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C. S. Hong, M. Kang, D. W. Kang,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전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용 조성물, Porous organic polymer based conductor, and composition for solid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KR 10-2022-0145481 (2022.11.03).
7. J. S. Kim, C. S. Hong, J. H. Kim, H. Yun, D. W. Kang,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화학 작용제 제독을 위한 광 및 초음파 촉매, Isomeric sp2-C-conjugated porous organic polymer-mediated photo- and sono-catalytic detoxification of sulfur mustard simulant under ambient conditions”, KR 10-2022-0143980 (2022.11.01).
6. C. S. Hong, D. W. Kang, “EXPANDABLE POROUS ORGANIC POLYMER-BASED HYDROGEN ION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A/11,407,853 (2022.08.09).
5. C. S. Hong, J. S. Kim, D. W. Kang, J. Shin, “이미다졸린 기반의 다공성 유기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Imidazoline-based porous organic polym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 10-2022-0111859 (2022.09.09).
4. C. S. Hong, D. W. Kang,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암모니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orous-organic-polymer-based ammonia adsorbents and their preparation”, KR 10-2489236 (2023.01.12).
3. C. S. Hong, D. W. Kang,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Solid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porous organic polymer improved in hydrogen ion conductivi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 10-2293505 (2021.08.19).
2. C. S. Hong, D. W. Kang,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roton 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extended porous organic polym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 10-1823822 (2018.01.24).
1. C. S. Hong, D. W. Kang,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roton 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porous organic polym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 10-2006055 (20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