을 완성하고 있었다.
퍼즐 조각들이 모여 완성된 하나의 그림처럼.
나는 왜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고 하는가. 그 이유는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을 꿈꾸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각자의 위치를 지키면서도 서로를 존중하는 조화로운 세상을 만들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은 그 경계의 질서를 잘 지키고 있는 걸까? 모든 경계가 다 조화로운 세상이었다면, 오늘날 뉴스에서 안타까운 소식들이 계속 이어지는 이유는 뭘까. 그럼에도 좋은 소식들이 더 많아질 거라고, 그런 날이 반드시 언젠가 올 거라고, 기대를 품었던 내 삶의 중심에는 이러한 세상을 만들겠다는 철학이 있었나 보다. 속초에서 본 수많은 경계들은 그러한 철학의 모양을 조금 더 선명하게 그려주었다.
강릉 – 안반데기 마을 (2025.01.07)
해발 1,100m에 자리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랭지 마을, 강릉의 안반데기. 하늘을 가까이 보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으로 친구들과 찾아간 그 곳에서는, 눈으로 뒤덮인 초저녁이 고즈넉하게 흘러가고 있었다. ‘이런 곳에도 마을이? 자연이 이 곳을 쉽게 내어주지는 않았을 텐데.’ 화전민들이 일궈낸 밭들을 가로지르며 나의 걸음 속에 그들의 기억을 되짚어본다. 그들을 이 곳으로 불러낸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이 여기를 고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자연이 그들에게 이 곳을 허락한 이유는 그들이 여길 개척하고 말겠다는 간절함 때문이지 않았을까.
간절하면 이루어진다.
'마음을 다해 노력하면, 그 노력은 결국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잊었던 이 문장을 문득 떠올려본다. 나도 무언가에 진심으로 간절했던 적이 있었을까? 생각해 보면 나는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이 마음에 가득 차 있었다. 정해진 것이 없다는 불안 때문에, 나의 지금을 늘 무엇인가로 정하려고 했고, 그래서 마음은 늘 밀리고 흩어지기만 했다. 나 스스로 삶을 개척하기보다는 그저 이어간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던 날들이었다. 혹시 내 삶에 대한 간절함이 부족해서 삶에 대한 의문이 들었던 건 아닐까? 눈 덮인 안반데기 마을에 묻혀진 조용한 간절함은, 바람결처럼 내 마음을 어루만지고 갔다.
군산 – 새만금방조제 (2025.05.14)
성공은 늘 빛나는 어떤 순간처럼 이야기된다. 사회는 성공한 사람들의 발자취를 좇고, 누구나 그와 같은 자리에 서기를 꿈꾼다. 나 또한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를 더 채워야 한다는 마음과, 언젠가는 성공이라는 점에 다다르고 싶다는 바람을 품으며 살아왔다.
그러면서도 나는 점으로만 이해되는 ‘성공’보다, 그 점들을 이어가는 삶의 선에 더 마음이 끌렸다.
삶은 성공이라는 하나의 점으로 귀결되는 것이 아닌,
생명의 탄생과 소멸을 잇는 선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니까.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찰나의 순간들 역시 ‘삶’이라는 선을 채워주고 있으니까.
다만 나는 그러한 순간들이 결국 어떤 의미로 이어지는지에 대해서는 답을 내놓을 수 없었다. 나의 성공이 무엇인지를 아직 정하지 못해서 그런 걸까? 그러면 나는 스스로 어떤 성공을 바라는 거지? 삶에서의 진정한 성공은 과연 무엇일까? 이렇게 머릿속에서 이어가던 사유를 실제의 장면으로 확인하고자 찾아간 곳은 군산 새만금이었다.
새만금의 거대한 간척 현장은 겉보기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듯했지만, 고요한 바다 속에서 땅이 차곡차곡 쌓이고 있었다. 끝없이 이어지는 수평선 위로 번지는 바람과 잔잔히 흘러가는 물결을 바라보며, 나는 내 삶을 채우는 시간의 본질에 대해 곱씹었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고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가장 평등한 자원이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 속에 무엇을 담아내는가는 전적으로 우리의 몫이다.
바다를 바라보던 사유는 곧 내 삶으로 향했고 그동안의 시간들을 돌아보게 했다. 가족과 친구, 스쳐간 인연들, 그리고 이들과 함께한 일상의 조각들. 그 시간들은 이미 많은 것들로 내 삶을 채워놓고 있었다. 비록 그것들은 성공만큼 화려하진 않았지만, 묵묵히 내 삶을 지탱하며 토대를 다져주고 있었다. 마치 새만금의 바다가 고요히 메워져 새 땅을 틔우 듯, 내 삶의 빈틈들도 이미 수많은 순간으로 채워져 온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생각한다. 어쩌면 성공은 저 멀리 있는 하나의 종착지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살아내는 태도에 숨어 있음을.
스쳐가는 시간을 헛되이 흘려보내지 않고, 곁을 지켜준 사람들과 웃고 어울리며,
평범한 일상의 순간을 소중히 여길 때—우리는 이미 성공 속에 서 있는 것이 아닐까.
영주 (2025.08.09)
우리 삶이 소중하다면, 그 소중함은 어디에 간직할 수 있을까? 아마도 매일을 살아가는 도시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서로 다른 렌즈로 밖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하나의 도시에 모였다는 사실은 늘 신기할 따름이다. 그들이 자신의 도시에 묻은 삶의 결을 따라가다 보면, 삶과 도시와의 관계, 그리고 우리가 도시에서 살아가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 수 있지 않을까.
이번에 찾아가기로 한 곳은 영주. 우리나라에서 ‘총괄계획자 제도’를 처음 도입하여, 지금까지도 공공건축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도시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1)~(3)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1) 김지나, 도시 주도 공공건축물 계획의 ‘좋은 예’, 경북 영주, 2017.06.2,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026
(2) 오공환, 가까이 있어도 몰랐던 영주시 공공건축물 “전국이 주목하네”, 2019.03.20, 영주시민신문, https://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463
(3) 이희원, 도시건축디자인을 책임질 총괄계획가 간담회 영주에서 개최, 2025.06.26, 경북도민일보,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84801
이런 이야기들을 먼저 접하고 나서 현장을 걸어보면, 종이 위에서 보이지 않던 도시의 이야기가 길 위에서 비로소 펼쳐진다. 내 앞에 있는 길을 걸으며 왜 내가 이 길을 걷고 있는지, 그리고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그리고 그 답에서 공간의 힘을 되새겨 본다. 생각의 흔적을 남기며 걸어가는 길에 문득 이 문장을 떠올려 본다.
섬세한 건축의 언어가 도시의 부드러움을 만든다.
점점 높아지고 넓어지는 아파트의 세상에서, 공간은 그저 소비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영주에서 본 건축물 사이에 스며든 인간다움, 그들의 기억, 그리고 그들이 맺고 있는 관계가 그들의 삶을 타고 흘러간다. 그것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 흔적들이 만들어내는 감각을 느낄 수는 있다. 이러한 흔적들이 어우러져 만든 도시의 감각과 정서를, 평소에도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어렴풋이 든다.
그래서인지 내가 있는 이 곳에서 무엇을 남길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듯 하다.
나의 작은 흔적이 누군가에게 삶의 소중함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그리고 그 계기 속에서 또다른 이야기가 싹트기를 바란다.
김해천문대
가끔은 나 스스로에게 ‘광활한 우주에 비해 자그만 삶을 논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물어봤었다.
아무 답도 내진 못했지만.
양산 통도사 / 담양 죽녹원
그래서 아무 말 없이 묵묵히 자라는 자연이 참 멋지다고 생각했다.
자연의 섭리에 쌓여진 인간의 역사도,
그 역사를 품어 안은 도시도.
파주 임진각 / 전주 한옥마을
처음으로 돌아가, ‘삶이란 무엇일까? 왜 나에게 삶이 주어졌을까?’ 그리고 ‘나를 이해하지 않고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떠올린다. 나는 이 질문들에 답을 찾기 위해 스스로를 끊임없이 들여다보았고, 도시와 자연 속에 스며든 삶의 발자국을 따라가 보았다. 그러나 그 여정 속에서 깨달은 것은 삶이란 완벽히 알아낼 수도, 완전히 정의를 내릴 수도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저 나도 그들과 같이 삶의 발자국을 남기고, 그 자취 속에 다시 나를 담아냄으로써 삶은 저절로 채워지는 것이었다.
그렇기에 삶은 그저 삶이 아니라, 삶이라는 사실 자체가 실로 엄청난 것일지도 모른다.
타인을 온전히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도 이제 내려놓기로 했다. 자연의 섭리를 끝내 다 알 수 없듯, 타인에 대한 이해도 결국 완전하게 닿을 수 없는 과정일지 모른다.
이해하기 위해 이해하지 않는 것.
내가 알 수 없는 부분은 그대로 두되, 그럼에도 함께 나아가려는 열린 마음과 태도를 지니는 것. 도시의 서로 다른 길과 마을이 어우러져 하나의 풍경을 이루듯, 어쩌면 그것이야말로 타인을 대하는 가장 진실한 방식일지도 모른다.
22. AI 시대의 계획 - 엄현주
2025-04-27
(2025 대한국토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참가 소고)
바로 어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에서 개최한 춘계산학 학술대회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학회의 주제는 대전환기의 국토도시계획 제도 혁신 방향 이라는 주제로 향후 농촌공간계획의 역할과 쟁점, 토지주택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 앞으로 계획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습니다.
요즘 제게 상담하는 학생들의 관심사가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AI 시대의 국토계획 이라는 주제가 학술대회가 끝나고도 계속 여운이 남는 듯 해 생각 정리 겸 고찰을 간단히 남겨보고자 합니다.
AI 와 계획가의 역할
전통적인 도시계획가의 역할은 개인이 각자도생(各自圖生)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다루기 위해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의 위생이나 주거, 교통, 공공시설 등 수십km에 달하는 하수시설 설치 등은 개인 차원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과제였고, 이에 따라 시민사회정부와 같은 사회 전체를 위한 공간과 환경을 체계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하는 공적 활동을 수행할 필요에서 도시계획가와 같은 역할이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계획가는 공공을 대변하고 공동체의 공적 조치와 조정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전통적 도시계획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2025.04.26 강명구 교수님 정책세미나)
즉, 계획가(Planner)는 공동체의 공적 이익을 위한 미래를 설계(design)하고 조정(mediator)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actor)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까지의 계획 주체는 사람이었으나, 계획을 수행하는 주체는 사람이 될 수 있고 인공지능이 될 수 있다.)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 과학의 세부분야 중 하나로 자연지능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위키피디아, 2025.04.27)
우리 분야에서 AI와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는 사항 중 하나는, 'AI가 계획가(planner)의 역할을 대체할 것인가', 그렇다면 'AI의 역할과 계획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AI시대에 계획가의 역할은 남아있는가' 이다. 물론 계획업이 AI로 대체되는 상황은 아직은 먼 미래 (2-30년 또는 그 이후의 일) 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AI가 이미 우리의 일상에 침투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으며, 앞으로 AI에 대한 의존과 영향력, 활용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계획가 역할의 보조(assistance) vs 대체(replacement)
AI 시대 도시계획가의 역할과 관련된 세미나나 발표 주제를 접하면서 내가 느끼는 점은, 아직까지 많은 계획가들이 인공지능을 계획가의 역할을 보조하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사람을 위한 도시의 비전을 설정하고 가치 판단을 내리는 일은 계획가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
반면 기술의 발전과 AI시대의 변화가 더욱 빠르게 도시계획가의 역할을 변화시킬것으로 생각하는 계획가들은, 인공지능의 역할이 데이터 분석이나 시뮬레이션을 넘어 AI 가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나아가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단계에 이를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도시계획가는 공동체를 위한 비전을 가지고 직접 계획을 수립하기 보다는, AI 가 제시한 다양한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용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 (결정자)로 이동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계획가는 주체적 설계자에서 AI를 활용해 최적계획안을 선택하는 판단자 또는 조정자의 역할로 변모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토요일 기조강연을 해주신 최병선 교수님께서는 이와 관련하여,
국토도시계획은 본질적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는 행위이므로, 국토와 국민이 존재하는 한 계획가의 역할의 존속은 불가피하며,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급변하는 기술환경 속에서도 공공의 이익을 위한 역할과 미래를 설계하고 계획하는 역할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하셨다. 계획가의 역할 존속
동시에, 향후 계획가의 역할은 지금과는 상당히 달라질 것으로 제시하셨는데, 그 중 가장 인상 깊고 공감이 갔던 부분은: 1) 토지이용 분류 및 규제 방식에서 가상공간의 관리가 포함되는 근본적 변화가 예상되며 종래의 물리적 토지에 기반한 용도지역의 구분과 규제 내용은 혁신이 불가피 할 것, 그리고 2) 계획 기법과 수단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며, 계획가는 인공지능 전문가로서의 역할로 대체될 것이라는 점이다. 즉, 계획가는 AI 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전문성을 기반으로 계획을 관리하는 역할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제시하셨다.
즉, 계획가의 역할은 시대가 변화하더라도 존속가능할 것이나, 계획가의 역할은 도시를 변화시키는 주체에서 AI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역할로 변화할 수 있다.
최근 AI 활용 연구
최근 AI 활용 도시계획분야 연구를들 살펴보면, 도시분야에서 연구의 필요성이나 문제해결의 필요성 보다는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데이터분석학회에서 볼수 있을 법한, 데이터와 tool을 활용하고자 수행한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생각과도 비슷하다.
특히 최근 연구들 중 LLM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으로 도시계획가의 역할을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이 보인다. (물론, 해당 연구들의 목적은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기 보다는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이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들이다)
특히, LLM과 객체 인식 (object detection) 기술을 결합하여 사진이나 영상 자료를 통해 가로환경이나 도시 안전성을 인지하고 평가하는 연구들은, 단순히 AI가 물체를 인식하는 수준을 넘어, 상황을 해석하고 안전성, 쾌적함, 아름다움 등 의미를 부여하여 실제 사람의 평가와 AI 의 평가를 대조함으로써 AI의 해석이 어느정도 인간의 판단과 일치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AI 또는 LLM기반 평가의 신뢰성과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며, 향후 도시 환경 모니터링 또는 보행 안전성 진단 분야에서 인간의 주관적 평가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는 과연 계획가의 역할을 보조하는 도구로 봐야할까, 아니면 대체가능 도구로 봐야할까? 현재로서는 이러한 AI 기능을 계획 업무를 지원하고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는 계획가, 즉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AI가 가로환경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주관적 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은, 계획가가 수행할수있다고 믿어왔던 '판단'과 '평가'의 역할을 AI가 대신 수행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은가? 어느 수준의 평가와 판단이 AI 와 계획가의 역할로 구분될 수 있을까?
우스갯소리로, 싸우지 않는 노부부의 비결을 설명하는 이야기가 있다. 부인이 집안의 대소사 중 '작은' 결정을 맡고, 남편이 '중요하고 큰' 결정을 내리기로 했는데, 지난 30년 동안 '크고 중요한' 결정을 내릴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부인이 모든 결정을 맡아왔고, 노부부가 평화롭게 지낼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계획가와 AI에 비유해 본다면, 우리는 AI 에게 계획 업무 중 '작은' 판단이나 반복적이고 효율성이 요구되는 역할을 맡기고, 계획가는 '중요하고 큰' 판단을 하는 역할으로 구분한다면, 과연 도시계획에서 '중요하고 큰' 판단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자주 필요할것인가? 실제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결정들은 결국 '작은' 계획요소의 집합이 아닌가? 그렇다면, 노부부의 이야기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AI 가 작은 결정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계획가의 역할 영역이 점점 좁아지고, 결국 앞서 우려했던 것처럼 AI 가 계획 업무의 상당 부분을 실질적으로 대체하는 순간이 찾아오게 되는것은 아닐까? 처음에는 보조의 도구로서 사용되었던 AI가,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로 변모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대한 의존, 또는 활용 의지는 AI 와 계획가의 역할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결국 AI는 계획가의 업무를 지원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요 결정을 실질적으로 대체하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이 흐름 속에서 계획가는 AI 관리자의 역할 보다는, 기술을 넘어서는 인간적 판단과 사회적 비전을 설계하는 책임자로서 역할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현재 중요하게 여기기는 데이터 분석은 결국 AI 를 따라잡을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 가 할 수 없는 영역은 인문적 감수성이나 사회학적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AI 가 이를 갖췄다고 해도, 학습에 의한 결과로 모방 또는 사회적 요소를 고려한 최적 판단이며, 사회의 복잡한 맥락을 읽고, 가치 판단을 내리고, 복잡한 윤리적 딜레마 속에서 인간다운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계획가의 역할은 더 복잡하고 정교한 데이터의 분석을 넘어, 인문사회적 통찰을 바탕으로 무엇을 위해 계획하는가, 어떤 사회를 지향하는가를 고민하고 이끌어가는 데 더욱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교육을 해야하는가
이같은 관점은 학생들을 지도하고 가르치는 교육자로서의 고민과도 깊이 연결된다. 교육자로서 학생들에게 기술, 방법론을 넘어서는 인간적 통찰력과 사회적 책임감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금요일 학회에서 진행된 교육 관련 세미나에서 수업 과제 수행 시 학생들의 AI 사용을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는데, 대다수의 교수님들은, 어차피 학생들이 실무에서 일을 하게 되면 AI를 활용하게 될것이므로, 대학 교육에서도 AI의 활용을 막기보다는 오히려 이를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동시에, 도시계획이라는 분야의 특성상, 직접 보고, 걸어보고, 체험해 봐야만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이나 공간감, 현장 경험과 같은 요소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물론 이같은 데이터 분석력이나 활용 능력은 중요할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계획가로서의 진정한 역할 (어디에 도로를 설치하고, 어디에 주택을 공급할 것인가와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것 이상으로), 사회적 사명감, 그리고 인간다움과 공동체다움을 가르치는 인문학적 접근이 중요해질것으로 판단된다.
흔히 신도시가 재미없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신도시는 분명 편리하고 쾌적하고 잘 정비되어 있지만, 사람 냄새가 나지 않고, 일률적이고 획일적이라고 말한다. 이는 곧, 효율성, 편리성,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적 접근이 인간적 감성이나 우연성, 다양성과 같은 요소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사람을 위한 도시는 기능적 완성도를 넘어, 사람들의 삶의 흔적과 감정, 상호작용이 스며든 공간이어야 한다. 사람이 살고싶은, 사람다운, 사람 냄새나는 도시는 결국 사람만이 만들어낼 수 있다.
기술에 대한 방어(defense), 경계(caution) vs 수용(acceptance)
동시에, 계획가의 역할은 기술의 발전을 경계하고 우리의 역할을 AI의 것과 구분하는 것 외에, 계획가의 계획 방식 역시 발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올해 2학년 토지이용계획 과목을 가르치면서, 가끔씩 이런 생각이 올라온다.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우리는 여전히 100여년 전에 시작된 용도지역제(Zoning를, 그리고 70년 전부터 사용해온 교통계획 4단계 모델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 이제는 더 발전된 계획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 (물론, 전통적 계획 방식과 그에 대한 교육이 불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기초적 이론과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도시계획의 계획 기법과 교육 내용이 오랫동안 큰 변화 없이 이어져 왔다고 생각한다.)
도시계획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이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고민했을 것이다. 도시와 사회가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 도시계획 이 발전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은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고민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나 역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이나 뾰족한 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점차적으로 기술 발전을 반영해 나간다면, AI 시대에 발맞춰, 계획가로서의 역량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계획방안을 도모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생각을 정리할 겸 국토학회에 다녀온 소회를 간단히 적어보려 했지만, 사실 어떤 결론을 염두에 두고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글을 써내려가다 보니 계획가의 인문사회적 역할, AI의 역할의 확장, 사람만이 수행할 수 있는 계획 영역, 그리고 도시계획 교육에 대한 고민까지 생각이 이어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도시계획 분야의 가치와 방향성, 계획가로서의 역할에 더 깊이 고민하고, 도시계획 분야 발전에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는 연구자이자 교육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21.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개념 적용 속 과도기 및 딜레마 - 19조호선
2025-03-15
지속가능한 도시개발(Sustainable Urban Development)의 개념 적용 속 과도기 및 딜레마
-지속가능의 공식적인 정의는 1987년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미래세대가 자신들의 욕구 및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경감시키지 않으면서 현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발”
-1990년대 계획가들의 주된 고민은 지속가능의 개념을 일상적인 도시적 맥락에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규명하는 일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계획가 뉴만(Peter Newman), 켄워시(Jeffery Kenworthy)는 국가 별 에너지 소비의 차이를 지적하며, 고밀도 및 압축개발을 지속가능한 도시의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직주락의 연계, 장방형 클러스터, TOD)
-이 과정에서 몇몇의 계획가들이 도시 모델을 제안했고, 도시 개발 마스터플랜인 스톡홀름 종합계획(1952)에 마르켈리우스(Sven Markelius), 지덴블라트(Goran Sidenbladh)에 의해 처방책도 제시되었지만, 이는 기존 1898년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사회도시와 뚜렷한 차별점을 드러내지는 못했다.
-즉, 문제점을 타파할 수 있는 개발을 찾지 못해, 일부 과도기가 있었으며 토지이용정책만으로는 도시 관리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네덜란드 4차 국토계획(1991), 영국 계획정책지침(1993), 리우협약(1991) 등 1990년 초기에는 자가승용차(이동)에 대한 억제를 수행하기 위해 토지이용정책 + 직접적인 비용부담정책을 결합하여 수행하였다.
-1990년대 중반, 가장 큰 문제는 신규가구수의 증가이며, 인구의 증가가 아닌 기존 가구의 분할 (1인가구)이다.
-이것의 가장 큰 문제는, 개발지에 정주를 위한 부지공간의 부족으로, 초과되는 가구를 도시 내 고밀에 입주시키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녹지지역에 고밀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1990년대의 영국의 상황 및 개선운동
-1999년 6월 영국 도시업무추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의 영국은 다음과 같은 2가지의 문제가 존재했다.
-북부는, 탈산업화로 인한 도시 외곽의 산업지역 쇠퇴와 경제적 쇠퇴가 결합되면서, 도시 외곽은 교육, 범죄, 사회, 모든 측면에서 몰락하게 되었다. 이에 반해, 도시 중심부는 경제의 중심지로 자리잡는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남부의 경우는, 런던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이었고, 주택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하게 부족하였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영국 환경부 장관 구머(Johm Gummer, 1993~1996) 도시를 설계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도시의 마케팅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경기 침체로 인해 고전했던 건축가, 대형 사업을 통해 재활성화시키려는 의도와 맞아들어, 도심에 가까운 개발지에 재개발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기존 1960~1970 년대 주를 이루던 성장지향 전략과는 대비되었다.
-특징 중에 하나는, 이러한 개발방식을 진행할 때, 기존 도시미화운동과 같은 도시환경개선, 공공공간의 확대 등이 강조되었다. 일부 일반 거주민들의 직주 공간까지 희생되며 도시 외양을 강조하였고, 관련 빈민층의 사회적인 문제들은 소외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계획이득과 사회적 형평
-1926년 미국의 유클리드 대 앰블러 소송(Euclid versus Ambler)는 정부가 공공복지를 위해 사적인 부동산 개발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인정한 기념적인 소송이다. 이로 인해, 용도지역제(zoning)의 법적 정당성이 확립되었고, 이는 현대 용도지역제의 시작점이 되었다.
-영국 또한 계획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던 시기였고, 개발과 관련한 계획이득(개발로 인한 토지소유자에게 발생하는 이익), 영향부담금 등과 관련된 정책들이 시행되었다. 영국은 미국보다 엄격하게, 1947년 토지개발권을 국유화 하였고, 개발이익은 공동체에 귀속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는 시장기능의 정지를 불러왔고, 이후 개발이익 일부 환수, 이후 개발 허가 등으로 정책이 지속적으로 변경되었다.
현재의 도시
-현재 도시를 둘러싼 문제들은 근대도시계획의 초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경제의 진보로 인해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보장하지만, 계층 양극화, 환경과 관련한 님비 현상들은 여전히 반복되는 도시의 문제들이며 고민해야할 문제이다.
※ 참고문헌
Hall, P. (2016). 내일의 도시: 20세기 도시계획 지성사 (개정판). (임창호 & 안건혁, Trans.). 한울아카데미.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pp. 507–522).
20. 스마트시티와 지역활성화 - 19조호선
2024-06-21
도시 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한 사람으로서, 지역성은 도시 설계와 계획에서 핵심적인 개념이다. 지역의 도시계획이나 개발에 대한 고려사항을 논할 때, 혹은 제언을 말할 때, ‘지역성을 저해하지 않도록’이라는 문구는 매번 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이 ‘지역성’이라는 개념을 다뤄보고자 하고, 특히 스마트시티는 지역성에 대해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지역성과 도시재생
지역은 특정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적인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지역성은 그 공간 영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이 다른 공간 영역(지역)과 구별되어 나타나는 고유한 특성을 지역성이라 한다. 지역성은 해당 지역의 경제 활성화, 공동체 강화라는 도시의 자족성 측면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성을 기반한 도시재생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도시재생은 기존의 무분별한 도시 확장에 의해 도시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원도심이 쇠퇴하며, 침상 도시로 전락하거나, 도시의 기능과 자족성을 잃은 공간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개선 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사례로는 인천의 원도심인 중구 개항로, 대구 달성 문양 등을 들 수 있다. 두 사례 모두, 로컬 특성을 기반으로 사업을 진행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거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능을 잃은 공간에 다시 한번 새로운 역할을 불어넣어, 시대에 맞게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프로젝트가 지역성을 기반한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2) 지역성과 스마트시티
지역성을 가진 도시, 특색 있는 도시를 생각할 때, 흔히 문화도시와 역사 도시들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된다. 북촌, 전주의 한옥마을, 경주 등은 가장 보편적으로 떠올리는 역사문화도시일 것이다. 그 이유는, 그 지역을 방문했을 때만 체험하거나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이 있고, 이것이 매력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서 더 이상 물리적으로 지역을 방문하지 않고도 경험을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디지털 트윈, VR 가상환경, 메타버스 등과 같은 기술을 통하여 생생하게 사회 문화적 활동 체험하고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항시 접근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성과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기술이 지역의 경쟁력과 지역성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을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특히 현재 구축되고 있는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기술적인 부분의 활용도 강조되기에 스마트시티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지역성 요소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본 글에서 확인해보고자 한다.
3) 스마트시티란?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진단,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도시를 말한다. 이런 스마트 시티에서 추구하는 큰 틀은 굉장히 폭이 넓고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지속가능성, 글로벌 이니셔티브(협력, 강화)를 스마트시티에서 강조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기존 방식의 무분별한 도시계획과 개발은 다양한 도시의 부작용의 결과들을 발생시켰고, 특히 에너지,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시티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것들을 걷어내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해서 도시를 개선 시키자는 것, 친환경적인 에너지와 자원으로 대체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자는 것을 목표로 둔다. 그래서, 자칫하면 스마트시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전반적인 좋은 도시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는 분명하게 추구하는 3가지의 핵심영역(기술&인프라, 데이터&서비스, 시민)이 존재한다.
<기술&인프라> 스마트시티는 ICT & IOT 같은 정보통신기술 활용에 근간을 둔다. 도시 분야에서는 대표적으로 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한 워터 솔루션, 가상 발전소를 기반으로 하는 소규모 에너지 발전이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는 기존 방식의 대규모 정수 및 하수처리의 비효율적인 물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기존의 방식은 댐과 하천의 공급원을 기반으로 지역 외곽의 대규모 처리장을 건설하여 지역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물 수요의 분석이 어렵고, 누수나 오염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어려우며, 관리 또한 단점이 있다. 이를 배경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는 센서를 통한 ICT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물 사용량을 측정하고, 수질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포착하고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에 시사점이 있다. 인프라 역시 기존의 외곽에서 도심으로 공급하는 형식이 아닌, 분산형 수직 정수처리 공급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 내 소비자 인근에 정수장을 소규모로 분산 배치하여 원하는 품질의 수돗물을 빠르게 공급하는 인프라를 갖춘다. 가상발전소 역시 같은 맥락으로, 정보통신기술(ICT)를 이용해 전국 각지에 분산된 에너지 자원을 마치 하나처럼 관리하는 개념이며,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전략적으로 재편성하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역시, 기존의 중앙공급식 전력망의 한 곳에서 생산한 전력을 모든 소비처에 단방향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이처럼 스마트시티는 기술적 측면에서 ICT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다는 것과 인프라 측면에서 대규모 중앙공급식에서 분산형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특징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시사점이 있다.
<데이터&서비스> 스마트시티는 기술의 대중화에도 초점을 둔다. 시민들이 스마트시티의 기술적인 기능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비스 구축에도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모빌리티 서비스 (Moblity As A Service)를 예시로 들 수 있다. 기존의 개별적 교통 수단을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로 재구성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며, 이처럼 스마트시티에선 기술과 서비스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플랫폼 등의 개발 또한 중점을 두고 있다.
<시민> 마지막으로, 스마트시티는 결정 과정에 대한 방식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다. 전통적인 공공 위주의 Top down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시민이 주도하는 문제해결 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규제 샌드박스, 특례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에 실증하지 못한 사업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실현을 노력하고 있다.
4) 스마트시티 지역 활성화
이 같은 3가지의 핵심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반영한다면, 지역의 활성화와 경쟁력을 구축하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이고, 이것은 지역에서 제공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색있는 사업으로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경쟁력을 상실한 쇠퇴한 도시의 경우 경관 관리가 소홀하거나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는 시민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떨어뜨리며, 불량 지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소이다. 이러한 쇠퇴의 시작은 유휴공간의 방치, 편의시설의 미흡한 관리와 같이 작은 부분으로 시작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스마트 도시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공간이나 시설에 대한 관리,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래는 기술을 공간이나 시설에 접목시킨 예시이다.
기존의 도시재생 방식이 부족한 시설(ex. 주차장)에 대한 정비와 확충을 통한 문제해결이 주 방식이었다면, 스마트 도시재생은 기존 시설의 스마트화를 통해 체계를 구성하고 서비스화하여 효율을 높이는 관리에 집중을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에 적용가능한 사업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지역화폐 운영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블록체인 지역화폐의 경우, 기존 종이 지역화폐의 단점(투명성, 거래 흐름, 추적불가, 소지의 불편, 생산비)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도 스마트시티는 사업 과정에서 주민의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대상지 주민의 수요와 상황에 맞게 도시재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예시로, 지역에서 방치된 맹지나 공간을 스마트팜과 같은 도시농업 사업을 통해 주민과의 공동사업을 구상할 수도 있다. 특히, 기존의 도시재생 사업의 경우, 사업 당시에는 활성화가 이루어지지만, 이후에는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워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은데, 앞에서 언급된 사업은 원격 관리, 통제가 가능하여 기반이 구축되면 유지와 관리가 지속적으로 가능하다는 성과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도시재생은 지역공동체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관리와, 특색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여 확장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5) 결론
앞에서 언급한 예시들을 통해서 스마트기술을 통한 지역활성화는 지역 특색에 맞게 사업을 운영하여 유연하게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관리와 운영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주민의 의견을 기반으로 하는 결정 방식은 지역의 개선사항을 동참한다는 점에서 공동체를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글 초반에 언급한 지역성과 관련해서,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 서비스 개선이라는 부분이 이용자들에게 해당 지역에 대한 더 큰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지역 특색을 살린 스마트 사업은 새로운 수요와 부가 가치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도시 분야에서 지역성이라는 개념도 이에 맞게 유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기존의 지역성은 주로 지리적 공간에 기반하기 때문에, 이 지역성을 강조하는 요소 또한 주로 기하학적 요소(건축물, 대상지)에 국한한다. 그러나,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요소가 단순히 존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를 플랫폼과의 연계, 서비스 제공 등 활용에도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맞게 지역성을 고려할 때, 물리적 특성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폭 넓은 관점으로 유연하게 접근하여 지역 특성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참고문헌
이범현, 남성우, 김영현. (2018). 주민 요구와 도시 재생을 고려한 스마트 도시시설의 정비 방안.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9(5), 51-68, 10.38195/judik.2018.10.19.5.51
황영순, 오동하. (2018). 지역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의 접목. BDI 정책포커스,(334), 1-12.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제157호 『내일의 도시: 또 한번의 진화를 앞둔 스마트시티』
19. 도시계획과 인공지능, 공존할 수 있을까? [1] - 20이종현
2024-05-26
최근 OpenAI의 ChatGPT-4o, 구글의 Project Astra, MS의 AI PC 등 AI를 활용한 서비스 제품들이 잇따라 공개되면서,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하고 있다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래 AI는 정보의 단순 처리, 수학적 계산 등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을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됐지만, 지금은 각종 방대한 양의 작업을 자동화하고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등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활약을 이미 펼치고 있다. 인간은 물론 기존의 수학 모델마저 표현할 수 없었던 높은 수준의 복잡성을 이제는 AI가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김태현, 2018). 과거에는 AI를 단순한 계산 도구로 생각했지만, 이제는 AI가 없으면 못사는 시대. 이토록 AI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수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로 '빅데이터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인간이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양과 질을 모두 갖춘 정보가 필요했고, 이러한 이유로 3차산업혁명은 정보의 처리, 접근, 공유 등과 같은 정보화를 중심으로 이뤄지게 된다. 그러나 인간이 이러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 관리, 분석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정보화가 촉진되면서 자동화의 필요성이 새롭게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축적하는 IoT 기술이 등장했고, 이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여 유용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빅데이터 기술도 같이 주목받게 된다. 또한 IoT를 통해 생성된 대용량 데이터들은 AI를 학습시키는 소스로도 적합했기에, AI 기술과 빅데이터 기술은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맺은 채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이 발전을 계기로 산업,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1) 기업들은 AI를 통해 고객의 선호도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되었고, 교통상황도 AI를 통해 이동자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교통혼잡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학 분야에서도 스마트시티 정책 덕분에 빅데이터 활용 정도가 높아지면서 AI의 활용 비중을 늘리고 있다. 예를 들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CCTV, 자율주행 등 사물을 분류하고 감지하는 기술로 활용하고 있고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은 경관, 설계 등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로 활용하고 있다(구름, 2021). 이처럼 모니터링, 현상 진단 및 분석, 예측 등의 기술에서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추세지만, 도시계획 실무 과정 전반에서 AI를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제민희 외, 2024). AI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동감하지만 '도시계획가가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AI가 도시계획가에게 어떤 변화를 불러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의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유독 도시계획 분야에서 AI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느린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글에서 저자는 위 물음에 대한 답을 찾음으로써 도시계획과 AI의 공존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50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답을 찾는 과정을 기술한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논문을 투고하였다. 이 논문을 시작으로 기계의 지능을 이해하려는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인공지능'이란 개념이 제안되면서 인공지능은 별도의 연구 분야로 분리된다. 1957년에는 단층 퍼셉트론이라는 인공신경망이 최초로 제안되었고 추후에 등장한 역전파 알고리즘과 결합함으로써, 뛰어난 학습 능력을 원동력으로 데이터마이닝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했다(구름, 2021). 2006년,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제프린 힌튼은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 논문에서 인공신경망의 고전적 문제였던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심층 신뢰 신경망(DBN)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이 시점부터 딥러닝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CNN 모델 Alexnet이 ILSVRC(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에서 15.4%의 오차율을 보여 우승을 차지하였고, 2016년에는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4승 1패를 하여 AI의 위력을 입증했다.
AI 기술은 계속해서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으나 AI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알파고 덕이라고 볼 수 있다. 알파고에서 비롯된 AI의 돌풍은 자율주행, 자연어 처리,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AI는 신약 개발, 역학 조사, 감염 경로 예측, 의료 운영, 챗봇 서비스 등 도시 보건 및 재난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여기에 4차산업혁명을 추구하는 스마트시티 정책의 기조가 더해지면서 지금의 AI는 도시 속에서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활용 가능성과는 별개로 고려해야 할 2가지 사항이 있다.
(1) 공공성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1조에서 '이 법은 국토의 이용ㆍ개발과 보전을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집행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공공복리는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일컬으며 기회의 평등과 상호보완적인 개념이다. 기회의 평등은 모든 개인이 공공복리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공공복리의 증진은 기회의 평등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한다. 그러나 현존하고 있는 구조적 분리와 불평등, 더 나아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도시 문제들의 실태는 공공복리의 실현이 매우 어려움을 시사한다.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은 개개의 이익이 조화로울 때 발생하는 것인데, 개개의 이익이란 것 자체가 이러한 조화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AI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가 될 수 있을까? 키오스크는 조작 및 관리의 편리성 덕분에 전국 매장에 상용화됐지만 장애인과 고령층 중에서는 키오스크 조작을 어려워하는 사례들이 많았다. ChatGPT 덕분에 일반인들의 전문지식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고 할 수도 있지만 ChatGPT를 사용할 수 없는 여건에 처한 정보소외계층과의 정보 격차는 심화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와 ChatGPT 사례로 알 수 있는 것은 서비스의 이용 대상이 모든 구성원이라 하더라도 구성원 사이의 격차가 해소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며, 더 나아가 기술이 고도화되는 시점에서도 각자가 처한 환경이 다른 상황에서 기회를 받기 어렵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AI의 경우, AI에 접근할 기회는 모두에게 주어질 수 있어도 모델에 대한 지식 등의 요인으로 인해 AI에 대한 접근성은 각자 다를 수 있다. 이는 기회가 모두에게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항상 기회의 평등, 혹은 공공복리의 증진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도시계획은 효율성, 경제성뿐만 아니라 공공성,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추구하는 학문이다. 그렇기에 도시계획 관련 업무에서든, 혹은 정책에서든 AI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신중할 수밖에 없다.
(2) 의사결정
공공복리의 실현을 위해서는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의사결정이 필수적이지만, 다양한 변수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상황에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렇기에 데이터 기반의 AI를 이용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면 AI를 통해 도시 인구의 증감을 예측함으로써 현실성과 탄력성을 모두 갖춘 도시 인프라 관련 정책들을 마련할 수 있고, 정책 선정 과정에서도 AI를 활용해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AI가 우리에게 정말로 '합리적인' 결정을 하도록 도와주는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 아래 질문들을 살펴보자.
Q1. AI 트레이닝 데이터가 편향적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AI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을까?
AI를 트레이닝하는 과정에서 특정 참여자의 입장만을 고려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특정 주제, 혹은 특정 시기만을 고려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러면, AI는 당연히 의사결정 과정에서 공정성,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은 계속해서 다양한 참여자가 등장하고 주제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계속해서 변화한다. 즉 편향된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의사결정의 유동적인 특성으로 인해서 편향성이 저절로 생길 수 있다.
Q2. 인간은 그동안 합리적인 결정을 해왔는가?
인간은 본질적으로, 감정적으로, 또한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따라 편향된 존재이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비합리적인 요소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전쟁, 경제 대공황과 같이 인간도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다수 있었다. AI의 도입 목적은 이러한 비합리성을 해소하는 데 있지만 위 내용은 AI 자체가 비합리성을 내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트롤리 딜레마와 같이 윤리성이 개입된 의사결정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도 AI를 도입하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 중 하나이다.
완벽한 인간은 없다. 완벽한 계획도 없다. 그렇기에 도시계획 분야에서 AI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느린 것이 최선의 선택일지도 모른다. 다만 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상황에서 언젠가는 그 선택을 바꿔야 할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다. 그렇다면 도시계획가는 AI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할 수 있을까? AI를 잘 활용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AI도 도시계획가가 될 수 있을까? 다음 편에서는 도시계획가와 AI 사이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도시계획과 AI의 공존에 대한 고찰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 참고문헌
구름. (2021). 빅데이터가 혁신하는 도시계획. 도시정보,(475), pp.9-13.
김태현. (2018). 도시공간 변화진단을 위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활용 방안. 국토, pp.15-23.
제민희, 정승현. (2024).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관한 도시계획 분야 직종 간 인식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5(1), pp.469-477.
18. 청년들 수도권으로의 이동 - 20정은은
2024-04-11
왜 수도권으로 몰릴까? 인구분포는 결국 산업에 달려 있다. 산업구조가 농업, 제조업, 지식서비스업으로 이행하면서 필요한 입지규모가 감소한다. 반면 필요한 인재의 학력 수준은 높아간다. 또 인구가 밀집할수록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한 수요는 더 커진다. 제조업은 항구, 도로 등 인프라만 있으면 땅값이 싼 지방에 입지를 틀 수 있다. 그러나 지식서비스 산업은 임대료가 비싸도 고급인재가 있는 수도권으로 향한다. 그래서 제조업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지식서비스업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배치되게 된다.
자연 증감률과 출생률을 제외하고 지방소멸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핵심적인 우려사항은 지역의 청년층 순유출이다. 청년들은 더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수도권 일자리를 원한다. 청년들 자신의 삶을 조금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임금이나 직무적인 부분, 문화 · 예술 분야 등 수도권이 성장하기 좋은 곳임은 틀림없다. 그에 반해 비수도권 기업들은 인력난을 호소한다. 지방의 청년일자리를 지탱하던 중요한 축은 제조업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마저 주력업종의 경기가 악화되면서 신규 채용이 급격히 감소한 상태다. 자동화 기술의 심화와 해외 생산기지 이전 같은 산업환경의 변화로 지역제조업의 고용 기반은 앞으로도 낙관적인 전망이 어려운 상황이다.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는 남성 청년의 경우보다 훨씬 열악해서, 장기적인 경력발전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지방에 남아 있기 어려운 형편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산업분화는 수도권 쏠림의 근본 원인이다.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기반 산업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고 나날이 경쟁이 심화되는 제조업은 지방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조업 인력난과 지방 소멸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많은 재원이 투입됐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청년층이 지역에서 빠져나가기만 하고 들어오지 않는다면, 현재의 인구감소 충격 뿐 아니라 인구재생산을 통한 미래의 인구감소 충격까지 발생한다. 이로 인한 투자와 고용의 감소는 지역의 경제활력을 약화시키고 추가적 인구유출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일자리 기회와 교육·문화적 혜택이 집중된 까닭에 지역 정주를 원하던 청년들까지 정든 고향을 등지고 있다. 청년층 유출을 저지하기 위한 지역 공동체의 노력이 필수적이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목표 하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제 청년이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실효적인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방향은 지방에서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잠깐하고 사라지는 정책이 아니라 기업이 지방에 지속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평가하고 환류하는 방향으로 정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방 지역 내에서 일정 부분 취업 수요가 해결될 수 있도록 취업 유발 효과가 큰 서비스 기업 등을 중점적으로 길러내야 한다.
※ 참고문헌
강동우. (2023). 일자리 분포의 지역격차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노동리뷰,, 7-22.
원광희, 채성주, 설영훈, 남윤영. (2019). 수도권 집중의 심화, 이대로 괜찮은가?. 충북 FOCUS,, 1-35.
손동글, 허재완. (2018).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수도권 인구집중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3(3), 5-18, 10.17208/jkpa.2018.06.53.3.5
이진희, 이만형. (2019).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레버리지 탐색 : 지역의 기능 집중·분산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2), 502-512.
17.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권 광역철도 : 해외 사례 - 21이다빈
2024-04-02
본 글은 우리나라의 현 광역철도교통망과 앞으로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철도교통망 구상에 대해 다뤘던 지난 글을 보강하는 내용이다. 철도교통망 측면에서 지역균형발전이 이루어진 해외사례를 소개하며 우리나라가 앞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철도교통망을 구축할 때에 있어 고려할 사항에 대해 다뤄보겠다.
ⅰ) 독일의 광역철도망
독일은 총면적 357,592km²로 우리나라보다 3.5배 정도 넓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2021년 기준 고속특급열차인 ICE 철도 노선이 전 지역에 완비되어 있다. 이 외에도 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있어 독일 국내 및 유럽을 연결하는 특급열차인 이체(IC)와 에체(EC)가 있다. 또 지방과 중소도시를 연결하는 데추크(D-Zug)와 에추크(E-Zug), 일정한 지역 안을 빠른 속도로 연결하는 이에르(IR)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장하는 교외선인 에르에(RE), 도시 외곽이나 근교를 연결하는 에스반(S-Bahn), 우반(U-bahn)등이 있다.
이는 운행하는 지역과 거리를 바탕으로 속도와 객차 시설을 등급화해 철도 시스템을 배치한 독일철도망만의 특성을 보여주며, 특정 도시에 치중되지 않고 대도시𐤟 중소도시 모두 균등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1년도 노선을 보면 남북으로 이어진 우리나라의 고속철도노선이 떠올려진다. 현재의 독일은 남북뿐만 아니라 동서가 연결되어진 노선도 골고루 보인다. 우리나라도 수도권과의 연결을 위한 남북노선에 그치지 않고, 동서노선도 구축되어야 비로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철도망의 기초적인 지반이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독일의 철도망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1991년 함부르크에서 프랑크푸르트와 뮌헨으로 가는 327km의 하노버-뷔르츠부르크 노선과 99km의 만하임-슈투르가르트노선이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개통되고 난 이후 고속철도망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고, 개통된 선로 구간들이 점차 철로 수명뿐만 아니라 철도 교통량 증가로 인해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이 많은 구간들은 늘어나는 철도교통 수요에 대처하고 고성능의 네트워크가 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개조할 예정이라 한다.
이 사업에 맞춰 Deutsche Bahn(독일철도회사)은 개조기간동안 고객이 철도 시스템을 계속 이용하고 자가용 차량으로 전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훨씬 더 높은 품질의 새로운 철도 대체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공사 기간에 관련된 모든 역에 대체버스가 배차되었으며,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83점으로 좋은 반응을 얻으며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에 보다 더 나은 철도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서 현재의 인프라를 멈추지 않고 개선방안을 찾아 시행하는 부분을 높게 평가하는 바이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시행할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에 있어 기존의 철도 시스템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을 시 철도 대체 서비스 도입을 필수 항목으로 제안한다.
ⅱ)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전철 노선(purple line)
본 사례는 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균형발전은 아니지만, 지역 내 균형발전에 있어 좋은 사례라고 생각하여 기재한다. 워싱턴 D.C.는 미국의 수도로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한 D.C. 대도시 지역은 미국 전역에서 다섯 번째로 큰 대도시 지역이며, 백악관, 행정부등이 위치해있는 정치, 행정, 외교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워싱턴 D.C가 가지는 상징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워싱턴 D.C.의 교외지역은 서로 지하철로 연결되지 않아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상황이다.(신보미.2023)
따라 메릴랜드의 교외지역인 베데스다부터 뉴캐롤톤까지 연결하는 경전철 라인(purple line)을 건설 중에 있다.
퍼플라인의 경우 건설에 대한 찬반논쟁으로 8년이나 추진이 중단되었는데, 찬성론자의 경우 자동차가 없는 저소득층에게 교통서비스를 제공해주며, 인근 지역의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주장하였고 반대론자들은 전국 대중교통 이용률이 감소하고 있으며, 오히려 혼잡을 악화시키고 경제발전에도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베데스다와 뉴캐롤톤의 지역의 소득 및 인종을 비교해보면 반대론자들이 건설을 반대한 진짜 이유를 알 수 있다. 서쪽 끝 지역인 베데스다는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은 지역으로, 뉴캐롤톤에 비해 중위소득이 2.5배 이상이며, 백인의 비율도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는 여러 가지 반대 논리를 내세웠지만 근복적인 이유는 양 지역의 소득 및 인종 격차의 차이로 지역 간 연결을 탐닥치 않게 생각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이 진행 중에 있다. 이번 사례를 통해 ‘도시사회지리학’ 수업시간에 자주 언급되는 인종간 분리 문제가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TOD) 시에도 심화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TOD시 인종 간, 지역간 형평성을 중요한 가치로 둬야함을 깨달았다.
※ 참고문헌
정지원. (2024). 독일의 철도운송 활성화 동향. 월간 교통 vol 313. 한국교통연구원.
신보미. (2023).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정철 노선 건설의 추진현황과 시사점. 월간 교통 vol 305. 한국교통연구원.
서재철. [철도로 가는 지속 가능한 사회] 완벽해라, 독일식 환승시스템. 한겨례21,
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23359.html
*이미지 출처:
정지원. (2024). 독일의 철도운송 활성화 동향. 월간 교통 vol 313. 한국교통연구원.
신보미. (2023).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정철 노선 건설의 추진현황과 시사점. 월간 교통 vol 305. 한국교통연구원.
16. 다가오는 메타버스(Metaverse)시대 도시계획에서는? [2] - 19 나준영
다가오는 메타버스(Metaverse)시대 도시계획에서는? [2]
2024-03-24
지난장에서는 디지털트윈(Digital Twin)기반 도시공간 분석 및 시뮬레이션, 메타버스를 통한 이동의 최소화의 탄소저감효과, 도시거버넌스적 측면에서의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주민참여형 도시계획 등 메타버스의 개념과 가능성,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적용과 활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메타버스 기술의 하부구조와 이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실태와 동향을 알아보고 메타버스가 성공적으로 자리잡았을 때의 도시공간구조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도시는 사람들이 모여 삶을 영위하는 공간으로 사람들이 만들어낸 기술과 동행하며 삶에 가장유리한 형태로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물이 중요했던 농경사회에서 도시는 자연스럽게 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산업혁명이후엔 산업시설이 위치한 곳에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정보화사회가 된 후로는 혁신-지식기반산업이 존재하는 지역에 도시가 형성되었다. 또한, 교통의 발전도 도시구조를 변화시키는데 유효하게 작용했다. 철도의 발전으로 도시는 선형적으로 변화하였고 자동차의 발전으로 도시는 외연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배로 인한 항만도시의 발전, 항공으로 인한 공항도시 또한 교통에 큰 영향을 받은 도시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처럼 도시의 변화는 기술의 발전과 경제적 논리에 의해 진행되었다.
현 시대의 우리는 더욱 빠른 기술의 혁신을 경험하고 있다. 통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도메인 지식 등이 결합되고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은 빠르게 쇄신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시구조도 마찬가지로 변화해가고 있다. 가상현실로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기술은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기에 영향력이 큰 기술로 변화하는 도시를 예상하고 새로운 문제와 위협에 대해 대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중요성을 빠르게 인지하고 스마트시티를 위한 메타시티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와 인천시를 대표로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시티를 고도화 시키며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며 사회, 경제, 문화 활동과 연계된 새로운 도시를 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보이고 있다.
아래의 [그림6] 스마트도시 고도화 프레임 워크를 살펴보면 스마트시티 고도화(메타시티)를 위해선 도시데이터와 시민참여가 필수적인 하부구조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OT 기술을 통해 도시의 수많은 요소를 센싱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나, 그 데이터를 활용하고 의사결정에 근거로 만드는 것은 수많은 제도와 참여를 수반한다. 따라서, 기술적인 수집, 분석뿐만 아니라 도시를 구성하는 시민의 참여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서비스 제공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모두가 스마트시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포용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 끊임없는 환류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메타버스에 대한 노력과 기술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한계는 존재한다. 기술적으로 메타버스는 현재까지 일시적인 가상공간의 체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해 현실세계를 완전하게 대체할 정도가 아닌 이상 현재의 PC, 스마트폰과의 차별화된 점을 찾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XR, AR 등을 통해 현실 세계와 융합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시각과 청각적인 부분 이외에 현실세계처럼 다른 감각적인 부분을 제어하는데 현재까지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또한, 메타버스내에서의 제도와 사회적인 통제 등의 부재 또한 급격한 기술 발전시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앞으로의 메타버스 시대에 발맞춘 제도와 사회체계를 미리 구축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깨고 메타버스 기술이 완벽한 성공을 이루게 된다면 우리 도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기술의 발전이자 교통의 발전이 되는 초연결, 초감각 기술시대에 사람들은 어떤 경제적 논리로 공간을 구성하게 될까? 아직 완성되지 않은 기술이며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못한 질문이기 때문에 다양한 답변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메타버스 성공시대의 도시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메타버스 시대에는 공간의 ‘용도’, ‘기능’의 개념이 대폭 줄어들 것이다. 사무실, 상점, 학교 등 전통적으로 고정되어 있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여 새로운 형태와 기능의 공간이 창출되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공간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아진다면 현재의 전통적인 토지이용계획 및 도시계획은 가상공간과의 영향을 고려한 효율적인 공간계획을 하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또한, 초연결로 인한 교통 및 이동성의 변화로 이동할 필요성과 교통량이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교통 인프라 및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도시내의 더 많은 공간이 창출되며 더 적은 탄소배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기술, 사회, 제도적인 부분 등에서 다양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20년전을 생각하면 우리는 피쳐폰에 놀라워했고 10년전엔 스마트폰의 등장에 놀라워할 정도로 빠르게 기술의 발전은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의 10년 20년 뒤에는 어떤 기술이 어떻게 우리 삶의 터전인 도시를 변화시키고 있을까? 한 번쯤 모두가 생각해보고 상상을 발휘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다는 생각을 전하며 글을 마친다.
※ 참고자료
권창희. (2021).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조선자연과학논문집, 14(1), 21-26.
스마트도시 고도화를 위한 메타시티(메타버스 시티) 추진방향,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920호
계양 온 더 맵 https://map.gyeyang.go.kr/portal/apps/sites/#/onthemap
15. 입체도시 개념정립 및 국내과제: <입체도시 계획&개발 1> - 19조호선
2024-03-17
지난 글에서는 입체적 도로의 확장이 도시의 재생적 측면, 공간 활용 측면에서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봤고, 도로뿐만 아니라 도시의 전반적인 계획과 관련하여 향후 이런 입체 공간 활용들이 성공적인 도시 문제 해결의 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유형화 등과 같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글에서는 특정 인프라, 기반시설, 구조물 등에 대해서 기술하기보다 전반적인 입체 도시의 개념, 개발 및 계획의 추세, 현황 등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본 글에서는 크게 2가지 파트로 나누었고, 살펴볼 구체적인 목차는 다음과 같다. Part1: 입체도시와 관련된 전반적인 개념 정립 및 이론 고찰 part2: 현재 국내의 과제 및 방안이다. 이번 글을 통해 입체도시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국내에선 입체도시와 관련된 공간전략이 어떠한 방안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글에서는 이전에 정리했던 입체 도로 개발, 본 글에서 정리하는 입체 도시 및 방안 등을 유형화 등의 연구적인 측면에서 접목해보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입체 탐구를 종합적으로 매듭지어보고자 한다.
Part 1: 입체도시 개념정립 & 이론고찰
ⅰ) 입체도시 & 입체도시계획 개념
입체도시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입체도시란 단순히 건물을 높이 쌓는 것을 넘어, 지하, 지상, 공중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토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도시 계획 방식을 말한다. 학술적으로는, 각 연구 분야에서 입체도시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황선영 외(2009)의 연구에서 입체도시공간이 지상(지면)에 위치한 주요시설의 지하나 공중에 다른 용도의 공간이 있을 수 있다는 개념으로, 입체도시계획은 입체도시공간의 실제적인 표현으로 공간적인 측면에서 어느 점을 기준으로 상하에 다른 종류의 용도가 지정 가능한 것(Multi-dimensional Land Use Planning).
∙ 이종원 외(2011)의 연구에서 입체도시계획이란 넓은 의미에서 토지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공간적인 측면에서 어느 점을 기준으로 상하에 다른 종류의 용도를 지정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에서 도시계획시설의 중복 설치 또는 도시계획시설과 비도시 계획시설의 입체적 결정과 관련된 개념.
∙ 이정형 외(2017)의 연구에서 공공소유의 도시 계획시설에 민간소유의 건축물과 입체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입체도시계획제도를 정의하였으며, 민간주도형 도시재생의 시점에서 입체도시계획은 공공 소유의 시설에 입체적으로 민간시설의 개발행위를 허용하는 것.
정의는 각각의 연구마다 조금씩은 차이가 있었으나, 분류와 용어 정도의 차이일 뿐 결국 입체도시의 필수적인 개념을 함축하자면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어느 점을 기준으로 상하에 다른 종류의 용도를 지정하는 것, 즉 서로 다른 용도의 공간이 존재하게끔 도시계획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다. 지정된 용도가 무엇인지,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유형은 조금씩 다르다. 이종원 외(2011)의 연구에서 입체도시계획의 유형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용도에 대해) 도시계획 시설간의 복합인지, 비도시계획시설과의 복합인지에 따라 분류하였고, 각각의 공간적 범위 결정에 따라서 유형을 분류하였다. 자세한 구분은 아래의 표와 같고, 유형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다.
ⅱ) 도시계획의 시대적 흐름 & 입체계획 도입 배경
이러한 입체적 도시 계획이 어떠한 배경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언제 등장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를 입체적으로 계획하고 개발하는 것은 지난 시간 동안 꾸준히 선택되어 온 계획 방식이다. 1900년부터 쭉 진행되어 온 도시계획의 이론들과 내용을 보면 1970년부터 이미, 고층 고밀, 복합화, 복합적 토지이용, 고밀복합 등과 같은 키워드 아래에 입체적인 도시계획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현재 글에서 정리하는 입체도시계획, 공간전략과는 본질적으로 사뭇 다르다고 생각되고,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본질적으로 계획 및 개발의 배경이 다르다. 과거의 경우, 성장기 측면에서 도시를 건설하고 팽창하기 위해 선택된 방안이고, 현재의 공간전략에 사용되는 입체 방안들은 쇠퇴기에 들어선 시점에서 재생적 측면을 논하기 위해 선택된 방안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과거에는 인구, 산업, 경제 등 다방면으로 성장하는 상황에서 급속하게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수직적인 측면만큼 수평적인 확장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차별적인 개발방식 및 급속한 도시화는 난개발, 환경문제 등과 같은 문제점을 불러왔고 도시를 재정비하고 새롭게 계획할 필요성을 느끼게 하였다.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신도시 개발보다는 구도심을 재활성화 시키려는 현상들이 나타났다. 추가로, 일찌감치 들어선 인구감소에 따른 쇠퇴양상은 노후화 같은 문제에 직결되었고, 재생의 필요성을 더욱 간절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시 재생의 필요성이 현재 글에서 말하는 입체 도시계획&개발, 공간전략으로 바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198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부작용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 및 정책들이 시행되었으며,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패러다임도 시기에 맞게 변화하였다. 그에 따라 압축개발, 마을살리기, 재정비사업,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대중교통체계, 녹색교통, 친환경 보행도로 등 각각의 키워드 하에 사업 목적, 시기, 성격에 따라 사업들이 쭉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재생 방식에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도시를 재생시키고 재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는데 반하여, 기성시가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지는 여전히 부족했고, 추가적인 도시기반시설을 확보하는 것 또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기존 인프라를 위주로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사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이 점차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부터 점차 국내에서는 공간전략 측면에서 도시를 재구성하자는 복합개발, 입체 개발 등의 개념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현재 정리하고 있는 입체도시의 계획&개발은 재생론적 관점에서의 성격을 나타낸다. 즉, 도시재생의 실현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입체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는 도로입체화, 철도입체화 등이 중점으로 계획되고 있다.
ⅲ) 사례 및 내용
서울 경의선 숲길공원의 경우는 철도 입체화 사례로, 6.3km의 경의선 유휴철도부지를 공원으로 활용한 경우이다. 이를 통해 1970년부터 진행되어 온 철길로 인해 지역의 단절, 슬럼화는 중단되었고, 상부공간은 공간으로 활용되어 새로운 소통과 교류의 장이 되었다. 그러나 공원이 조성된 이후에 젠트리피케이션, 소음, 쓰레기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위와 같은 사례처럼 단순히 철거, 재개발 방식이 아닌, 문화적, 경제적, 환경적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기반시설 위주의 입체화 사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고가도로의 하부, 유휴부지 공간활용 등은 도심지 공간 활용의 전략이며, 특히 서울과 같은 과밀 고도화된 수도권 도시에서는 도시재생 추진 시에 기반시설을 입체화 하는 방식이 필수적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경의선 숲길공원에서처럼 공간개발은 단순히 입체화를 통한 녹지 공간 확보, 환경 개선, 커뮤니티 공간 확보 등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인구유입, 연계성, 일자리 창출과 같은 가치와도 연관이 있다.
Part 2: 현재 국내 과제 & 방안
본 파트에선 새로운 공간전략이 요구됨에 따라 그에 맞는 체계의 변화, 프로젝트 마련 등과 같은 실제 방안들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안이 수반되지 않은 전략은 단순히 실현 가능성 없는 이론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단편적인 예시로, 지속 가능 도시와 같은 슬로건을 외치면서, 환경적인 측면의 고려 없이 경제성만을 중요시한 기존의 신도시 계획 방식을 고수한다면, 환경 부문에서 어떠한 발전이 있겠는가 생각을 한다. 따라서 국내의 계획 방안들도 공간 계획을 조금 더 용이하게 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졌고,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이 부분에서 확인해보고자 했다. 시기별로 적용하거나 도입된 방안이나 지침들을 정리해보았다.
∙23.01.05 「도시계획 혁신 방안」 :도시규제로부터 자유롭고, 융복합적 도시개발이 가능한 공간혁신 3종 구역 도입: 현 도시계획 체계는 용도와 밀도에 따라서 토지를 구분하고 있다. 주거·상업·공업 등으로 용도를 구분하고, 용적률·건폐율과 같은 수치로 개발의 밀도에 제한을 두어 토지를 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 경제적인 많은 변화들이 점차 진행되었다. 특히 4차 산업 기반 주거, 문화 환경은 직주근접형과 같은 공간을 선호하는 현상을 나타내었고, 이는 20세기 제조업 시대에 마련된 용도, 밀도 규정에는 적합하지 않은 의견이 나왔다. 추가로, 도시공간의 고밀·복합 개발, 공간전략 개발, 압축도시 등과 같은 새로운 대안들을 적용함에 있어도 용도와 밀도의 제한은 크고 작은 걸림돌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체제를 개편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기존 틀은 유지하며 일부 새로운 공간 수요를 뒷받침하는 특례구역을 도입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융복합 도시공간 조성을 위해 3가지 종류의 공간혁신구역을 도입하였다. (도시혁신구역, 복합용도구역, 입체복합구역) 도시혁신구역은 도시 내 혁신적 공간 조성을 위해 지정요건을 폐지하고, 필요한 지역에 토지의 용도와 밀도를 자유롭게 지정, 계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용도지역 등의 입지규제를 적용하지 않고, 건축물의 허용 밀도를 별도로 정하는 것은 기존 15년 입지규제최소구역 제도를 통해 도입된 적이 있다. 그러나, 5년간 5곳의 입지규제 최소구역 제도하에 운영을 하면서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존재했다. 그 이유로는 공공중심의 운영으로 실제 민간기업의 개발사업과는 연계가 어려웠고 공공이 선정한 부지와 민간이 선호하는 부지간의 간극이 존재하여, 이로 인해서 민간 참여는 저조한 실적을 거두었다. 따라서 이번 도시혁신구역의 주 목표는 민간참여 유인, 활성화 등으로 고밀 융복합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다. 복합용도구역은 지역의 노후·쇠퇴 등으로 용도 지역의 변화가 필요한 곳에 복합용도계획을 적용하여 기존의 용도지역 변경 없이도 타 용도시설의 설치를 허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며, 목표는 업무, 주거, 생활이 주변 환경과 어우러진 복합용도구역을 수립하는 것이다. 공간혁신구역은 체육시설, 공원, 터미널 등 다중 이용 도시계획시설에 관한 것인데, 수요나 입지조건이 우수하더라도 용도, 밀도 제한으로 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계획시설을 대상으로 입지가능지역을 확대하고 밀도를 1.5~2배 완화하는 방침이다. 결국 위의 3종 혁신 구역에 관한 방안은 기존의 활용 제한적인 규제 방안들을 입체, 복합 활용에 유용한 방안으로 개편하는 내용을 담은 국토교통부의 자료이다. 도시 기능의 복합화, 집적화, 광역화 (생활권 중심), 유연화 4가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며, 방안을 시작으로 하위 법령 및 대상지 선정 등의 과정을 거쳐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23.01 국토교통부 도시계획 혁신방안 도입 이후, 관련하여 일부 개정된 하위 법령이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일부 취합, 요약한 것이다. 관련 자료들이 섹션별로 정리되어 있진 않아서 놓친 정보나 자료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내용들로 보아 공간전략, 입체복합계획을 실현을 위해 계속 정진중임을 알 수 있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 시행예정법령 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보면, 생활권계획을 제도화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도시혁신구역, 융복합 공간이용을 촉진하는 복합용도구역, 입체복합활용을 위한 입체복합구역을 도입함으로서 경직적인 용도지역제에 유연성을 부여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해당 용도구역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공간재구조화계획을 도입하고 관련 지가상승분을 적절히 환수할 수 있는 현행제도의 미비점들을 개선시킬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공포일자: 2024.02.06. 시행일자: 2024.08.07.)
∙ 「도심 복합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을 보면, 도시지역에서 도심복합개발혁신지구의 지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들과 규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도시 공간을 복합적이고 혁신적으로 활용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24.02.13. 일부 개정된 「기업도시개발 특별법」을 보면 기업도시개발구역의 최소면적 기준을 완화한 내용인데,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업도시개발구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4.03.18. 보도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18일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 릴레이 정책 세미나를 진행하였는데, 관련 내용 中 도심복합사업 활성화 방안, 민간의 창의적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도시혁신구역 지정, 공공 도심 복합사업과 관련된 규제완화 등이 세미나의 주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전반적인 개념과 국내의 제도⋅정책적인 부분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이에 대해 몇 가지 정도의 생각을 아래에 정리하였다. 우선, 진행 중인 법률 개정, 세미나 등으로부터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체계가 갖춰짐에 따라서 특례에 따른 대상지 및 사업 결과에 대한 정보도 꾸준히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혁신구역 등 도시계획의 혁신방안을 시점으로 공간전략을 기반으로한 혁신적인 공간활용의 실현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가지 정도의 쟁점사항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공공과 민간이 협력이 많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방안에서 언급된 것처럼 공공의 선정과 민간의 선호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여 입지규제 최소구역에 관한 제도는 실효성이 낮다고 판단이 되었다. 결국 이 도시계획 혁신방안 또한 민간 참여를 유인하고 활성화를 목표로 두지만, 사업의 근본에는 공공에서 목표로 하는 (필수적으로 고려하는) 여러 가지 슬로건이 있을 것이다. 민간에서 실제 사업을 실시할 때에도 목표적인 측면이 어느 정도 동일선상에 두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 같다. 단편적인 예시로, 정책에 관한 것은 정부가 내지만 실제로 사업을 주도하는 주체는 민간인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사업의 목적과 우선순위가 달라짐에 따라 정부에서 목표로 하는, 또는 민간에서 목표로 하는 요소들이 맞지 않는 경우들이 더러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분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시계획 혁신방안은 규제완화 방식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지가 상승과 직결될 것이다. 단순히 지가 상승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사회적인 현상이나 또 다른 양상들을 보일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세미나와 같은 지속적인 소통의 창구를 두어 단순히 사업의 성과, 효율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면의 우려사항들을 동시에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참고자료
이범현 (2017).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 입체도시 조성방안. 국토연구원.
국토교통부, 「도시계획 혁신 방안」 도시정책과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공공·민간 협력’으로 도심복합사업 활성화방안 모색한다. 도심주택공급총괄과 보도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최근공포법 & 최근시행법령
14.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 <공간의 생산> - 20이종현
2024-03-10
1. 도시와 공간 분석
최근 국내에서는 주요 도로들을 지하화한 후 지상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혹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그린벨트가 해제된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등 적절한 공간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과거에는 도시의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도시공간 확장에 초점을 뒀으나, 그것이 불러온 도시 문제들을 겪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공간 활용 방안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 대해서도 교통,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활용 방안을 신중히 결정하는 추세이다.
그렇다면 공간의 특성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 걸까?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지금은 GIS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가 직접 그 공간에 가지 않고도 공간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정확히는 수치화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간에 잠재된 정보를 창출함으로써 공간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공간의 맥락이란 공간의 형태, 용도, 역사, 다른 공간과의 관계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로써 공간적 불평등, 공간적 미스매치와 같은 공간적 차원의 다양한 도시 문제들을 발굴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다시 공간 분석의 발전 계기가 됨으로써 마치 '도시와 공간의 선순환'이 그려지게 되었다. 도시학에서 이러한 선순환이 그려지는 것은 여간 기쁘지 아니할 수가 없다.
2. 공간의 맥락에 대한 고찰 (1)
그러나 저자는 공간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공간 자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우선 고찰할 필요를 느꼈다. 아래 질문들을 살펴보자.
Q1. 공간의 맥락은 누가 만드는 것인가?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 공간 자기 자신? 아니면 둘 다? 공간의 맥락을 만드는 주체를 무엇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서 공간의 맥락을 이해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에 저자는 이 질문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특정 지하상가를 찾는 사람들이 줄어드는 이유를 지하상가를 이용했던 사람들의 쇼핑 패턴 변화에서 찾을 수도 있고, 지하상가 입구의 접근성 및 시설의 노후화에서 찾을 수도 있다. 혹은 지하상가를 이용했던 사람들이 지하상가를 어떻게 이용해 왔는지, 즉 행태 관점에서 답을 도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지하상가를 예로 들었지만, 공간은 하나의 도시가 될 수도, 하나의 건축물이 될 수도 있다. 이 질문에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는 건 의미가 없다.)
만약 답을,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로 한다면, 공간은 오로지 그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에 의한 영향만 받는다고 볼 수 있을까? 박물관 안에 어느 문화재가 몇 년 동안 전시된 공간을 떠올려 보자. 이 문화재를 보러 온 사람들이 많다고 한들 이 공간 자체는 몇 년 동안 바뀐 것이 없다. 다만 문화재를 비추는 조명과 박물관의 정숙한 분위기 속에서, 이 문화재는 고스란히 문화재를 보러 온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게 된다. 이는 공간이 의도하는 바가 무엇이냐에 따라 사람이 아닌 사물도 공간의 맥락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는 셈이며, 조명과 정숙한 분위기와 같이 공간의 환경도 공간의 맥락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답을 공간 자기 자신으로 한다면, 공간적 차원의 도시 문제들이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사회적 계급에 따른 도시 내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공간' 하나로만 지목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면 답은 둘 다일까? 그렇다고 해도 위 예시들에서 알 수 있듯이 공간의 종류와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공간의 맥락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선 공간의 맥락이 만들어지는 과정 또한 살펴봐야 할 것이다.
Q2. 공간의 맥락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공간의 종류가 무엇이냐에 따라 공간의 맥락이 만들어지는 과정도 다르다고 추측할 수 있다. 박물관의 정숙한 분위기는 박물관 내 관람 규칙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는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 지하상가와 대비된다. 이처럼 특정 공간만의 규칙과 관습이 공간의 맥락적 차이를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선행적으로 고찰한 내용은 여기까지이며 위 내용과 다른 견해를 가진 독자들의 의사도 존중함을 미리 밝힌다. 한편 본 저자는 위 고찰만으로 공간 자체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답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고, 공간에 대한 탐구를 어떻게 이어나가야 할지 고민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공간에 대한 탐구를 다시 진행하게 해준 것은 뜻밖에도 '눈길'과 '한 권의 책'이었다.
3-1. 눈길 속 한 사람의 발자국을 따라서
2024년 1월 31일, SSCL이 소속된 Right-sizing 기초연구실에서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의 도시재생사업 현장에 방문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골목길 외곽을 둘러싼 다채로운 식물, 알록달록한 색깔의 집, 간판에 쓰인 감성적인 글귀들은 시각적 효과를 넘어 고한읍 주민분들의 마을에 대한 애정을 알 수 있었던 포인트였다. 또한 저자가 도시재생을 그동안 거창하게 생각해 온 것은 아닌지, 도시재생은 어쩌면 주민들이 행복한 것만으로도 충분한 건 아닌지 등 도시재생에 대해 성찰을 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그나저나 저자가 사업 현장을 둘러보면서 주목했던 것 중 하나는 눈으로 뒤덮인 골목길 위의 발자국들이었다. 그 발자국들은 골목길을 따라 일직선으로 뻗어나가지 않고 몇몇 지점들에서 굽이져 있었다. 발자국의 주인공은 그 지점들에서 무엇을 했을까? 무언가를 자세히 보려고 했을 수도 있고, 눈이 많이 쌓인 곳을 피한 걸 수도 있고, 지인을 잠시 만났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발자국은 주인공이 무엇을 했는지 완벽히 말해주진 않지만, 눈길 속에서 그가 걸어가는 모습을 상상하도록 해주었다. 이 상상을 함과 동시에 저자는 발자국과 같은 흔적(매개체)이 서로 다른 시간 속 같은 공간에 있던 것들을 연결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흥미를 느꼈다. 공간의 역사도 이렇게 체감할 수 있다면 공간의 맥락을 진정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더 나아가 공간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을 거란 확신이 들었다.
3-2.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 <공간의 생산>
이 확신을 설명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감으로 읽은 책은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이다. 아래에 해당 책 내용 중 저자가 주목한 문장들과 각 문장에 대한 코멘트를 같이 정리해 보았다.
① 공간은 생산물이자 생산자이고 경제적 관계, 사회적 관계의 토대이다.
: 여기서 말하는 공간은 3차원 좌표계와 같은 기하적 의미를 넘어서 자연환경과 그것을 이용하는 인간의 활동, 사회 권력 구조 등을 모두 포괄한다. 공간은 사회(생산양식)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산되고, 이것이 다시 사회적 관계의 조직화에 영향을 미친다(홍덕화, 2011).
② 공간의 역사가 존재한다. 공간의 개념은 정신적인 것, 문화적인 것, 사회적인 것, 역사적인 것을 연결한다. 발견, 생산, 창조로 이어지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연결된다.
: 새로운 공간이 발견되고 그 공간 속에서 사회적 조직이 생산되면서 도시와 같은 작품이 창조된다. 또한 공간은 정신, 문화, 사회, 역사적인 것들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서로를 증폭하기도, 파괴하기도 한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도시계획 분야와 실제 도시들에 미친 영향을 예시로 들 수 있을 듯하다.
③ (물리적) 자연 공간은 점점 더 멀어진다. 자연을 보호하고 구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 자연은 공간을 생산하는 원료에 지나지 않기에, 자연을 보호하고자 하는 우리의 진정성과는 별개로 자연은 희생될 수밖에 없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놓고 봤을 때 지속 가능성이 정말 현실적인 개념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질 수 있을 듯하다.
④ 각각의 사회는 저마다의 공간을 생산한다. 사회적 공간은 그것이 가리키는 현실과 형식이 대단히 복합적이기 때문에 분석에 저항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 각각의 공간은 공간 내 사회적 관계, 생산양식(Ex. 노동의 분업) 등에 알맞은 형태로 구성된다. 이 요소들의 복잡성은 오히려 공간의 정체를 알기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면 강의실 안에서도 수업의 내용, 수강생들의 개인적 유대감, 개인적 사건 등의 요소들이 모여 하나의 수업 광경이 펼쳐지지만, 그 광경에서 요소들을 하나하나 분해하기는 쉽지 않다. 사회적 공간으로 일반화한다면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⑤-1. 공간적 실천 - 지각된 공간, 분석 과정에서 주어진 사회의 공간적 실천은 자신의 공간을 해독함으로써 그 모습을 드러낸다.
: 르페브르는 '공간의 코드'가 공간을 이해하게 해주는, 일종의 공간 해독 수단이라고 설명을 덧붙인다. 즉 공간적 실천은 사회 구성원이 일상에 잠재된 공간의 코드를 발견함으로써 공간의 존재를 인식하고 공간과 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과정이다.
⑤-2. 공간재현 - 인지된 공간, 이는 주어진 사회의 생산양식이 지배적인 공간이다.
: 예시로 도시계획을 위한 공간 구획의 과정과 실천을 들 수 있다. 공간의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에는 얼마든지 공간재현이 포함될 수 있다.
⑤-3. 재현공간 - 체험된 공간, 지배당한 공간이기도 하며 상상력이 변화시키고 자기 것으로 길들이려고 시도하는 공간이다.
: 예시로 도시민들이 도시 속에서 겪는 체험을 들 수 있다.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이들의 체험이 모두 같지 않은, 즉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계획을 위한 공간 구획과 도시민들의 체험을 사회의 지배 구조 관점에서 비교한다면, 왜 '지배당한 공간'이라는 표현을 썼는지 이해할 수 있다. 여담으로 그동안의 사회적 투쟁도 공간재현과 재현공간의 충돌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지 하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공간의 생산 과정은 이상의 세 가지 계기가 뒤섞여 서로 충돌하면서 전화되고 소멸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홍덕화, 2011). 위 세 가지는 <공간의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들이라고 볼 수 있다.
⑥ 사회적 공간은 서로 침투적이며 서로 포개진다. 이것은 사물이 아니다.
: 사회의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공간(Ex. 자본주의와 비자본주의)들이 다양한 형태(Ex. 약육강식과 공존)로 교차한다.
⑦ 사회적 공간은 결코 이중성에서 벗어날 수 없다. (중략) 사회적 공간은 언제나 행위의 장이면서 동시에 행위의 매체가 아닌가? 사회적 공간은 또한 현실적이면서 동시에 잠재적이지 않은가? 사회적 공간은 양적이면서 동시에 질적이지 않은가? 사회적 공간은 자재들의 결합이면서 동시에 설비의 총체가 아닌가?
: 공간은 사물이 아니라는 말을 다시 명심하자. 사회적 공간의 이중성이야말로 공간의 다양성에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⑧ 말하자면 질서의 공간이 공간의 질서 속에 숨어있는 것이다. (중략) 공간의 혜택을 받는 사람들이 있으며, 공간으로부터 배제된, 즉 '공간을 갖지 못한' 자들이 생겨난다. (중략) 추상화와 그것의 실천적(사회적) 사용에는 폭력이 내재하여 있다.
: 예를 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권력 구조(Ex. 노동자와 자본가)는 일종의 질서로 작용하면서도 이 질서의 폭력성이 사회적, 공간적 불평등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질서는 추상적이면서 모순적이라 볼 수 있다. 갈등을 유발하는 질서를 어떻게 질서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이것이 질서라면 이러한 문제를 오히려 방지해야 한다.
⑨ 공간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권력도 지니지 않으며, 공간의 모순은 그 자체로서의 공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사회의 모순(이를테면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이 공간의 모순을 만들어내며, 공간 내부에, 공간의 층위에 모습을 드러낸다.
: 공간적 차원의 문제는 공간이 아니라 사회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4번 문장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9번 문장 내용까지 고려하면 공간을 투쟁과 행동의 대상이자 전략적 목표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홍덕화, 2011).
4. 공간의 맥락에 대한 고찰 (2)
① <공간의 생산> 관점에서 우선 도시공간의 맥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을 듯하다. '도시공간 속에는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상호작용들이 공간적 실천, 공간재현, 재현공간에 의해 일어나며 이는 도시를 재생산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도시는 생활의 터전이다. 그렇지만 정치, 경제, 문화적 영향력은 그 터전을 새롭게 주기도, 옮기기도, 빼앗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도시공간에 형성되는 모순과 갈등, 긴장감과 안도감이 공간의 코드 형태로 드러난다. 도시는 계속 재생산될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 저자는 도시공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공간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② 눈길 위 발자국이 암시하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 발자국들에는 질서가 있지는 않다. 폭력성이 내재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렇기에 발자국은 그 주인공을 상징하는 절대공간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공간의 생산>에서 대상의 상징적인 의미가 담긴 공간을 '절대공간'으로, 절대공간에 상징적 가치가 더해진 공간을 '추상공간'으로 제시했다.) 가치를 추구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우리의 사고는 절대공간보다 추상공간에 더 가까울 수 있다. 그렇지만 절대공간도 우리 가까이에 있으며 그 공간의 상징적인 의미도 우리가 마음껏 부여할 수 있다. 그 예시로는 어느 도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가 될 수도 있고, 자신에게 소중한 추억이 담긴 장소가 될 수도 있다. 이 순수한, 절대적인 상징성도 도시 혹은 개개인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③ 최근 공간과 같이 따라붙는 키워드 중 하나가 '소멸'이다. 공간이 소멸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앞에서 예시로 든 지하상가처럼 특정 장소를 찾는 사람들이 줄어드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장소에 활력을 불어넣는 건 사람이기에 이 문제는 심각하게 느껴질 수 있다. 혹은 지방소멸 문제도 공간 소멸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이 문제들은 공통으로 사람 수의 감소에서 접근한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들이 무엇에 의해 어떻게 그 공간에서 사라졌을까? 한 공간 위에서 일어나는 문제인 것은 맞지만 <공간의 생산>은 이 문제를 한 공간의 문제로만 국한하지 말아야 함을 알려준다. 한 공간 속의 수많은 공간, 그 공간들을 만들어 낸 각 사회를 모두 동일시할 수 없다. 똑같이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들이더라도 각 지역 사회마다 타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개성'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지역 단위뿐만 아니라 마을 단위, 건축물 단위에도 해당하며, 공간 소멸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적 차원의 문제에도 해당한다.
공간을 완벽히 이해하기에, 공간은 그 자체만으로 너무 복잡하다. 그러나 앞으로 국토, 도시계획 부문의 이슈에서 공간이 자주 등장할 소재라는 것은 확실하다! 그렇기에 저자는 공간에 대한 철학이야말로 이 이슈들에 대해 폭넓게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고 보았고, 공간에 대한 철학을 보여주는 명저로써 <공간의 생산>을 이 글에서 다루어 보았다. 이 책의 문장 하나하나를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았으나 멋진 책이라는 사실은 분명한 듯하다.
※ 참고문헌
홍덕화. (2011). 누구를 위한 공간/자연인가?. 환경사회학연구 ECO, 15(2), 309-316.
앙리 르페브르 (2011). 공간의 생산. (양영란, 역). 에코리브르. (원본 출판 1974년)
13. 비수도권의 그린벨트 해제, 지방소멸 대안? - 20정은은
2024-03-01
그린벨트, 즉 개발제한구역은 도시 주변의 녹지를 보존하기 위해 지정한 구역을 일컫는 말이다.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본격 시행되었으며, 현재 전세계 약 20여개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한국은 영국과 더불어 그린벨트가 가장 발달한 나라 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 그린벨트 정책을 언급할 때 영국의 사례와 함께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국가 중 하나다.
한국의 경우 말로는 개발'제한'이지만 실제로는 개발금지구역이라 할 정도로 시골 상태 그대로 낙후되도록 강제하는 게 현실이었고, 국가가 강제로 국민의 재산권을 침해한 것이기 때문에 시장경제에 맞지 않는 법이라는 비판과 급속한 성장에 따른 환경 훼손, 난개발 및 무분별한 도시연담화 억제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2월 21일 울산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그린벨트 해제의 결정적 장애였던 획일적 해제 기준을 20년 만에 전면 개편할 것”이라며 “지역에 필요한 투자가 일어날 수 있게 규제를 혁신해 새로운 산업 입지 공간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주택 공급, 도시 개발 등 지방 경제 활성화와 불합리한 규제 완화를 통해 지방 소멸을 막겠다는 취지지만 여전히 난개발, 환경 파괴 등의 우려가 높다.
최근 지방 광역시의 인구도 정체하거나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방소멸을 걱정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과연 그린벨트 해제가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지 다시 말해 인구의 유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는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
먼저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 6개 권역(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창원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를 폭넓게 허용하기로 하면서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이 해제 가능 대상 수요조사와 함께 지역 전략사업 발굴·육성에 나섰다. 산업단지 조성 등을 위해 대규모 그린벨트 해제가 필요했던 지자체들로선 그동안 해제가능총량에 묶여 제동이 걸렸던 각종 도시개발사업이 이번 규제 완화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는 인구 감소 추세와 어긋난다.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는 인구를 내부로 결집시켜 밀도를 유지하는, 이른바 ‘컴팩트 시티(압축 개발 도시)’로 조성해야 하는데, 도시 외곽을 둘러싼 그린벨트를 풀면 오히려 인구가 분산된다. 도시 외곽으로 인구가 몰리면 원도심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게 된다. 현재 그린벨트가 지정된 창원, 대구, 광주는 대표적인 인구 감소 도시다.
인구 감소,저성장 국면에서는 기존 그린벨트 지역에 산업단자가 들어서도 일자리가 팽창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기존 산업단지의 일자리가 새로운 산단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는 기존 산업단지의 노후화를 보다 빠르게 진행되게 되는데 일정부분을 차지하는데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의 세금을 부담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린벨트 해제로 도시 외곽에 대규모의 주거지역이 조성되면 인구가 늘어날 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이 그린벨트의 대폭 해제의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린벨트는 지속적으로 해제되어왔다. 도시 외곽의 그린벨트는 지가가 낮고, 인구 밀도가 낮아 대규모 신도시로 개발되어왔다. 주택 가격이 폭등할 때마다, 주택 공급물량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었고 이에 대한 대책은 늘 대도시 외곽의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었다.
그러나 지금 이 시점에서 그린벨트 대폭 해제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설득력 있는 답이 없다. 지방 광역시 외곽 지역에 대규모의 아파트 건설이 지방소멸의 대안인지 의문이다. 물론 그린벨트 해제가 필요한 지역이 있다. 대전과 세종 사이에도 그린벨트가 있어 메가시티로 발전하려면 그린벨트가 장애물이 되기는 한다.
그린벨트를 풀더라도 ‘지역별 거점 위주’로 최소화하지 않으면 난개발과 환경 파괴라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최초 계획대로 개발이 이뤄지는지 철저히 살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이의회 외 2인,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이용실태와 관리방안(경기연구원, 2019)
김한구외 2인, 수도권 그린벨트의 보존을 위한 방향성 제시(KIEAE Journal, 2020)
김한구, 수도권 신도시의 그린벨트를 고려한 압축도시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2020)
12.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권 광역철도 : 현황과 과제 - 21이다빈
12.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권 광역철도 : 현황과 과제 - 21이다빈
12.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권 광역철도 : 현황과 과제 - 21이다빈
2024-02-09
다가오는 총선과 함께 지난 블로그에서 다뤘던 ‘메가시티’ 와 ‘균형발전정책’과 같이 국토의 틀을 다시 짜는 정책 및 공약이 발표되고 있다. 그 중 저자의 이목을 끈 건 지난달 25일 정부가 발표한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이다.광역 급행철도(GTX)노선 연장과 신설, 철도도로 지하화 등에 134조원을 투입하는 사업안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교통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지방광역급행철도 사업비는 18조 4000억원으로 총 사업비의 14%로 측정되었다. 현 정부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목표로 제시한 만큼 균형발전관련 국정과제를 추진해야하는 상황으로 보았을 때, 이는 예산분배 및 사업 비용 측면에선 다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광역교통은 지역 간 연결을 통해 국토의 틀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광역교통과 관련된 논의는 시의적절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광역교통 중 광역철도를 중심적으로 우리나라의 현 광역교통망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교통망 구상에 대해 다뤄보겠다.
균특법 개정안에 따르면 초광역권은 지역의 경제𐤟생활권역 발전을 위한 지역 간의 연계𐤟협력을 뜻한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초광역권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주요 거점을 잇는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광역철도가 이에 해당한다. 광역철도는 광역교통법에 의해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운행되는 도시철도”로 지역 간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운영 중인 광역철도 노선은 총 16개의 노선으로, 부산울산권의 1개 노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노선이다. 부가하자면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노선은 곧 서울 방향 노선이다. 2021년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의 구상 중인 노선까지 합쳐도 총 48개의 노선 중 수도권 노선이 35개로, 광역철도 사업의 수도권 비중이 비수도권에 비해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현 광역교통망은 수도권에 과밀되어 있는데 이는 광역철도사업의 첫 시작과 관련이 있다. 1990년대 수도권 남부의 난개발로 인한 교통혼잡문제가 심각했고, 이를 해결하가 위해 광역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수도권 집중 건설로 인해 오히려 수도권이 인근 강원과 충청 지방등을 포함한 넓은 권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비수도권 간 연결망 부재로 인해 국토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앞으로의 광역철도망 구축은 교통혼잡해결안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국토의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방안으로서도 채택되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선 광역철도사업의 진행과정에 있어 재검토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광역교통법에서 지정한 대도시권의 범위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광역교통법 시행령 대도시권의 범위[별표1]에 따르면 5개권역을 지정하였는데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이 해당 권역이다. 광역철도구간은 5개권역의 권역별 기준 지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40km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저자는 전라도, 강원도 지역이 아예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대도시권의 범위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의문이 드는 바이다. 광역통행의 경우 필수𐤟반복적 통행이 많은 것이 특징이므로 통행특성과 같은 유동패턴을 고려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권역을 새롭게 도출하는 유연성(flexibility)도 대도시권을 선정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광역권의 기능적 특징에 따라 공간적 범위를 구분하는 연구들이 앞으로도 다양하게 진행되어야한다. ‘보여주기식’의 균형발전을 위해 ‘건설을 위한 건설’을 하는 것이 아닌, 현재 초광역권 이동자를 위한 ‘운영을 위한 건설’이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대도시권의 범위 선정 이후, 계획 단계에서는 지역간 협력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기존의 철도계획과 초광역권발전계획이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계성을 갖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김상록, 2023) 지난 블로그 편에서부터 회차 언급되는 ‘일관성’은 국가 정책 및 관련 사업을 실시할 때 우선적인 고려사항임을 명심해야한다.
광역철도계획이 초광역내 균등하며 효과적인 연결을 포함해 수립되었다면 다음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운영부문이다. 철도의 경우 문전수송(Door-to-Door)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접근연계교통도 필수적으로 신경써야한다. 국토연구원이 2023년에 발표한 지역 간 교통격차 연구결과 중 ‘2020년 광역권별 대중교통 및 도보를 통한 철도역 접근성’은 수도권과 동남권을 제외하고는 모든 광역권에서 평균 40분이상의 이동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철도망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동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대도시권-중소도시-농촌도시의 형태인 비수도권의 광역교통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근연계교통망도 지역의 특성에 맞게 형성되어야할 것이다.
지역간 격차가 모든 방면에서 심화되는 현 시점에서, 초광역권은 비수도권이 수도권을 대항할 유일한 방안이다. 초광역권 광역교통체계 구축 전략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신속한 추진이 이뤄져야하며, 개발 단계에 맞춰 한 단계씩 일관성있게 구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참고문헌>
김상록 외. (2023) 초광역권 육성을 위한 광역교통체계 구축 전략 [Strategies for Building a Transportation System to Promote Super Metropolitan Areas]. 한국교통연구원. 83-87.
김흥진, 윤영모. (2022). 초광역권 육성을 통한 국토균형발전 : 김흥진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 국토,, 58-63.
박경아 외. (2022). 광역철도망 기반 초광역권 메가시티 발전전략 [Supra-economic Region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Metropolitan Railway Networks]. 한국교통연구원. 67-109.
박경현 외. (2022). 초광역권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Policy Measures to Support Mega City Region]. 국토연구원. 27-108.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
2024-02-09
다가오는 총선과 함께 지난 블로그에서 다뤘던 ‘메가시티’ 와 ‘균형발전정책’과 같이 국토의 틀을 다시 짜는 정책 및 공약이 발표되고 있다. 그 중 저자의 이목을 끈 건 지난달 25일 정부가 발표한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이다.광역 급행철도(GTX)노선 연장과 신설, 철도도로 지하화 등에 134조원을 투입하는 사업안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교통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지방광역급행철도 사업비는 18조 4000억원으로 총 사업비의 14%로 측정되었다. 현 정부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목표로 제시한 만큼 균형발전관련 국정과제를 추진해야하는 상황으로 보았을 때, 이는 예산분배 및 사업 비용 측면에선 다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광역교통은 지역 간 연결을 통해 국토의 틀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광역교통과 관련된 논의는 시의적절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광역교통 중 광역철도를 중심적으로 우리나라의 현 광역교통망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교통망 구상에 대해 다뤄보겠다.
균특법 개정안에 따르면 초광역권은 지역의 경제𐤟생활권역 발전을 위한 지역 간의 연계𐤟협력을 뜻한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초광역권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주요 거점을 잇는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광역철도가 이에 해당한다. 광역철도는 광역교통법에 의해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운행되는 도시철도”로 지역 간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운영 중인 광역철도 노선은 총 16개의 노선으로, 부산울산권의 1개 노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노선이다. 부가하자면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노선은 곧 서울 방향 노선이다. 2021년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의 구상 중인 노선까지 합쳐도 총 48개의 노선 중 수도권 노선이 35개로, 광역철도 사업의 수도권 비중이 비수도권에 비해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현 광역교통망은 수도권에 과밀되어 있는데 이는 광역철도사업의 첫 시작과 관련이 있다. 1990년대 수도권 남부의 난개발로 인한 교통혼잡문제가 심각했고, 이를 해결하가 위해 광역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수도권 집중 건설로 인해 오히려 수도권이 인근 강원과 충청 지방등을 포함한 넓은 권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비수도권 간 연결망 부재로 인해 국토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앞으로의 광역철도망 구축은 교통혼잡해결안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국토의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방안으로서도 채택되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선 광역철도사업의 진행과정에 있어 재검토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광역교통법에서 지정한 대도시권의 범위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광역교통법 시행령 대도시권의 범위[별표1]에 따르면 5개권역을 지정하였는데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이 해당 권역이다. 광역철도구간은 5개권역의 권역별 기준 지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40km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저자는 전라도, 강원도 지역이 아예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대도시권의 범위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의문이 드는 바이다. 광역통행의 경우 필수𐤟반복적 통행이 많은 것이 특징이므로 통행특성과 같은 유동패턴을 고려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권역을 새롭게 도출하는 유연성(flexibility)도 대도시권을 선정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광역권의 기능적 특징에 따라 공간적 범위를 구분하는 연구들이 앞으로도 다양하게 진행되어야한다. ‘보여주기식’의 균형발전을 위해 ‘건설을 위한 건설’을 하는 것이 아닌, 현재 초광역권 이동자를 위한 ‘운영을 위한 건설’이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대도시권의 범위 선정 이후, 계획 단계에서는 지역간 협력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기존의 철도계획과 초광역권발전계획이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계성을 갖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김상록, 2023) 지난 블로그 편에서부터 회차 언급되는 ‘일관성’은 국가 정책 및 관련 사업을 실시할 때 우선적인 고려사항임을 명심해야한다.
광역철도계획이 초광역내 균등하며 효과적인 연결을 포함해 수립되었다면 다음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운영부문이다. 철도의 경우 문전수송(Door-to-Door)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접근연계교통도 필수적으로 신경써야한다. 국토연구원이 2023년에 발표한 지역 간 교통격차 연구결과 중 ‘2020년 광역권별 대중교통 및 도보를 통한 철도역 접근성’은 수도권과 동남권을 제외하고는 모든 광역권에서 평균 40분이상의 이동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철도망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동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대도시권-중소도시-농촌도시의 형태인 비수도권의 광역교통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근연계교통망도 지역의 특성에 맞게 형성되어야할 것이다.
지역간 격차가 모든 방면에서 심화되는 현 시점에서, 초광역권은 비수도권이 수도권을 대항할 유일한 방안이다. 초광역권 광역교통체계 구축 전략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신속한 추진이 이뤄져야하며, 개발 단계에 맞춰 한 단계씩 일관성있게 구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참고문헌>
김상록 외. (2023) 초광역권 육성을 위한 광역교통체계 구축 전략 [Strategies for Building a Transportation System to Promote Super Metropolitan Areas]. 한국교통연구원. 83-87.
김흥진, 윤영모. (2022). 초광역권 육성을 통한 국토균형발전 : 김흥진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 국토,, 58-63.
박경아 외. (2022). 광역철도망 기반 초광역권 메가시티 발전전략 [Supra-economic Region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Metropolitan Railway Networks]. 한국교통연구원. 67-109.
박경현 외. (2022). 초광역권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Policy Measures to Support Mega City Region]. 국토연구원. 27-108.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
11. 다가오는 메타버스(Metaverse)시대 도시계획에서는? [1] - 19나준영
2024-01-28
최근 애플(Apple)이 소문만 무성했던 혼합현실 헤드셋(Mixed Reality Headset) ‘비전 프로(Vision Pro)’를 공개했고 실제 판매에 돌입했다. 그동안 VR기기 시장은 혁신성은 인정받았으나 뚜렷한 상업성을 보이지 못해 한계에 봉착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IT 회사인 애플의 메타버스 시장진입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침체되어 가던 가상현실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VR기기는 PC -> 스마트폰 이후의 가상현실과의 새로운 연결체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본 글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도시계획분야에서의 메타버스 활용과 적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90년대 PC기반 포털의 시대(Naver, Daum 등)에서 10년대 스마트폰기반 소셜네트워킹의 시대(Twitter, facebook)를 지나 우리는 머지않아 VR기반 메타버스의 시대에 다가서게 될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meta)과 세계(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한다. 여기서의 가상세계는 현실세계와 분리된 것이 아닌 현실 행위의 연장선상으로 현실세계가 가상공간과 결합되어 확장된 것을 의미하고 이 가상공간에서는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고 다양한 활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누구나 창작자가 되며 세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 어렵게 느껴지지만 현재에도 유명한 제페토, 로블록스 이외에도 다양한 VR게임들이 이미 서비스를 하고 있고 더 넓게 본다면 자동차의 HUD, google의 google earth등이 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가상세계이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메타버스시대에 도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회가 제시 될 것으로 예상된다.
1.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은 현실과 동일한 가상모델을 만들고 현실의 데이터를 가상공간에 동기화 하여 가상공간에서 분석 및 시뮬레이션 하는 기술로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디지털 트윈은 도시정보가 모이고 동시에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으로 효율적 도시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 인프라를 모두 포함한다. 이는 품질 좋은 시각화를 통해 현실 도시에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도시 설계 및 계획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스마트시티의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싱가포르의 Virtual Singapore는 싱가포르 전체를 3차원의 디지털트윈으로 재현하고자 했고 모델링을 통해 도시 공간현상을 분석하고있다. 이를 통해 건물의 통풍이나 일조권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정책추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영국 국가디지털트윈은 도시 내 인프라의 생산성 향상 및 데이터 기반 산업 창출,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트윈을 추진했다. 에너지 및 수자원의 최적 사용량 예측, 교통 흐름을 반영한 교통 체증 해소,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CDCC(Centre for Digital Built Britain)’를 설립하는 등의 노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계획 및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연계를 포함하고 있다.
2. 메타버스와 도시 기후 변화로 현재의 도시는 많은 양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폭염, 폭우, 폭설, 홍수, 예측 불가능한 기후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통해 물리적인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고 메타버스에서의 확장성과 창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물리적 활동을 대체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탄소배출을 저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입학식, 강의, 회의 등이 메타버스로 대체되었고 다양한 산업군에서도 메타버스를 활용해 불필요한 이동과 에너지 소비를 줄여 도시내의 자원의 소비를 줄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3. 메타버스를 활용한 도시 거버넌스는 도시 관계자가 도시의 업무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방식에서 주민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가상의 도시공간을 제공하고 이외의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존의 방법에서 벗어난 적절한 플렛폼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효율성을 높이고 신뢰와 책임을 높이는 도시계획을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직접적인 주민과의 소통과 상호 작용을 통해 서비스 제공 지연과 관료주의로 인한 병목현상을 줄여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직접적이고 실용적인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도시계획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예방해 최적의 비용으로 해결 할 수 있게 돕는 등 기존의 Top-Down 방식의 도시계획에서 조금 더 주민 참여를 활성화하고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Bottom-Up 새로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담당 할 수 있다.
실제로 세종특별자치시의 행복청에서는 메타버스를 통한 시민 체험형 도시계획을 구현하여 미래의 도시계획을 적용한 가상공간을 만들어 시민들이 직접 체험한 후 부족한 점과 개선할 점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수요자주도형 도시계획 관리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서면으로 이루어 졌던 의견 수렴방식에서 메타버스를 통한 가상공간 체험을 통한 더욱 사실적이고 현실과 비슷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수렴을 더욱더 쉽게 진행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안 받을 수 있다. 아직은 2.5D수준의 기술구현으로 아쉬운 부분들이 존재하지만 향후의 VR기기를 통한 직접적인 도시계획 체험활동으로 확장된다면 더욱더 실질적인 도시계획이 제안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외에도 메타버스는 우리 도시환경에서 다양한 것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도시 관광, 사회적 상호 작용 확대, 도시 교통, 도시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이 주가 되어 도시를 체험하고 확장시키는 활동이 가능하다. 메타버스는 국토,도시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기술이 되어가고 있으며 공간을 다루는 분야로 도시계획의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이렇게 메타버스의 개념과 도시분야에서의 적용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장에서는 실제로 도시분야에서 스마트시티를 구성하기 위한 메타버스의 실태와 동향을 알아보고 기반이 되는 기술과 시스템을 살펴보며 더욱 더 상세한 미래도시계획의 방향성과 메타버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참고문헌>
김재호. (2022). 메타버스 기반 가상 디지털 도시 추진 방향. 국토, 30-37.
권창희. (2021).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 (Metaverse) 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자연과학논문집, 14(1), 21-26.
송원철, & 정동훈. (2021).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 28(3), 3-22.
국토연구원. (2023). 스마트도시 고도화를 위한 메타시티(메타버스 시티) 추진방향. (920). https://www.krihs.re.kr/gallery.es?mid=a10103050000&act=view&bid=0022&list_no=29978
장동열. (2023.11). "가상공간서 의견수렴" 행복청, 6-2생 도시계획 아이디어 공모. News1. https://www.news1.kr/articles/?5220317
10. 입체도로 개발과 공간활용: <입체도로 개발방향 2> - 19조호선
2024-01-21
해당 글은 23.12.08에 작성했던 <국내외 지하도로 사업 사례 및 주요 해결과제> 글의 보강 자료이다. 지난 글에서는 도로의 지하화 사업에 대한 개요와 사례, 고민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는 공간 활용 및 성과 측면보다는 다소 지하도로 개발 사업 그 자체에 어느 정도 치중 되어 있는 글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공간 활용’, ‘도시재생 기능’이라는 키워드 하에 입체 도로 개발 사업을 집중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우선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ⅰ) 도로 입체화의 유형과 형태 ⅱ) 공간활용이 도시재생에 어떤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ⅰ) 도로 입체화의 형태
입체적 도로 개발이라는 것에는 다양한 유형들이 포함된다. 수평적인 도로 확장에 한계에 부딪혀, 이젠 입체적으로 도로를 확장하는 것에 전 세계가 초점을 두고 다방면의 사업을 실시하에 있다. 우선, 도로 입체 개발이라는 것이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에는 상부 개발 (공간활용) 없이, 지하도로를 설치하는 것 또한 포함된다. 이런 경우는 도로망 개선, 최단거리 연결을 목적으로 지하도로를 건설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공간 활용적 여부를 전제로 두었기 때문에 상부 개발 추진이 없는 신규도로의 개발 같은 부분은 배제하였다. 그렇다면, 기존 도로를 지하화하는 방식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 방식은 교통정체의 해소와 더불어 상부 공간에 대한 개발이 동시에 가능한 사업 방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간 활용을 위해서 반드시 도로를 지하화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도로는 유지한 채로, 도로 주변 지형에 적합한 건설 기술을 도입하여 도로 상부를 덮어 커뮤니티를 연결하거나 생활권을 개선하는 것 또한 입체적 도로 개발을 통한 공간 활용이라는 범주안에 속한다. 그렇다면 이 두 가지 경우에 차이점은 무엇일까? 전자의 경우에는 사업의 주 목적이 교통정체의 개선이다. 따라서 교통 정체가 극심한 특정 구간을 지하화 하고, 가능하다면 확보된 부지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반면 후자의 경우는 도로로 인한 단절된 커뮤니티 연결, 생활권 및 상권의 개선을 주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양질의 개발용지가 부족한 대도시에서 주로 실시하는 사업 방식이다. 이 외에도 사업 주체, 환경 개선의 여부, 그로 인한 주변 지역 개발 가치에 대한 영향 등에 관한 부분에도 차이점이 있다.
ⅱ)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및 도시재생
그렇다면, 위와 같은 형태의 도로 개발이 도시에 영향을 주는 측면은 무엇인지. 이것이 도시재생과는 어떠한 연관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도시에 대한 조성 방식 또한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기존의 평면적 측면 방식에서 벗어나 공간 연결, 접근성의 활용을 중요시하는 입체적 도시조성에 힘을 쓰고 있다. 특히, 노후한 기성시가지를 대상으로 정비 및 도시재생의 명목하에 사업과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입체도시공간’은 주요시설의 지하나 공중에 다른 용도를 가지는 공간이 존재한다는 개념이기에, 가장 대표적인 주요시설인 도로에 대한 개발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입체화는 입체도시 조성의 범주 안에 도시재생에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축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입체적인 도로 개발을 통해 공간을 활용하게 되면 4가지의 도시재생 기능적 측면이 존재하게 된다. 1.도시공간의 연결 기능, 2.지역경제 활성화 기능, 3.기반시설 확충 기능, 4.주택 공급 기능. 보행 연결로 등 도시공간의 연결, 외부 인구 유입을 목적으로하는 거리조성, 부족한 녹지 공간의 보충으로 인한 환경문제 개선, 공공주택 건설 등 각 목적과 편익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공간 활용 방식으로 사업은 실시 되게 된다.
Ⅰ) 보스턴 빅딕 (Big-Dig)
입체 도로 개발의 사례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보스턴의 경우이다. 13년의 공사기간과 약17조원에 달하는 공사비로 역사상 최대 규모의 토목공사로 불리는 중앙간선도로 및 터널 관통공사 프로젝트는 어떤 기능적 측면을 가져왔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우선 보스턴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서 I-93의 6차선 도심고가도로를 외곽과 도심을 연결하는 약 26km 길이의 8-10차선의 지하도로로 건설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상부에는 25만평에 해당하는 녹지공원과 광장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공항을 목적으로하는 교통으로 인해 I-90에 상습 정체구간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확장하여 터널을 조성하였다. 이는 터널 위의 전반적인 지상부 거리와 새로운 보도체계를 확립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보스턴의 경우 고가도로 철거 후, 확보 부지의 70% 정도를 (607km^2 공원, 90만m^2 녹지 오픈스페이스) 녹지 공간 조성으로 공간을 활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7,700세대의 주택개발, 상업개발, 호텔개발 등 70억원의 민간 개발 투자가 진행되었다. 앞에서 제시된 4가지의 도시재생 기능적 측면으로 본다면, BIg dig의 경우, 도로 지하화 사업을 통해 도시공간의 연결, 지역경제의 활성화, 기반시설의 확충을 이룬 셈이다. 이 사업을 보면 상부 공간은 주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로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공간을 위와 같이 활용하도록 결정한 배경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해당 사업의 핵심구역이라고 불리는 그린웨이 구역은 지속적인 해안 매립작업으로 인해 도심개발이 이루어진 곳이고, 이와 같은 개발 및 도심고가가 생활권의 도시를 분절시키고 있으며, 해안으로 연결되는 동선을 가로막는 담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보스턴은 따라서 지하화 사업을 통해서 워터프론트와 연계 방안을 공간 활용의 주 목적으로 두었고, 따라서 해당 사업을 통해서 교통 해소와 더불어 걷고 싶은 도시로 계획하는 공간활용에 초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안전한 보행환경과 새로운 보행동성, 대중교통간의 연계성은 본 사업의 주 목적이었던 도심 교통의 해소에도 일조하게 되었다. 또한 39개의 크고 작은 공원들을 조성하고, 이 공원들이 서로 연계되어 사람들이 도심에서 편리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였다. 해당 사례를 통해 눈여겨봐야할 시사점으로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들었다. 남북 또는 동서를 관통하는 고가도로는 도심을 분절시킬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히 공감하는 바이다. 뿐만 아니라, 도로가 가지는 상징성이 주변의 사업 방향성 또한 막대한 영향을 끼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입체적인 도로 개발은 단순히 상부 공간만의 재활용이 아닌, 주변 전체 개발 맥락이 변화할 수 있는 일종의 터닝 포인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Ⅱ) 입체 개발의 방향
마지막으로, 입체도로 개발 및 입체 도시계획과 관련하여 생각을 정리하며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고속도로 건설계획 및 도시계획에 공간적인 활용 및 연계 측면이 향후 개발 방안으로 점차 대두되고 있다. 이 글을 쓰기 전까지는 입체 도로 개발 (지하화) 및 상부 공간 활용이 공사 비용 및 기간의 한계는 있겠지만, 도시 문제 (특히 교통 혼잡 해소) 해결의 만능 해결책의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로 생각했었다. 그러나 섣부른 개발 및 착오로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도 분명 존재하였고, 도로 개발은 단순히 그 사업 자체보다 주변 도시 맥락에 끼치는 영향과 상징성이 선 고려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심 연계 및 혼잡 해소의 목적을 둔 사업이 오히려 난개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해당 입체 개발 사업이 주변 시가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관련 유형에 관한 연구들의 정립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지하화를 통해 상부 공간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할 것 같다. 상부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려면 그 구간의 도로가 주변 지역에 어떤 영향(문제)을 끼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중심지를 관통하여 단절 역할을 하는지, 하천이나 공원 등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미관을 저해하는지, 대중교통 및 교통연계에 담과 같은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 해야하고, 각각 유형에 맞춰서 상부 공간을 활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앞에서 언급했듯, 도로 개발의 파급력이 주변 도시 및 향후 개발 방향에도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보스턴의 경우 하천 및 공원의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이라고 판단되어, 이에 맞춰 상부 공간을 활용한 셈이다.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개발은 기존의 수평개발에 비해 개발의 난이도나 사업 비용이 높다. 따라서 확충 시설이나 공간 활용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가 중요할 것 같다고 생각된다.
※ 참고문헌
이범현, 남성우, 김영현. (2019). 도시재생 측면에서 입체도시계획의 기능과 제도 개선 방안, 19(2), 516-524.
윤서연. (2018).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도로 입체개발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국토연구원.
김종학. (2004). 대규모 도심 SOC 건설사업 사례. 건설경제,, 84-91.
김형보, 정대석. (2007). 도심재생을 위한 정비계획의 특성과 전략 : 보스톤 사례. 9(4), 2015-2027.
*이미지 출처: 네이버 블로그 보스턴 중앙간선도로·터널 프로젝트 - 21세기..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9. UAM과 기존 항공기와의 공존 방안: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 19허동혁
2024-01-14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기존 항공기와의 간섭을 극복하고, 시간가치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UAM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항공기 서비스와 UAM 서비스를 연계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UAM (Urban Air Mobility)이란 도심항공교통으로 항공기를 활용해 사람과 물자를 운송하는 도시교통체계를 의미한다.
정부는 UAM 선도국가 도약, 도시경쟁력 강화, 교통 혁신에 의한 시공간적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첨단기술 기반의 미래형 일자리 창출 비전 수립, 2025년 상용화와 2030년 본격 상용화를 목표로 UAM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2019년 10월에 국토교통부가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및 ‘드론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 플라잉카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발표한 바 있으며, 최근 2023년 12월에는 ‘스마트기술 및 모빌리티가 자유로운 스마트 빌딩 1만 곳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뿐만 아니라 2035년까지 도심 내에 UAM 친화형 건물 1만동을 만들겠다는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19년 1월에 UAM 과제를 시작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도 항행안전시스템과 보안검색 및 터미널 운영 등 항공부문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패러다임 혁신이라는 전략과제를 수립하고, 차세대 모빌리티인 UAM이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의 계획에 발맞추어 UAM 공항셔틀 도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근거로 2019년에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KT, 대한항공과 함께 ‘원팀 컨소시엄’으로 UAM 분야 진출을 선언했다. 2028년 UAM 상용화와 2035년 RAM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인천국제공항은 수도권에서 약 40km 이상 떨어진 영종도 지역을 매립해 건설한 공항이다. 항공기 운항에 따른 소음문제, 주변 항공기와의 간섭, 시설확장 측면에서 장점들이 있지만 도심에서 멀리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국제공항이지만 접근성에 약점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 이후 연간 2092만 명에서 7116만 명(2019년 기준)이 이용하는 공항으로 지속 성장했다. 이러한 지속세를 바탕으로 향후 1억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4단계 건설 사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제 5활주로와 3터미널 등 5단계 공항개발 사업을 구상 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의 접근 교통은 1966편의 버스 및 공항철도가 운행 중이며 택시, 콜밴, 공유차량 등이 함께 운행되고 있다. 수송 분담률은 철도가 13%, 도로가 87%로 도로교통에 많이 편중되어 있다. 이처럼 고속도로와 철도 등의 전용 인프라가 운영되고 있으나, 물리적인 이동거리가 만만치 않아 접근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인천대교 및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서의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동에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의 새로운 접근 수단으로 기존의 지상교통과 별개인 UAM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UAM은 승용차, 택시, 철도 등 기존의 지상교통 이동수단과 별개로 고객이 필요한 시점에 인천국제공항까지 이동할 수 있는 차별화된 수단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공항을 이용하는 여객은 항공기 운항 스케줄과 출국수속에 따른 시간이 정해져 있을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혼잡과 지연을 고려해 충분한 여유시간을 두고 공항에 도착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여행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및 출장 등 다양한 목적의 입출국이 혼재되어 있으며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이용객이 절대다수라 시간가치에 따른 지불의사가 높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에서 UAM 운영의 제약도 여러 가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이는 항공안전법에 저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천국제공항은 1,2 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동서 측에 활주로를 운영하는데 항공기를 제외한 물체의 터미널 접근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공항 반경 9.3km 이내에는 승인받지 않은 드론은 비행이 금지 (반경 3km 내 불법드론 출몰 시 항공기 운항 중단) 돼 있는 등 UAM이 공항에서 병행 운항하는 것은 상당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로, 기존 항공기와의 간섭을 해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UAM 만을 위한 다른 활주로를 도입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걸릴뿐더러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UAM에 대해 투자하기란 큰 리스크가 따르기 때문에 이 사항도 상당히 큰 골칫거리다. 구체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은 공항시설법에 따라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활주로를 중심으로 공항 주변에 장애물을 제한하기 때문에 UAM은 항공기의 장애물로 인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AM에는 수하물 탑재가 제한된 반면, 공항 이용객은 도심 내 이용자와 달리 많은 대형 수하물을 보유하는 특성도 있다.
그렇다면 UAM과 공항의 공존 전략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기존 항공기와의 간섭을 극복하고, 궁극적인 목표인 시간가치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UAM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중 가장 핵심 방안은 ‘인천국제공항 UAM 이착륙장 입지 및 규모 검토’이다. 국토의 서편에 위치한 공항의 특성 상 도심과 근접한 동측 지역을 UAM 이착륙장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기존 1,2 여객터미널의 접근 시간, 기존 인프라 활용과 장래 확장성, 투자비용 등을 고려해 입지 선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에서 UAM 공항셔틀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 중장기적으로는 기존 항공기와 병행 운항할 수 있는 항행안전기술의 축적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기존 항공기 운항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운행노선 선정, 이착륙장 입지선정이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수요예측 불확실성, 대규모 시설에 대한 투자한계, 공항운영 안정성과 상충관계 등의 문제점 해소도 필요해 보인다.
※ 참고문헌
박진서. (2023). 우리 곁에 바짝 다가온 UAM, 도심항공교통. 한국교통연구원
이상욱. (2023). 도시 관점에서 본 도심항공 교통체계 수용성. 한국교통연구원
이중현.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의 미래. 기술과 혁신. Special issue 01
2024-01-14
2000년대에 들어서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되었고, 도시의 성장을 전제로 한 외곽지역 위주의 개발 정책은 저출산·고령화 문제의 대응에 있어서 한계를 드러냈다. 따라서 이 문제들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새로운 도시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대안으로 '도시재생'이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와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특별법)의 제정 이후, 정부의 주도 하에 본격적으로 전국 각지에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어 왔다. 그로부터 한국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정착된 지 어느덧 10여 년.
지금까지 이뤄진 도시재생사업들은 도시재생의 본질에 맞게 추진되어 왔는가?
저자는 이 시점이야말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점검을 통해 위 물음에 대한 답을 결정할 때라고 본다. 하지만 1) 애초에 도시재생의 개념이 포괄적이라는 점, 2) 도시재생은 도시 공간의 장기적인 변화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가 성공 또는 실패라는 이분법적 분류 방식으로 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위 물음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도 필요한데, 저자는 이 설명부터 선행되어야 위 물음에 대한 답도 명확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체계와 이를 둘러싼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도시재생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우선 얻어보고자 한다.
도시재생특별법 제2조에 따르면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재생의 목적은 아래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1) 우선 도시가 보유한 자원들을 활용해 도시의 복합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있으며,
2) 주민, 민간·기업, 지원기구, 국가,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도시재생사업의 개입자가 되어 도시와 주민이 상생하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있다.
1)에서는 기존의 외곽지역 위주의 개발 정책과 비교할 때, 도시 성장의 속도 변화가 느려짐에 따라 '성장'이 전제에서 배제됨과 동시에 도시를 '유지'하기 위한 계획과 활동, 즉 '지속 가능성'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2)에서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각 주체가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면서도 주체들 간의 협력을 통해 도시재생 정책을 실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와 주민이 상생하는 '주민 생활 밀착형' 기반의 도시 모델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정부의 주도 하에 이뤄진 도시재생사업의 유형 분류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윤석열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우선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면적 권장 규모와 목표에 따라 아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은 면적 권장 규모, 목표 및 특성에 따라 아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도시재생사업 유형에 대한 정부의 방침은 위와 같으나 지역별로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유형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또한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에 포함하지 않았던 '전면 철거 후 재개발·재건축' 방식의 사업도 도시재생사업에 포함하기로 했다. 이처럼 도시재생사업의 범위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며 지역적 특성과 사업 방식 등의 관점에서 도시재생에 대한 해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과정은 사업 유형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모든 유형에서 공통으로 다양한 주체가 사업에 개입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주체의 개입에 따른 갈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갈등을 관리, 중재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다양한 주체의 개입은 민주적 의사 결정의 원리에 입각하는 행위임은 분명하고, 이를 통해 종합적이면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발굴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다양한 주체가 가진 서로 다른 목표를 하나의 결론으로 도출하기란 여간 쉽지 않다. 도시재생이란 공통적인 목표 하에서도 각 주체의 목표는 사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업 초기에는 협력보다 경쟁을 수반할 가능성이 잇따르게 된다. 따라서 중간조정자 역할을 하는 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량이 강조되지만, 여전히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시스템 구축 미흡,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등 여러 문제가 남아있다. 또한 다양한 주체의 지위에 따른 차이 역시 의견 교환과 사업 방향의 결정에 있어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도시재생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해법을 제시할 수 있으나 사업 초기라는 가정 하에서는 아래와 같은 해법들을 제시할 수 있다.
1) 각 주체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공감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지만, 사업에 대한 정보 부족, 참여 방법의 미숙 등으로 인해 공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주민들이 수동적이고 소극적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재생사업은 제대로 추진되지 못할 위험이 크다.
2) 각 주체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권한 행사 정도에 대해서도 고심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사례로써 기존 연구들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내놓았을 당시에 서울시는 점진주의적 방식, 즉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효과적인 도시재생 방식을 도출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시 내부에서 별도로 추진하고 있었으나, 정부의 개입으로 서울시의 도시재생이 다소 정형화, 획일화되는 결과를 포착했다고 한다(황희연,2021;구한민,2021).
그렇다면 정부의 개입 정도가 얼마나 되어야 하느냐, 역으로는 지자체의 자율성을 얼마나 보장해야 하느냐에 대한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사실 이 문제의 답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없다. 공공사업의 성격을 띠는 도시재생사업에서 공익적 가치를 중시하는 정부의 개입은 그 자체로 정당하며, 지자체의 입장에서 정부의 개입은 곧 사업에 대한 책임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 사례처럼 지자체의 입장에서 도시재생에 대한 다양한 경험적 데이터들을 얻기 위해서는 사업 권한을 행사하는 데 자율성도 어느 정도 주어져야 한다.
여담으로 위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도시재생'도 다양한 주체들로 구성된 하나의 시장을 형성한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도시재생의 실현 과정과 시장의 작동 원리가 어떠한 점에서 유사한지에 대한 설명도 시도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은 곧 도시재생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와 그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공·민간 자본으로 대응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자는 위에서 살펴본 시장 차원에서의 접근법처럼 도시재생에 대해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도시재생의 본질이 무엇이냐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거라는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이러한 접근법 중 하나로 도시 커먼즈와 도시재생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주목했다.
아직 '도시 커먼즈'란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는 않았으나, 이 개념의 핵심은 '다양한 주체가 공동체가 되어 도시공간을 소유, 이용, 관리하는 것'에 있다(유기현,2021). 여기서 주목할 점은 도시공간이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닌 공공재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하딘의 '공유지의 비극'에서 공유재는 누구나 사적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공유재에 접근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인해 언젠가는 고갈되는 자원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오스트롬은 공동체 차원의 자치제도로 공유지의 비극을 해소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그것을 입증함으로써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여기서 공동체 차원의 자치제도는 공유재의 사용에 대한 규칙이 일정 조건들을 만족하면 그것이 '공동체' 차원에서 제정돼도 공유지의 비극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에서 제시한 도시재생 성공모델을 살펴보면, 도시재생의 주체들은 주민/상인협의체, 사업추진협의회, 사업총괄 코디네이터, 도시재생 지원센터, 행정협의회, 용역수행주체로 총 6개가 존재하며, 이들은 의견, 정보, 자료 등을 공유 또는 수렴하는 형태로 그려짐을 알 수 있다. 이 행위들을 도시공간에 대한 규칙의 제정 과정으로 볼 때, 이 행위들을 통해 6개의 주체는 공동체 의식을 강화함으로써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오스트롬의 이론을 접목한다면 도시공간은 공동체에 의해 관리, 유지됨으로써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게 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이뤄진 도시재생사업들을 도시 커먼즈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성과를 도출했다고 볼 수 있는가? 그보다도 한국에서 도시 커먼즈를 전제로 한 도시재생사업이 가능했는가? 즉 도시재생사업의 개입자들은 모두 도시공간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며, 공동체 차원의 자치제도의 구성에 있어서 각 주체의 권한이 공정하게 행사됐으며, 각 주체는 경쟁보다 협력의 자세로 사업에 임하였는가? 저자에게 있어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은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실태를 드러내면서도 도시재생의 본질 중 하나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보인다.
※ 참고문헌
강현수. (2023). 도시 커먼즈 논의의 등장과 도시 연구에 주는 시사점. 국토, 506, 2-4.
유기현. (2021). 도시 커먼즈(Urban Commons) 실현의 한계 및 가능성. 공공사회연구, 11(1), 216-247.
이재경. (2021). 서울시 도시재생정책 분석 : 경쟁적 커먼즈 개념을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수정, 김용승. (2021). 도시재생 거버넌스 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동향 -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방향 제시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1), 5-8.
Talking & Thinking
아래 QnA는 위 글을 읽고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 저자의 생각을 밝힌 것이다. 독자들도 아래의 QnA에 대해 자신만의 답을 구상해보길 바란다.
Q1. 도시재생의 성과를 이분법적 분류 방식, 즉 성공과 실패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으로 생각해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1) 성공과 실패가 전부가 아닐 거란 생각과 2) 사업이 실패한 것 같다고 낙담하지 않고 성공한 것 같다고 방심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기간, 즉 시작과 끝이 존재하지만 그 사업으로 인한 영향은 계속될 수 있고, 도시재생의 목표 중 하나도 이러한 영향이 '지속 가능성'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물질적 지원이나 제도적 장치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기 위해서는 생각과 자세의 변화부터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Q2. 도시 커먼즈를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동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을 듯 하다. 공동체란 무엇인가? 그리고 하나의 공동체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
A : 공동체는 협의회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조직의 형태를 띠는 것일 수도 있고, 연대감이나 소속감과 같이 한 집단 내 구성원들의 의식에서 비롯된 추상적인 형태를 띠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에는 조직의 존재만으로 공동체임을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공동체의 유무 여부를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다만 공동체는 그 형태에 상관없이 구성원들이 서로의 의식을 표출하고 연대하는 행위를 통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추상적인 형태의 공동체라 할 지라도 구성원들의 행위를 통해 공동체의 유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동체의 번영을 목적으로 추상적인 형태의 공동체가 조직화되는 경우까지 고려한다면, 형태로 인해 분류된 공동체의 두 개념은 사실 별개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Q3. 다양한 협의회(주체)가 구성된 도시재생사업은 도시 커먼즈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A : 저자가 파악한 오스트롬의 '공동체 차원의 자치제도'에 대한 핵심 내용은 '서로에 대한 신뢰와 규제'이다. 따라서 다양한 협의회가 하나의 공동체로 되기 위해서는, 협의회들 사이에서도 사적 이익에 대한 과도한 추구를 서로 견제하되 서로의 역할은 존중하는 협력적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세를 실천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에서도 도시 커먼즈를 실현할 수 있다.
Q4. 이 글의 요지는 도시재생사업을 도시 커먼즈 관점에서 추진해야 바람직하다는 것인가?
A : 아니다, 마지막 문단에 제시한 질문들은 도시 차원을 넘어서 국내 사회 구조에 대한 논의로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주체가 도시공간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용할 수 있는 자산이란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자는 이 질문들을 통해 도시재생과 사회 구조를 같이 논할 수 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이 글의 요지이면서 저자가 독자들에게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도시재생을 도시 커먼즈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자발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도시재생의 본질을 알아내는 데에 있다.
인간이 생로병사의 과정을 경험하듯이, 지역도 “성장 → 침체 → 쇠퇴 → 재성장”의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역 간 발전격차는 고착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발전하는 지역은 더욱더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확보했지만, 저발전지역은 인구유출 등으로 지방소멸 및 인구감소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적 차원에서 지방소멸 및 인구변동의 주된 원인은 저출산이지만, 지역적 차원에서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인구유출입의 사회적 요인이다.
2040년, 기초지자체의 절반에 가까운 49.8%에 해당하는 896개의 지역이 소멸할 것이다”. 일본의 마스다 히로야는 2014년 ‘지방소멸-인구감소로 연쇄 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에서 인구감소에 따른 일본 지자체의 소멸을 예측하였다.
지방소멸을 사회적 이슈로 확산시킨 마스다는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의 흐름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청년층 중심의 지방의 인구가 3대 도시권(동경권, 오사카권, 나고야권), 특히 동경권으로의 이동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이동자 중에는 전체 출산력의 95%를 차지하는 20~39세의 여성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지방에서는 이들 여성의 대도시 유출에 따라 출산율이 저하한다. 한편, 대도시 입장에서는 청년층과 젊은 여성들의 유입으로 전체 인구는 증가하지만, 출산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지방출신자들의 부모는 대부분 지방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육아 등에서 부모의 지원을 받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아파트에 거주하는 청년층들의 경우 이웃과의 교제도 적기 때문에 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지방은 청년인구 및 젊은 여성의 유출로 인해 저출산으로, 대도시는 육아의 어려움으로 인해 초저출산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유념해야 할 점은 마스다의 지방소멸 및 인구감소의 핵심은 “인구의 재생산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방소멸의 주요 요인은 자연적 요인인 출산력보다는 사회적 요인인 인구이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지방소멸을 둘러싼 논쟁은 우리나라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수도권으로 향하는 지방인구의 행렬이 멈추지 않고 있으며, 특히 청년들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수도권은 과밀로 인해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고, 비수도권의 많은 지역에서는 일자리와 인력의 수급 불균형이 가속화되어 경제성장이 정체하는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의 이면에는 지방인구의 수도권 및 인근 대도시로의 유출로 인한 지방소멸의 그림자가 존재한다. 떠나는 사람과 비어가는 마을이 늘어나는 골다공증 국토구조로 변화하는 이유이다.
지방인구의 상당수는 소득, 고용, 교육 등의 기회를 찾아 대도시로 떠난다. 그중에서도 청년인구의 수도권 이동은 가히 폭발적이다. 비수도권의 지역민은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에 젖어있으며, 이로 인해기회의 균등, 정의가 부재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지역특위, 대통령 당선인 보고자료, 2022). 특정 지역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일자리의 양과 질이 다르고, 자산의 크기가 달라지고, 심지어는 혼인까지도 어려움을 겪는 현실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진행해온 지방소멸 방지전략은 그 원인에 맞지 않는 해결책을 제공해왔다. 대도시와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출산율 향상이라는 공통적인 정책을 추진해왔다는 점이다. 이에, 우리는 일본과 같이 지식재산,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는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지방소멸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지역 지식재산,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지적재산전략본부는 지난 6월 ‘2023년 지적재산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일본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중소기업۰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 활용을 강화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지적재산 추진계획 뿐만 아니라 지역지식재산 활성화 행동계획도 별도로 수립하고 있다.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도시학자로 그는 도시가 경제적 성공을 거둘 때 창조성이 큰 역할을 하는데, 이를 "창조도시"라고 표현 하였다. 이는 예술, 문화, 기술, 디자인 등 다양한 창조적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구와 기업들이 모여 창의적인 생태계를 형성한 도시를 의미한다. 리처드 플로리다는 경제 성장의 핵심 자산은 사람들로, 도시와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제 발전의 세 가지 T, 즉 기술(Technology), 인재(Talent), 관용(Tolerance)의 조화에 전략적 기반을 두고 모든 사람들의 창조적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플로리다는 도시의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창의성과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초저출산۰고령화로 위기를 맞은 지역에 창조적 잠재력과 관련한 지식재산이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지식재산이 중심이 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소멸을 대비하기 위해 종적인 측면은 사회정책적 관점에서 저출산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고, 횡적인 측면의 문제는 취업, 일자리, 교육 등 인구 유치를 위한 지역 매력 창출이 주요 시책이 되어야 한다. 인구가 유출된 소멸 지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출생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서울 등 대도시 지역은 초저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횡적인 측면에 무게를 둔 정책방향의 전환 아래, 분권적 차원에서 지방소멸 지역 스스로 지역 특성에 적합한 시 책을 개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대해 국가는 지방소멸 지역에 대한 행·재정 특례뿐 아니라, 특별한 재원 지원을 포함해서 지자체별 인 구분석의 토대가 되는 통계 시스템을 구축, 제공해야 한다. 소멸 지역에 대한 복수 주소제 허용을 포함해서 지방소멸 지역에서의 기업활동에 대한 조세 감면 뿐 아니라 현재 불안정한 균특법 개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방소멸 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허문구, 2019, “고령화시대의 인구구조 변화와 지역성장 변동경로”, I-KIET 산업경제이슈 제 69호, 산업연구원, p.4.
차미숙·최예술·조은주, 2022, 지방소멸 대응 정책 방향과 추진전략, 국토이슈리포트 제57호, 국토연구원
국토교통부, 2021.4.4., ‘농산어촌 주거플랫폼 조성’ 속도낸다...국가 균형발전 견인. 보도자료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 2022, 지역균형발전 전략과 과제, 대통령 당선인 업무보고 자료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일본 지적재산추진계획 2023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2023-12-24
지방분권균형발전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지역균형발전'은 지역 간 발전 격차를 줄이고 지역의 자립적 발전역량을 증진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여 전국이 개성 있게 골고루 잘 사는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어느덧 반세기에 거쳐 지역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하였는데 크게 두 개의 패러다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균형발전 1.0 정책 패러다임(1962~2003)의 시작은 다음과 같다. 1962년 '경제개발5개년계획'수립을 시작으로 자립적인 경제기반 구축을 목표로 성장과 개발 정책을 지향하였다. 이 정책 추진 과정에서 수도권 과밀과 지역 간 격차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후 우리나라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주요 난제로 고착화되었다. 중앙정부 주도로 수도권 유입 억제 시책 및 낙후지역 지원시책을 중심 추진전략으로 내세웠지만 성과가 없이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둘째, 균형발전 2.0 정책 패러다임(2003~현재)은 2003년 참여정부가 균형발전정책을 최상위 국정과제로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분산, 국가경쟁력 강화를 이슈로 선정하였고, 중앙정부가 주도하지만 지역 주도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균형발전뿐만 아닌 자치분권 또한 각 정부 별 법을 개편하며 자치분권의 확대를 위해 제도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이처럼 지역균형발전정책은 꾸준히 시행되었는데 2015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GRDP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2019년 수도권 인구 비중이 비수도권 인구 비중을 추월하는 등 수도권 과밀과 지역 간 격차 문제는 오히려 더 심화되는지가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이는 균형발전 정책의 정책적𐤟구조적 한계가 분명히 있음을 보여준다. 정책적 한계로 1.중앙집권적 균형발전 정책 , 균형발전 정책을 지방정부가 아닌 중앙정부 중심으로 추진하다보니 지역이 체감하는 정책성과 미흡하게 되어 지역 맞춤 정책이 시행되지 않는 것이다. 2. 일관성 및 지속성 미흡, 3. 정책적 의지 부족, 이 두 개의 원인은 곧 정부의 역설적인 정책 시행이라 할 수 있다.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균형발전 정책을 선정하였지만 참여정부시기 '18개의 신도시 건설'과 문재인정부의 '수도권 3기 신도시 건설'그리고 지난 블로그 주제였던 '메가시티 서울'까지 공존할 수 없는 두가지를 동시에 지향하며 수도권 집중화 문제를 더욱 악화하고 있다. 구조적 한계는 1. 지식,정보의 수도권 집중으로 비수도권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역량이 미흡하다는 점 2. 자산의 공간적 격차 3. 공간분업형 산업생산 체계로 인해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점 등이 균형발전 정책의 한계이다.
20년간의 균형발전정책이 역행이 아닌 전진을 할 수 있도록 지조있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윤석열 정부는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를 토대로 4대특구를 만들어 지방시대를 본격화하고 있다. 기회발전특구, 교육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로, 기회발전특구는 파격적인 세제 혜택으로 수도권 기업을 지방에 유치하고, 교육발전특구는 지역과 대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우수한 인재를 성장하는 것을 돕고 정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문화특구는 지역별 특색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의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도심융합특구이다. 중앙부처의 추진에서 벗어나 지방정부가 지역의 특색에 맞춰 특구의 기본방향 및 산업육성방안을 설계하도록 하며, 기존 교통과 문화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지방 대도시에 일자리(산업)와 삶(주거), 여가(상업및 문화) 즉 직주락 도시를 형성하겠다는 포부다.
저자는 도심융합특구에 지역균형발전 성과를 기대하는 바이다. 균형발전의 시작은 '지역주도성'이라고 생각한다. 지역에 책임만 넘기는 것을 넘어서 권한이 이양되어 각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활용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 인구감소시대에 공간을 확장해 인구를 분산하기보다는 공간 내부를 체계적으로 재편해 고치고 채우는 방식으로 도시재생적인 관점에서 컴팩트시티를 구축해나가는 직주락 도시형성에 최적의 방안일 것이다. 이렇게 지방 대도시 및 중소도시를 저마다의 특색에 맞게 형성하고, 지방도시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공공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도시와 대도시를 잇고 마침내 서울로 향하는 광역교통에 수조 원이 투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이면에는 지역 내 공공교통 인프라 축소 및 환경생태 파괴로 인해 생활교통망은 처참히 무너지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구 및 경제가 수도권에만 쏠리는 것이 아닌 전체적으로 순환이 되도록 하기 위해선 서울을 목적지로 두는 것이 아닌, 소멸위험지역인 출발지에 초점을 맞춰 소멸위험지역이 가까운 소도시로 이동할 수 있는 대중교통망을 최우선으로 구축하고, 그 후 가까운 소도시들간의 대중교통망과 지역간 대중교통 연결을 시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앞으로 5년간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을 토대로 균형발전정책이 이어질 것이다. 이번 정부 역시 '메가시티 서울'과 같이 역설적인 제안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이 시점에서 한가지를 선택하고 전진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지역 간 발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답은 명확히 나와있다.
※ 참고문헌
김재훈.(2022).지역균형발전 이론과 정책의 패러다임 대전환.지역사회연구,30(3),23-60.
박성현.(2023).[심층취재] 메가서울이 일으킨 지역균형발전 ‘나비효과’ : 잘못 탄 기차가 목적지에 데려다준다?.월간중앙,(),66-70.
조은주. (2023). 지역균형발전 / 지방자치분권. 국토,, 46-47.
송우경.(2023).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법 제정 의미와 주요 내용.월간 KIET 산업경제,298(),7-16.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급속한 발전을 이룬다. 60년도 133만원 수준인 국민소득이 22년 3,642만원으로 상승한 것만 보아도 대한민국의 경제 수준은 급속도로 발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성장의 과정엔 빠른 산업발전을 위한 국토종합계획이 있다. 정부주도의 국토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국토종합계획은 1960년대 1차 계획을 시작으로 현재 5차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어왔고 국가중심의 국토계획은 농촌사회에서 도시사회로 이끌었으며 도시화율 90% 초과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국토개발은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소외 등의 복합적인 문제 또한 초래하게 되었다. 초래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수도권 인구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했지만 오히려 수도권 집중은 더욱 심해지는 추세를 보여 실패한 정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속되는 수도권 인구집중의 심화는 우리 도시에서 수도권의 주택부족 문제를 야기했고 현재에도 전국과는 다르게 수도권의 주택부족 문제는 심각하게 나타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1,2,3기 신도시와 대규모 택지 계발 등을 통해 주택을 공급했지만 이런 행태는 오히려 지속적인 수도권 과밀과 집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수도권 거주자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해 고밀도 개발을 통한 집적의 이익을 더욱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수도권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함과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전국단위의 택지개발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상충하여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주택가격의 변동은 금리, 규제,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적인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주택가격 변동은 인구이동과 인구분포에 의해 결정된다. 실제로 국토면적의 11.8%인 수도권에 전국민의 절반이 살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의 주택은 언제나 부족하다. 특히, 인구구조의 변화와 인구유입으로 인해 2021년 전국 주택보급률이 102.2%인데 반에 수도권은 96.8%로 매우 떨어져 있고 이는 실질적인 주택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택공급이 부족할 정도로 수도권의 인구유입이 많다는 뜻이다. 사람이 많아 수도권의 주택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데 비해 공급은 제한적인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23.09 주택종합 매매평균가격을 확인하면 서울(88,981만원)과 수도권 (61,135만원)은 매우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반면 인구유출과 감소가 진행된 5개 광역시와 기타 지방의 경우 각 32,702와 22,606만원으로 눈에 띄게 격차가 벌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택가격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이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를 크게 직업요인, 교육요인, 주택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이들은 상호연관적이며 상호보완적이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직업요인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고용자수 차이가 추가적인 주택공급을 유발하고 교육요인에서 대학교와 학과의 개수 또한 수도권으로의 유입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실제로 조사해 보았을 때 시가총액기준 대한민국 100대 대기업 본사의 위치는 수도권 78개 비수도권 15개 (7개:ETF 및 우선주)로 고용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 대학의 위치도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고용기회 및 교육기회의 차이가 지속적인 수도권의 인구유입의 요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주택요인의 경우 추가적인 주택공급이 당연하게도 인구유입의 큰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런 요인들로 인해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며 주택부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추가적인 수도권의 주택공급은 오히려 유입요인이 되어 또다시 수도권의 인구가 집중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단순히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택지개발을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또 다시 같은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주택난의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전국-서울 장기주택매매가격지수 그래프를 보면 과거 비교적 낮은 가격을 형성하던 서울 주택이 200만호 공급의 10년 뒤인 02년부터 전국을 앞서고 큰 격차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택가격에서의 이러한 격차는 국가로 하여금 수도권의 부동산의 유무에 따른 빈부격차를 발생시키고 부동산을 투기 목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주택부족문제에 대한 급진적인 공급위주의 대책은 그 부작용으로 엄청난 교통혼잡비용과 환경문제등의 도시문제를 초래했으며 서울권, 1기신도시를 필두로한 노후주택들의 재건축 및 재정비 사업의 진행도 더디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주택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선 근시안적인 해결책보다 국가균형발전과 도시재생 및 지방의 축소도시화 등 장기적인 대책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국가균형발전은 꾸준히 언급되어왔고 정책적으로도 명시가 되지만 현재의 결과로는 실패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국가균형발전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될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하고 국가차원에서 고용-교육-주거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용부문에서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법인세, 상속세 등 조세 감면 정책과 규제혁신제도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지정하고 조성할 필요가 있다. 전국단위의 균형발전을 이루는 것이 과밀로 인한 문제와 수도권의 주택시장 불안정을 완화해 안정을 되찾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각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을 고려한 지역별 산업 진흥정책, 인프라 구축이 완료된 광역권 도시들 위주의 발전 정책 등이 해당 된다.
물론 주택시장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어느하나의 뾰족한 방안으로 수도권 주택문제와 전국균형개발을 진행하기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수도권 집중이 주택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 혼란과 환경 교통 등 도시문제들을 유발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임으로 정책결정자들과 도시계획가, 부동산관련인 등 각계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시각을 벗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와 국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 참고문헌
김리영, 양광식. (2013).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3), 1-19.
박제인, 장훈, & 김지소. (2008). 서울대도시권 인구집중의 공간적 연관성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28(3D), 391-397.
이영은, & 안정근. (2003). 수도권 권역별 주택수요 분석. 국토계획, 38(6), 61-74.
천현숙·김갑성 ·김정수·박환용·황희연. (2002) 수도권 주택건설과 인구집중. 새국토연구협회
2023-12-08
현재 우리는 자동차 과포화 시대에 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도시화와 교외화 현상이 자동차의 수요를 꾸준히 증가시켜 왔다. 전 세계적으로 한 해에 약 8,000만대의 자동차가 팔리고 있고, 전기차 시장 또한 입지가 점점 커지고 있어, 2025년에는 세계 자동차 판매량이 9,700만대까지 수요가 기록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05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했고, 그로 인한 도로 연장사업도 꾸준히 확장해왔다. 그러나, 도시 내 토지가격의 상승, 교통시설의 포화 등으로 인해 더 이상의 수평적인 도로의 확장은 한계에 다다른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국내⦁외 대도시에서는 지하도로 사업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사업의 추진과 운영 중에 있다.
지하도로란 ‘도로 등의 지하에 보행인 및 차량 통행을 위하여 설치된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행 수단, 법적 근거에 따라 지하차도, 지하도, 터널과는 차이가 있다. 지하도로는 도로 시설의 공급과 도로 공간의 활용, 두 측면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도로 시설의 공급 측면은 2가지 유형의 사업 방식이 있다. 도로를 입체적으로 확장하는 방식,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방식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기존 지상 도로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유지한 채로, 입체적인 확장을 진행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통행을 분리할 목적으로 지하에 신설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목적과 효과가 다르나, 도로 시설공급 측면은 지상 도로의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주요 이점을 가져온다. 기존 도로를 지하화하는 경우는 용량 부족 해소의 효과도 있겠으나, 기존 고속도로가 도시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될 때, 이를 지하화하여 상부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이 실시된다. 본 글에서는, 국토⦁도시계획적 요소에 치중하기 위해, 기존 도로를 지하화하는 유형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정리해보았다.
외국 선진 도시들은 상부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이를 지하화하여, 상부의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을 이미 선택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미국 보스턴 Big dig의 경우, 보스턴 외곽과 도심을 연결하는 기존 고속도로를 지하화함으로써, 많은 효과를 거두었다. 시내와 수변 공간을 단절시킨 고가 고속도로를 철거하고, 이 상부 공간에 45개의 공원, 광장을 조성하고, 26,000그루의 나무를 심어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을 통해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사업 전 대비 12%나 감소시켰다. 스페인 마드리드 M30의 경우, 내부순환도로의 지하화 사업을 통해 주변 공간을 공원과 같은 환경 복원으로 활용하였고, 이로 온실가스와 소음도를 저감시킨 효과를 거두었다. 이를 단순히 환경 부문에만 한정된 이점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도로가 갖는 공간적 의미를 생각해보면, 사업을 통해 도시 간 단절 문제를 해소하였고, 이는 곧 경제적 활성화 측면의 이점까지 이어졌다. 언급된 배출가스, 소음, 녹지화, 경관, 접근성과 같은 환경, 도시 부문 뿐 아니라 교통 부문에서도 많은 이점이 존재한다. 교통량 분산에 따른 소요 시간 단축, 교통체증 완화, 운행 비용 절감, 혼잡 완화로 인한 통행시간의 신뢰성 향상, 도로 직선화로 인한 사고 비용감소 등의 이점이 있고, 상부의 공간에 대중교통 인프라를 확대하여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고려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많은 계획, 실시에 있다. 2021-2025년에 해당하는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을 보면, 경제성장, 쾌적, 편리한 고속도로를 목표로 4가지 구축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 방향에는 다음이 포함되어 있다: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수평적, 입체적 확장 방안 (지하도로 건설의 활용), 지역균형 발전을 선도하기 위한 접근성 개선. 특히, 도시계획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도심개발 등으로 수평적 확장이 어려운 구간은 지하도로 등 입체적 활용을 통해 교통혼잡 해소하고, 확장을 통해 생기는 여유 공간은 버스전용차로 확대 등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는 현재 추진중인 경인 고속도로 지하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해당 구간의 지하화를 통해 도심 한 가운데를 관통함으로 발생했던 지역 단절 문제 해소 및 도심 재개발과 재생 사업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음과 공해로 인해 악영향을 받던 인근 주거 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입체적 확장, 도로 지하화에 초점을 둔 도로 사업들이 향후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이고, 많은 신규 사업들이 구간별로 점차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하화 사업에는 여러 관점에서 생각해봐야 할 요소들이 있다. 우선 투자 방식이다. 정부에서는 한정된 재정 여건의 보완,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의 해소, 사회기반시설의 적기 확충, 경제 활성화의 목적으로 민간투자와 관련된 계획과 재원 조달을 유치하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투자 방식보다 개통 후 운영 방식에 대한 정부의 계획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민간 자본에 의한 공사 규모, 차고, 향후 통행료 책정, 징수 방식 등에 관한 정립과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두 번째로는, 안전 문제이다. 지하도로의 기하 구조상, 진입 시 우회가 불가능하다. 또한, 전방의 사고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운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화재 등 사고 발생 시에 대규모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있다. 한국 도로 공사에서 정리한 방재, 안전 대책 자료에 따르면 소화설비, 경보설비의 기준이 엄격하게 적용되어 있긴 하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이 더욱 추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부 간선 지하도로의 경우, 지하수를 배출하는 배수펌프의 고장으로 적은 우천량에도 도로가 전면 통제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지하도로는 이런 특수 상황에 대비한 메뉴얼도 정립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는 기술적인 부분이다. 2015년에 실시되었던 심도 50m의 인천북항터널의 경우 일부 구간이 아파트 단지 아래를 관통하였다. 이 과정 속에 300번이 넘는 발파가 진행되었고, 공사 당시 아파트와 인근 지역에는 공사에 의한 엄청난 진동과 굉음이 그대로 전달됐다. 공사는 마무리 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올해 여름 아파트 곳곳에서 균열이 일어났고, 지반 역시 기울어진 상태였다. 결국 아파트 단지에는 40cm가 넘는 싱크홀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관련해 소송이 이루어졌고, 국토부와 시공사 포스코 상대의 청구 소송에서 패소했다. 그 이유는 터널 착공이 원인이 아닌, 아파트 시공 당시 설계적인 결함으로 법원은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8월 터널환경학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발생한 지반 침하는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입과 토사 유실 때문이라고 밝혔고, 이는 많은 파장을 일으켰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 활성화, 상부공간의 활용이란 명목 아래 많은 지하도로, 터널 사업이 실시 예정에 있고, 그 중 많은 구간들은 주거 단지를 관통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공사 기간 동안 인근 주민과의 합의, 지반 구조에 대한 고려, 기술적 타당성 확보, 안전성 측면의 검증이 먼저 이루어진 뒤 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지상과 지하도로의 분기점에서 발생하는 유령 정체, 차고 제한에 따른 교통류의 쏠림 현상 등에 대한 부분도 생각해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지하도로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해외 우수 사례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법, 제도, 정책적인 부분과 관련 기준들의 체계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매뉴얼과 같은 부분들이 속히 정립되어야 할 것 같다.
※ 참고문헌
최정호. (2016). 대도시 교통혼잡의 매력적 대안, 대심도 지하도로 건설. 대한토목학회지, 64(8), 33-37.
김낙영, 김홍종. (2012). 지하도로 관련 해외 사례 분석. 지반환경, 13(5), 13-21.
국토교통부_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한국도로공사_지하 고속도로 안전·방재 대책
국토연구원 김민준_지하도로 사업 효과 분석 방안 및 실증
2023-11-30
스마트도시에 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된 요소를 기준으로 정의하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시공간에 적용하여 도시시스템을 개선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과 행복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도시계획과 도시비전’이다. 특히 스마트도시는 다원화된 수요에 지능적이고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도시체계이다.
현재의 스마트도시 사업들은 다양한 형태의 ‘시민’과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스마트도시에서는 시민 참여를 통해 스마트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각 도시환경에 맞는 시민참여 활동을 통해 스마트도시의 비전과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시민참여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감을 강화시키기 위한 수단(이기우, 1997)이며, 다양한 도시문제를 심도 있게 거론하는 시민여론(권용우, 2004)이고, 지역에 대한 인지도 향상을 위한 꾸준한 노력으로 간주되며(이재준 외, 2007; 이재준 & 이도영, 2012), 시민참여는 지방자치단체의 계획 및 정책에 관여하여 정책결정에 정당성과 합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지방화와 분권화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 그 필요성이 논의되기도 하였다(양재섭 & 김태현, 2011).
우리사회의 국가 주도적 스마트도시 추진 프로젝트인 세종시 스마트도시 프로젝트와 부산의 스마트도시 추진 사업 역시 공통적으로 ‘시민 수요적’이며 ‘시민 참여적’인 스마트도시 추진 과정임을 강조한다. 세종시와 부산시 모두 ‘스마트도시 시민 커뮤니티’를 통해서 도시가 직면한 문제를 시민들과 함께 해결하기 위한 커뮤니티를 구성하거나, 스마트도시의 가치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참여적 시민을 주요 행위자로 선정한다. 시민중심의 참여형 스마트도시로 발전하기 위하여 도시는 다양한 형태로 시민참여를 유도하고, 공유경제를 통해 도시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시에서 동네 단위에서 실천되는 서울시 독산4동의 ‘행복주차 골목 만들기’, 서울시의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사례 등은 시민 중심의 참여형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정부와 시민들의 노력의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리빙 랩이란 ‘사용자가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 참여형 혁신 공간’을 의미하며 기술을 활용해 생활 속 지역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또한 과학기술을 사용해도 지역 사회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때, 시민 또는 주민들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더 필요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많은 과학기술 연구 개발은 수용자 요구보다 기술 발전의 속도를 예측하며 이에 대응하는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과학기술이 발전했지만 고령화와 안전 및 환경과 정보격차 등 사회문제는 해결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리빙 랩을 사용하면 사용자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 반응을 즉시 수집해 문제 해결에 반영할 수 있다.
시민참여의 특징 첫 번째로는 시민 스스로 만들어 가는 정책으로서 시민 스스로의 지역 환경에 대한 관심과 향토애,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지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시민참여에 의한 지역 환경 가꾸기는 지방화 시대에 있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지역 만들기를 통해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시민참여의 특징 두 번째로는 통상적으로 주민이 행정기관이나 관료들의 정책결정 과정에 주체의식을 갖고 참여하여 투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크게 도시계획이나 지역계획의 수립과 같은 공적인 계획 입안에서부터 사업 집행까지 이르는 다양한 참여방식이 있을 수 있다.
시민참여의 효과로는 정책의 결함 보완, 성과에 대한 이해 증진, 정책 순응의 효과 존재, 소수자의 권리보호 및 이해기반 증진과 상호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행정운영 가능 등이 있다. 한계점으로는 주민 자질의 부족, 참여비용과 주민대표성의 한계, 행정력 낭비 등이 있다. 참여의 주체로는 지역시민 (마을주민), 지자체 (공무원), 전문성을 가진 단체 (기업), 전문가 (교수)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많은 지자체에서는 시민 참여를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주민참여 마을계획,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주민참여예산제, 시민배심원제’ 등 거버넌스 행정모델 등으로 실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는 각 지자체의 도시 관련 부서별로 사업 대상지에 대한 시민참여 기안을 한 후, 결재를 받고 공모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지자체에 관심이 그렇게 많지 않다면 지자체 홈페이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홈페이지에만 공고를 올릴 것이 아니라 요즘 청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SNS와 지역방송 등으로 홍보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해당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활동 유도 방안으로 활동일지 작성과 검토가 있고 정기 회의를 수시로 개최하여 공무원과 사업자 및 기획단의 대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기획단의 경우 전문성이 떨어지기에 공무원과 사업자의 검토 및 보완 설명을 듣고 공무원과 사업자는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활동 조건을 세운 뒤 이에 상응하는 활동 수당을 사업 예산의 일부로 지급하는 것도 참여 유도 방안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통합을 중심에 두고 있는 현대 도시계획에서 '시민 참여'는 도시계획의 과정에서 중요한 측면이라고 생각한다. 시민들은 도시의 주요 이해 관계자로 간주되어야 하며,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참여의 기회를 보장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계획 프로세스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여러 제도와 메커니즘을 더 활성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거지 구역의 선정부터 공공시설의 위치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 참고문헌
스마트도시의 사회적 쟁점과 서울시 정책과제. (2019). 변미리 외. 서울연구원
지역환경계획 추진 방향에서의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2007). 이재준. 국토지리학회지. 177~188p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시민참여 방안. (2005). 이재준. 한국토지공사. 토지와 기술. 51~66p
2023-11-26
지방소멸의 위기가 가중되면서 자생력을 지닌 지방 정부 출범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간 행정 구역 통합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십 년 동안 국내 도시에서는 행정 통합과 메가시티의 형성이 주요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시군 자율통합 1호로 창원과 마산, 진해 3개 시를 통합해 2010년 출범한 통합 창원시이다.
수도권 대도시를 제외하고 유일한 인구 100만의 기초자치단체이자, 경남 인구와 경제력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메가시티'로 도약했다. 한때 대한민국의 메가시티는 주로 수도권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통합창원시와 같은 지방도시에서의 도시화와 지방 행정통합은 새로운 시각으로 메가시티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다. 3개 시 통합으로 창원시는 인구 약 110만 명, 면적 747㎢, 예산규모 2조 3000억 원, 지역 내 총생산(GRDP) 33조 원이라는 메가시티로 올라서며 광역시 못지않은 도시 규모를 자랑하게 됐다.
하지만,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23년 10월 현재 인구는 108만 1499명에서 23년 10월 현재 101만 820명으로 줄어들었다. 통합 10년이 지난 2020년 평가에 따르면 재정자립도는 45.4%에서 36.7%로 낮아지고, 수출액은 34% 감소했으며, GRDP와 경제성장률도 경남도 및 전국평균보다 낮았다. 이 때문에 3개 시로 재분리하자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됐고 실제로 마산시 분리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또한 자율 통합 1호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정부에 의해서 정치권에 의해서 억압되었던 통합이었기 때문에 시민들이 통합에 대해서 초기에 굉장히 반발이 거셌다. 더해서 시 명칭에서부터 청사 위치 통합 초기부터 시작된 지역 갈등은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지금 국내에서 전개되는 메가시티 논의는 취지와 목적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다는 게 문제이다. 행정통합론만 난무하고 있는 것이다. 여당에서 제기한 서울의 김포 흡수론은 주변의 과천·광명·고양 등까지 번졌고, 경기도에서는 찬반 논란이 빚어졌다. 여당은 서울과 부산, 광주를 기점으로 한 '3축 메가시티'까지 들고 나왔다. 충청권도 메가시티를 싸고 고민이 깊다. 대전·세종·충남·충북을 인구 560만 명의 메가시티로 묶어 수도권에 필적하는 경제권을 만들자는 여론이 있기 때문이다. 4개 시·도는 '준비된 메가시티, 충청시대 선포식'을 가졌고, 충청권 지방정부연합 출범도 예고했다.
가장 큰 문제는 '메가시티=도시통합'인 것처럼 비치고 있다는 점이다. 다수 국민들이 왜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의아해하고, 특히 지방에서는 인구 감소로 소멸위기에 처한 지방 살리기가 더 급하다며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59곳(25.8)이 소멸위기에 처해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의 50.6%가 몰려 거주하고 있는 집중국가이다. 지방소멸의 진앙지인 수도권을 분산하는 등 지방 살리기 노력이 더 급하다. 지역소멸에 대응하고 균형발전을 위한 메가시티가 총선 의제가 되면 논쟁도 풍부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시민은 소외돼 방관자로 몰릴 수 있다는 점이다. 뭐든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시민과 함께 방향을 만들어가야 한다.
메가시티는 여러 도시의 기능과 역할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이다. 통합 창원시처럼 취지와 목적을 고민하지 않고 행정통합에만 몰두하면 마이너스 시너지 효과만 나타날 것이다.
정리하면 통합 창원시의 사례는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방정부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메가시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현재, 적절한 취지와 목적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행정통합만을 강조하는 것은 순서에 맞지 않다. 시민의 참여와 고민을 더욱 반영한 방향성이 필요하며, 정부는 이를 통해 균형 발전과 지방 정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박종호(2023) 정책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을 통한 정책변동 과정 연구 : 여수·순천·광양시 통합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민병익(2015) 행정구역 통합 후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인식 변화의 원인 분석
※ 참고출처
KOSIS 국가통계포털
창원시 빅데이터포털
2023-11-19
‘메가시티(Megacity)’란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기능적으로 연결된 대도시권으로, 인구 1000만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지칭한다. 국가의 경제적 성장과 지역의 발전을 위해선 도시 경쟁력이 필요하며, 전 세계적으로 도시권 발전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규모 경제의 효과를 지닌 메가시티 형성이 진행 중인 추세이다.
서울의 경우, 마곡문정지구 도시개발을 끝으로 개발잠재력이 있는 공간 수요가 부족하여 도시 경쟁력이 한계에 다다랐다. 이에 서울 확장의 필요성을 느끼며 ‘메가시티 서울’ 추진 당론이 제기되고 있다. 메가시티 서울이란 광명, 과천, 김포와 같은 서울 연접 도시들이 서울시에 포함되었을 때 확대된 행정구역을 갖는 서울시를 지칭한다. 2000년대부터 대수도론 (김문수), 광역서울도 (남경필) 등의 메가시티 서울 관련 논의가 있었지만 진척되진 않았다. 최근 여당에선 김포의 서울시 편입을 당론으로 채택하며 다시 한번 메가시티에 대한 이슈가 붉어졌다.
김포의 서울시 편입 추진 배경은 다음과 같다. 올해 경기도지사는 경기도 내 경제 불균형을 해결하고자 북부와 남부로 분도하여 경기 북부의 경제 활성화, 인구소멸 대응, 규제 완화를 위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김포의 경우 한강으로 인해 경기 북부와 단절되어 있으며, 인천시 계양구로 인해 경기 남부와 단절되어 있어 지리적 위치가 애매한 상황이다. 이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처음 구상할 당시에는 김포시를 제외하는 등 김포시 포함 여부를 제대로 협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포시장은 2023년 10월 19일에 “김포시 경기북도 대신 서울시 편입 추진” 입장을 발표하였고, 이어 10월 30일에 여당에서 “김포시의 서울 편입” 추진을 당론화한 것이다.김포시는 현재 서울시의 통근인구비율이 높으며, 김포골드라인 혼잡 등 출퇴근 대중교통 문제등을 언급하며 서울 편입시 생활권과 대중교통 측면의 편익 발생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통계청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김포시 인구(12세 이상) 중 서울 통근통학인구 비율은 24.2%로, 서울시 연접도시 12개 중 9위에 해당하며 통근통학인구 비율로만 본다면 김포시의 서울 편입 근거는 부족한 수준이다. 또한 교통여건 개선방안으로 지하철 5호선 연장 추진에 대해선 김포가 서울시로 편입시 5호선이 광역철도에서 도시철도로 변환됨에 따라 서울시의 사업비 부담이 가중되며, 현재 서울시 추진 철도사업으로 목동선, 면목선 등 경전철 관련 사업이 약 10개 예정되어 있어 적극적으로 나서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외에도 특별시 행정조직에 따른 개편 필수, 입법 절차 필수, 서울 도시기본계획 재수립, 법률 제정 등 복합한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현실화되기까진 수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김포의 서울시 편입 추진이 이슈화됨에 따라 광명과 과천 등 서울 연접 도시들의 추가 편입 가능성이 거론되며, 보다 종합적으로 메가시티 서울에 관련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여당이 불러일으킨 ‘메가시티 서울’ 파장의 이면인,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지방소멸 및 내부 식민지 현상도 현 상황에서 놓쳐선 안 되는 논의이다. 헌법 제 119조와 122조는 균형있는 국민 경제의 유지와 이의 공간적 과정으로 국토 균형의 형성에 관한 국가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다.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내 공간 전략으로 ‘다중심 국토공간’ 조성을 위해 지역발전 방안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내용 또한 지방분권-균형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을 대규모 권역별로 묶어 균형발전을 하겠다는 계획으로, 즉 균형발전을 위해 메가시티론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메가시티론의 취지에 벗어난 ’메가시티 서울‘ 추진이 한국의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기능을 더욱 악화시키며, 지역균형발전에 어긋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구심이 드는 바이다. 도시개발은 당장의 변화를 목적에 두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수행해야하는 영역이므로 ’메가시티 서울‘을 계획하는데 있어 향후 미래를 예측하고 분석하여, 수도권 집중화, 지방소멸등의 도시 문제 해결 가능 여부를 보다 면밀히 분석 후 수행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강현수.(2019).알기 쉬운 제5차 국토종합계획 .국토연구원 ,4-15.
김정환.(2022).해외 초광역 메가시티 추진 사례와 시사점.산업입지연구소 , 1-8.
강준만.(2015).지방 식민지 독립 선언.개마고원, 1-34.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