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박용호 학생이 학부인턴생으로 iMSD 연구실에 합류하였습니다. 환영합니다!
2025.08.19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coustics (ICTCA) 참석
현재엽 교수와 박상욱 석사과정생이 2025년 8월 18일~22일 부산에서 열린 ICTCA에 참석하였습니다.
박상욱 석사과정은 "Inverse design of electrode patterns for multi-point acoustic focusing via level-set topology optimization"의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2025.07.28
Our paper entitled "Inverse design of free-form piezoelectric electrode patterns for ultrasound focusing via topology optimization" has been accepted in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이 연구는 초음파 에너지의 정밀 초점 형성을 위해서 압전 트랜스듀서 전극패턴의 위상최적화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전기적 경계조건에 대한 새로운 형상 매개변수화 기법을 바탕으로 기존의 렌즈 기반 방식이 지닌 에너지 손실과 초점 제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iMSD 연구실 박상욱 석사과정생의 두번째 1저자 논문입니다. 노력의 결실을 축하합니다!!
2025.07.17
Our paper entitled "Gradient-based shape optimization of induction welding coil for thermoplastic composites via level-set method" has been accepted in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이 연구는 열가소성 복합재 (Thermoplastic composites)의 고-비등방성을 고려하여 열 집중을 균일하게 만드는 유도 용접 코일의 레벨셋 기반 형상 최적화 기법을 최초로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Alicia Kim 교수님과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의 Michel van Tooren 교수님, Darun Barazanchy 박사, Jaspreeet (Jessie) Pandher 박사와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2025.06.23
Our paper entitled "Connectivity constraints for eigenvalue reduction in level-set topology optimization" has been accepted in Computers & Structures
이 연구는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낮추기 위한 레벨셋 위상최적화 기법을 다루며, 고유진동수 최소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 단절 및 비물리적 해석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성 제약조건(connectivity constraint)을 도입하였습니다.
특히, 본 연구는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Alicia Kim 교수님이 이끄는 M2DO 연구실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으며, 1저자인 Giacomo Bonaccorsi 박사가 M2DO에 방문연구원으로 있던 시기에 함께 수행한 뜻깊은 협업의 결과입니다.
2025.05.29
한국비파괴검사학회 (KSNT) 2025년도 춘계 학술대회 Professional 세션 초청 발표
현재엽 교수가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5년도 춘계 학술대회에 참석하여, "포노닉 메타구조의 시뮬레이션 주도 역설계" 의 주제로 Professional 세션 초청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5.05.18
The 16th World Congress of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WCSMO-16) 참석
현재엽 교수와 박상욱 석사과정생이 2025년 5월 18일~23일간 일본 고베에서 열린 16th World Congress of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WCSMO-16)에 참석하였습니다.
박상욱 석사과정은 "Level-set topology optimization of electrode patterns of a planar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ultrasonic focusing"의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M2DO 연구실 (https://m2do.ucsd.edu/)의 Alicia 교수님 및 오랜 동료들과 재회하여 활발한 교류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2025.04.23
Our paper entitled "Tomographic strain indicator of chiral liquid crystalline elastomer" has been accepted i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해당 논문은 CLCE (Chiral Liquid Crystalline Elastomer)를 활용하여 PDMS 내에서 실시간으로 변형을 시각화하는 토모그래픽 변형 감지 기술을 개발한 연구로,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전공 김대석 교수님,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영석 박사님과의 협업으로 진행된 연구입니다. 저는 유한요소해석을 활용하여 nonlinear PDMS elastomer 내의 응력 및 변형률 예측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실험 결과를 보다 견고히 뒷받침하고자 하였습니다.
2025.04.22
대한기계학회 (KSME) 동역학/제어/로봇부문 2025년 춘계학술대회 참석
현재엽 교수가 2025년 4월 22일~27일간 열린 대한기계학회 동역학/제어/로봇부문 2025년 춘계학술대회에서 "포노닉 메타구조의 시뮬레이션 주도 역설계"의 주제로 초청강연 세션을 진행하였습니다.
2025.04.18
Congratulations to Sang Uk Park who won the bronze award for his excellent research at the KSME CAE and Applied Mechanics 2025 Spring Conference Student Competition.
대한기계학회 CAE 및 응용역학부문 2025년 춘계학술대회 학생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상을 수상한 박상욱 석사과정생에게 축하 인사를 전합니다.
2025.04.17
대한기계학회 (KSME) CAE 및 응용역학부문 2025년 춘계학술대회 참석
박상욱 석사과정생은 "평면 압전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집속 성능 향상을 위한 전극 패턴 레벨셋 최적설계" 의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정현준 석사과정생은 "열 의존 물성을 고려한 가변형 음향-구조 연성 시스템의 위상최적화"의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5.04.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SEIK) 2025년 정기학술대회 참석
박상욱 석사과정생은 "전극 패턴 레벨셋 위상최적화를 통한 far-field 음향 에너지 집속" 의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정현준 석사과정생은 "소리 투과 최소화를 위한 구조 응답-지원 음향 레벨셋 위상최적화"의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5.04.01
새로운 연구 과제 수주
우리 연구실은 2025년 4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2차 전지 셀 케이스 대량 생산을 위한 생산 라인 정밀 제어 시스템 개발"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길 기대합니다!
2025.03.01
새로운 연구 과제 수주
우리 연구실은 2025년 3월 1일부터 2030년 2월 28일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전기-기계 상호작용 기반 최첨단 의료초음파 집속 메타구조 개발" 의 주제로 우수신진연구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5년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의료초음파, 멀티피직스 메타구조, 최적설계 분야 모두에서 큰 성과를 기대해 주세요!
2025.02.19
Congratulations to Sang Uk Park on receiving the PKNU Excellent Student Award in College of Engineering. This award is only given to the best students who have achieved outstanding research accomplishments during their graduate studies.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우수공학도상을 수상한 박상욱 석사과정생에게 축하 인사를 전합니다.
2025.02.14
Congratulations to Hyunjoon Jeong and Moonjeong Kim on receiving the PKNU Proud Engineering Student Award in College of Engineering. This award is only given to the best students who have achieved outstanding research accomplishments during their undergraduate studies.
국립부경대학교 자랑스러운 공대생 상을 수상한 정현준/김문정 학생에게 축하 인사를 전합니다.
2025.01.17
박태희 학생이 학부인턴생으로 iMSD 연구실에 합류하였습니다. 환영합니다!
2025.01.02
현재엽 교수가 2025년 1월부터 대한기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의 CAE 및 응용역학 부문 산학협력이사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2025.01.01
현재엽 교수가 2025년 1월부터 한국생산제조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의 설계 및 CAE 부문 이사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2024.12.23
Our paper entitled "Experimental realization of hyperlens for sound waves based on a topology-optimized hyperbolic acoustic metamaterial" has been accepted in Applied Acoustics
해당 논문은 iMSD 연구실과 부산대학교 송경준 교수님 연구실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된 연구로써, 하이퍼볼릭 음향메타물질의 균질화 및 위상최적설계, 그리고 초고해상도 이미징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연구입니다.
2024.11.21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SEIK) 학술심포지엄 참석
현재엽 교수가 2024년 11월 21~22일간 열린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학술심포지엄 차세대리더 세션에서 "초음파 집속을 위한 압전 트랜스듀서 전극 패턴의 위상최적화"의 주제로 초청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10.28
현재엽 교수가 2024년 10월 28일 경상국립대학교에서 "Basic Theory and Practice of Uncertainty-based Design Optimization"의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10.25
현재엽 교수가 2024년 10월 25일 "2024 GIST 자랑스러운 동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4.09.26
Our paper entitled "Simultaneous low-frequency vibration isolation and energy harvesting via attachable metamaterials" has been published in Nano Convergence
해당 논문은 국부진동 기반 메타물질을 통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과 진동 절연을 동시에 달성한 연구로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최원재 박사님과 성균관대학교 김미소 교수님 연구실과의 협업으로써 진행된 연구입니다.
2024.09.12
Our paper entitled "Facilitating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through a versatile level-set topology optimization framework via COMSOL multiphysics" has been published in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해당 논문은 MATLAB 환경에 유한요소프로그램인 COMSOL Multiphysics와 C++ 기반의 레벨셋 코드를 결합하여 레벨셋 위상최적화 프레임워크를 개발한 연구로써,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Alicia Kim 교수님의 M2DO 연구실과의 협업으로써 진행된 연구입니다.
2024.10.24
한국소음진동공학회 (KSNVE) 2024년도 추계 학술대회 참석
현재엽 교수와 박상욱 석사과정생이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4년도 추계 학술대회에 참석하였습니다.
박상욱 석사과정은 "압전 소자의 전극 배열 최적설계에 의한 초음파 에너지 집속"의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박상욱 석사과정생은 춘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연구 "회절한계 극복을 위한 음향 하이퍼렌즈의 역설계 및 실험적 검증" 에 대해 학생우수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Congratulations!!
2024.10.15
제3회 KSME-LG 퓨처 홈테크 챌린지 장려상 수상
iMSD 연구실의 박상욱, 정현준, 김문정, 이세범 학생이 제3회 KSME-LG 퓨처 홈테크 챌린지에서 "압축기의 충격-방사 소음 저감을 위한 비선형 강성 메타샌드위치 패널"이라는 주제로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Congratulation!!
2024.09.30
현재엽 교수가 2024년 9월 30일 한양대학교에서 "Topology Optimization of Acoustic Lens working for a Short-duration pulse"의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08.27
제9회 KSME-SEMES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장려상 수상
iMSD 연구실의 박상욱, 정현준, 김문정, 이세범 학생이 제9회 KSME-SEMES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에서 "제로 굴절률 메타구조 기반 효율적인 대면적 초음파 세정 기술"이라는 주제로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Congratulation!!
2024.08.01
현재엽 교수가 2024년 8월부터 한국소음진동공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부설 한국설비진단자격인증원 초음파기술자 자격인증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2024.07.10
현재엽 교수가 2024년 7월 10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Multiphysics-Multiscale Optimization and Towards AI-driven Design Innovation"의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05.23
한국소음진동공학회 (KSNVE) 2024년도 춘계 학술대회 참석
박상욱 석사과정생이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4년도 춘계 학술대회에 참석하여, "회절한계 극복을 위한 음향 하이퍼렌즈의 역설계 및 실험적 검증 (저자: 박상욱, 이상엽, 송경준, 현재엽)" 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01.17
현재엽 교수가 2024년 1월부터 한국최적설계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Design Optimization)의 학술이사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2024.01.17
한국최적설계학회 (KSDO) 학술대회 참석
현재엽 교수가 2024년 1월 17~18일간 열린 한국최적설계학회 신진우수연구자 특별세션에서 "강건 위상최적화의 효과적인 샘플링 기반 가속화에 대해서"의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2024.01.12
김지현, 이세범 학생이 학부인턴생으로 iMSD 연구실에 합류하였습니다. 환영합니다!
2023.11.23
제7회 DfAM 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
iMSD 연구실의 박상욱, 박성욱, 정현준, 김문정 학생이 이끄는 iMSD 팀이 제7회 DfAM 경진대회에서 "인필 구조를 적용한 드론 암 형상 최적화"라는 주제로 금상 (학생부 1위)을 수상하였습니다. 학기중에 연구와 발표를 병행해야해서 어려움도 많았을텐데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Congratulation!!
2023.11.02
대한기계학회 (KSME) 본부학술대회 참석
현재엽 교수가 2023년 11월 1~4일간 열린 대한기계학회 CAE 및 응용역학 부문 유망과학기술자 특별세션에서 "파동 조작을 위한 포노닉 메타구조의 역설계"의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2023.06.12
Our paper entitled Avoiding reinventing the wheel: reusable open-source topology optimization software" has been published in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해당 논문은 Python 환경에서 오픈-소스 유한요소코드인 FEniCS와 C++ 기반의 레벨셋 코드를 결합하여 레벨셋 위상최적화 프레임워크를 개발한 연구로써,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Alicia Kim 교수님의 M2DO 연구실과의 협업으로써 진행된 연구입니다.
2023.06.01
박상욱, 정현준 학생은 학석사연계과정으로 박성욱, 김문정 학생은 학부인턴생으로 iMSD 연구실에 합류하였습니다. 환영합니다!
2023.05.13
iMSD 연구실 (innovative Multiphysics System Design Laboratory)의 홈페이지를 개설하였습니다.
2023.03.02
Dr. Jaeyub Hyun has been appointed as a tenure-track assistant professo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March 2023
현재엽 박사가 2023년 3월부로 국립부경대학교 기계공학부의 테뉴어트랙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