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
SINCE 2021
SINCE 2021
번호
논문명
24
이예원, 김예슬, 전하람 (2025). 교사-학생 관계가 중학생의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 및 학교 의사결정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43(1), 169-191.
23
김도희, 이현주. (2024). 대학생의 의미 만들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3), 585-600.
22
견명인, 이현주 and 홍은영. (2024).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일곱 명의 노동자 이야기. 교육문화연구, 30(4), 521-552.
21
이경양 (2024). 예비문해교사의 중학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평생교육학연구, 30(3), 68-93.
20
김예슬, 이경양, 전하람 (2024). 어머니의 출신국가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 수준 간의 관계 분석. 교육문화연구, 30(3), 733-761.
19
이현주, 주현정, 윤민주(2023). 학습공동체에서 대학원생의 사회적 몰입경험에 관한 탐구 : BK21사업 참여대학원생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28(2), 95-120.
18
전하람 (2023). 국가의 교육팽창 수준이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포부 격차에 미치는 영향: PISA 2018을 활용한 국제비교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41(3), 83-112.
17
윤민주, 전하람, 이경양 (2023). 학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의 조절효과. 교육문화연구, 29(2), 587-608.
16
이세희, 전하람 (2023). 학부모인 교사는 어떻게 사교육을 받아들이는가?: G시의 중등교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33(1), 165-201.
15
김가영, 이경양, 전하람 (2023). 학교밖청소년은 왜, 어떻게 대학에 진학하는가?: 학업형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진로교육연구, 36(1), 21-44.
14
김도희, 이현주 (2023).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671-686.
13
윤민주, 전하람 (2023). 평생교육 연구에서의 삶의 질 개념 활용에 관한 문헌 고찰. 인문사회 21, 14(1), 3287-3302.
12
이경양, 김선미 (2022). 원격 문해교육이 성인문해학습자의 원격교수학습환경,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3(6), 245-260.
11
전하람, 이현주, 김가영 (2022).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교육학연구, 60(6), 459-492.
10
이현주, 전하람 (2022). 대학입시제도의 공정한 경쟁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교교육으로 인한 능력주의의 배태(胚胎)-. 교육사회학연구, 32(3), 209-239.
9
주영효, 전하람, 황영식 (2022).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단체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9(3), 83-112.
8
전하람, 황영식 (2022). 청소년의 자녀 필요성 인식과 학력주의 사회관과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8(3), 177-203.
7
황영식, 전하람 (2022). 대학의 교육환경이 중도탈락률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85, 109-218.
6
이경양, 전하람 (2022). 중학학력인정 성인문해과정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평생학습사회, 18(3), 28-54.
5
이경양, 김선미 (2022). ARCS 전략을 적용한 원격 문해교육이 성인문해학습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1), 25-32.
4
전하람, 이경양, 임은희, 윤민주 (2021).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국제 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한국교육문제연구, 39(4), 195-218.
3
전하람 (2021). 교사는 학생에게 의미 있는 존재인가?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 차이(2004년과 2016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4), 243-271.
2
전재은, 전하람, 이희영 (2021).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 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전공계열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7(1), 407-433.
1
이경양, 전하람 (2021). 중학학력 인정과정 성인문해학습자의 학습참여와 지속에 관한 사례연구: Cross의 반응-연쇄 모형의 적용. 17(1), 11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