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ncㅌ ㅛpoㅅ ㅂ ㅜimㅌ
Haeundae Beach, from the twilight of the Joseon era to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ㅇncㅌ ㅛpoㅅ ㅂ ㅜimㅌ
Haeundae Beach, from the twilight of the Joseon era to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해운대 [海雲臺, Haeundae] Busan, Korea. 1904 - photographer Unidentified
朝鮮之風光 1904년 해운대 부산
Dynastie Joseon Windlight 1904 Haeundae Busan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04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수욕장
Plage de Haeundae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3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Haeundae, Busan [Busan, 釜山市] , Corée, années 1930 - photographe Non identifié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47 - Photographer Unidentified
Haeundae, Busan [Busan, 釜山市] , Corée, 1947 - Photographe non identifié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52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변의 해녀들 1952
Busan [Busan, 釜山市] , Corée, 1952 - photographe Non identifié
Les Haenyeo de la plage de Haeundae, 1952
Zoom | Photographie coréenne
Fasciné par la vie et l’histoire des Haenyeos, le photographe Hyung S. Kim décide de consacrer quelques années de sa vie à capturer la beauté de ces femmes aujourd’hui grand-mères mais toujours en activité. Il les photographie individuellement devant un fond blanc, mais plutôt que de les faire poser, il les capture juste après leur journée de travail. Elles apparaissent épuisées, essoufflées, le visage ridé et tacheté encore marqué par l’effort. Plus que n’importe quel documentaire, les images de Hyun S. Kim nous montrent la pénibilité et la dureté du travail des Haenyos.
Les détails de leurs visages, de leurs combinaisons de plongée et des outils qu’elles portent racontent leurs histoires, leurs identités, leur vie et leur travail.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52 - photographer Charles J. Burstone
금련산에서 본 백산,민락동,광안리,수영만, 동백섬, 해운대해수욕장, 달맞이 고개
Haeundae, Busan [Busan, 釜山市] , Corée, 1952 - photographe Charles J. Burstone
Baeksan, Millak-dong, Gwangalli, la baie de Suyeongman, l'île de Dongbaek, la plage de Haeundae et le col de Dalmaji vus du mont Geumnyeon
광안리 해수욕장 2
해운대, 부산시- Photographer Unidentified
Haeundae, ville de Busan - Photographe non identifié
광안리 해수욕장 1
(서울=연합뉴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과 부산발전연구원이 8월 25일부터 9월 30일까지 '피란수도 부산 기록찾기 공모전'을 개최, 총 63점의 희귀사진들을 발굴해 공개했다고 10일 전했다. 2016.11.10 [국가기록원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끝)
해운대 [海雲臺, Haeundae] Busan, Korea. 196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수욕장을 걷고 있는 신혼부부
뒤에 보이는 달맞이고개
1962년 해운대해수욕장 전경. <사진=국가기록원>
출처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http://www.economytalk.kr)
해운대 [海雲臺, Haeundae] Busan, Korea. 1964 - photographer Unidentified
달맞이 언덕에서 촬영한 해운대
1960년대 초 해운대, Korea,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 Photographer Unidentified
아래 동백섬이 보이고, 위로는 달맞이고개에 있던 골프장이 보인다.
1960년대 해운대 해수욕장~
수학여행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Korea, 1967 -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7 - photographer Unidentified
Bikini Girl Busan Haeundae Beach, 1965 - photographer Kim Suk Bae
트윈테일 비키니 1965년 해운대
한국에서 수영복은 1961년 (주)한국샤크라인의 전신인 백화사가 ‘상어표 수영복’이라는 브랜드로 한국 수영복 시장을 열며 시작되었다.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0 - Photographer Unidentified
백사장 끝 미포, 뒷산이 달맛이 고개 옛 골프장 자리
해운대 ,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0's
photographer Unidentified
1973년 해운대해수욕장 전경. <사진=국가기록원>
출처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http://www.economytalk.kr)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1974년 해운대해수욕장 전경. <사진=국가기록원>
출처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http://www.economytalk.kr)
1974년 해운대해수욕장 전경. <사진=국가기록원>
출처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http://www.economytalk.kr)
1976년,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들 모습. <사진=국가기록원>
출처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http://www.economytalk.kr)
송정해수욕장,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5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7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8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동백섬에서 바라본 해운대해수욕장과 극동호텔
[ 달맞이 골프장]
60년대 달맞이언덕에 위치한 골프장
사진 가운데 극동호텔이 보인다
[Parcours de golf de Dalmaji]
Un parcours de golf situé sur la colline de Dalmaji dans les années 1960
L'hôtel Geukdong est visible au milieu de la photo.
해운대 온천골목,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4
photographer Unidentified
극동호텔 공사중
1966년 11월 7일 문을 연 극동호텔은 부산 최초의 특급호텔로 당시에는 전국에서 서울의 워커힐 다음으로 규모가 큰 호텔이었다. 지상 7층에 객실 수가 115개였다. 수영장 등 호화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1962년에 착공했지만 허가를 받지 않았다고 해서 공사가 중단되는 등 말썽이 많았다. 당시의 객실 요금은 2200~1만원. 1960년대에 해운대가 신혼여행 1번지로 꼽힌 것도 극동호텔 덕이었다.
극동호텔은 1979년 조선비치 호텔이 문을 열고 뒤이어 파라다이스호텔 등 특급호텔들이 생기면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1989년 문을 닫고 최근에 헐려서 그 자리에 호텔형 콘도가 들어섰다.
사진을 촬영한 1964년 4월 당시에는 해변의 동쪽 끝, 온천이 있던 극동호텔 주변이 해운대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였다. ‘해운각’ ‘은하장’ 등의 간판이 보이고 가운데 건물이 완공 전의 극동호텔이다.
해운각은 일제 때부터 있던 온천 호텔이다. 도로는 포장이 안 돼 자갈이 깔려 있다.
원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418031004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60's
[ 해운대 우동지역]
해운대항공
좌측 구 해운대역과 우측 춘천 복개되기전 모습이 보인다.
아래쪽으로 운촌마을과 항이 보인다
[Région de Haeundae Udong]
Vue aérienne
L'ancienne gare de Haeundae à gauche et Chuncheon à droite sont visibles avant d'être couvertes.
Vous pouvez voir le village d'Unchon et le port ci-dessous.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2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버스 종합 터미널,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뒤로보이는 산 쪽으로 좌동 방향
시내버스 안내양.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수욕장, 부산시 [Busan, 釜山市], Korea, 1970's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 [釜山, Busan]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모습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1970년 초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동백섬과 웨스틴조선호텔 사이 바위에 가득한 피서객들 모습입니다. 그 뒤로 백사장에도 피서객들이 엄청 많네예. 시기 미상의 여름 해운대해수욕장. 부산일보DB
해운대 ,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AID자리는 1970년까지 골프장과 소나무 숲
1970년 달맞이 길의 완공으로 해운대와 송정간의 길이 열리게 되었고 1975년 AID아파트가 들어섰다.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극동호텔과 달맞이고개
해운대 웨스턴 조선호텔 세워지기 전,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2
Photographer Unidentified
1979년 8월 부산의 한 해수욕장에서 찍힌 사진입니다. 그때만 하더라도 해수욕장에는 비키니 차림의 피서객이 종종 발견됐지예. 부산일보DB
부산시 [Busan, 釜山市]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1970년대 해운대 해수욕장 입구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운대 인어상,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4 -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5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AID 아파트 신축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운대 극동호텔과 달맞이고개
[ 1970년 초 해운대전경-항공사진]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7 - photographer Unidentified
광안리 . 부산 [釜山, Busan] Korea. 197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70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1970년대해운대.jpeg (624.1K)
1970년대해운대3.jpeg (7.6M)
1970년대해운대4.jpeg (2.5M)
1970해운대1.jpeg (786.8K)
1970해운대2.jpeg (879.1K)
1970해운대5.jpeg (926.4K)
국기하강식.jpg (7.1M)
해운대1.JPG (480.6K)
해운대4.JPG (470.2K)
Image8.jpg (6.6M)
Image26.jpg (6.7M)
Image33.jpg (6.3M)
해운 온천센터 부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 19871101-해운대역사 신축준공]
준공식
[ 1er novembre 1987 - Achèvement de la nouvelle construction de la gare de Haeundae]
cérémonie d'achèvement
해운대 ,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80's - photographer Unidentified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1994 - photographer Unidentified
여름철마다 부산 해수욕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하믄 파라솔 아이겠슴까. 근데 올 여름에는 코로나19 때매 파라솔이 싹 사라졌습니다. 1988년 8월, 파라솔 꽃이 만개한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망루 위 바다경찰서 수상요원이 망원경으로 주변을 살피고 있네예. 부산일보DB
부산시 [Busan, 釜山市] , Korea, 2004
사진 최민식1928 - 2013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갈매기가 할머니 머리에 잠시 앉았다.
http://www.koreatimes.co.kr/www/culture/2017/11/142_128679.html
Zoom | Photographie coréenne
Les clichés mémorables du photographe Choi Min-shik ont une vivacité brute qui ressort des photos ou aspire les spectateurs avec leur profondeur émotionnelle.
Le photographe vétéran de 85 ans, qui prend des photos depuis plus de cinq décennies, a ses objectifs dirigés en permanence vers les gens et attend le moment brutalement honnête où la vie façonne les visages dans la tristesse, la peur, la fierté, la frustration ou le bonheur.
L'anthologie picturale de Choi, "Human: Selected Photographs of Choi Min-shik" (Noonbit Publishing; 592 pp. 29 000 won), revisite son illustre carrière avec ses photos en noir et blanc emblématiques qui capturent principalement la vie de la classe ouvrière et défavorisée . Choi décrit les photos, qui font partie de sa série "Human" qui a commencé en 1968, avec ses propres mots qui révèlent un dévouement au réalisme.
Les photos sont également des documents historiques critiques montrant la vie des Coréens des années 1960 aux années 1980, lorsque les gouvernements militaires ont poussé une stratégie de croissance agressive qui a produit une ampleur de changements sociaux.
L'intérêt principal de Choi était les personnes dont la vie évoluait à un rythme plus lent au milieu du processus rapide d'industrialisation. Dans ce livre, ses premières œuvres présentent des femmes travaillant au marché aux poissons de Jagalchi dans la ville portuaire méridionale de Busan. Les œuvres ultérieures capturent diverses images de personnes dans d'autres pays comme l'Inde et le Tibet, qui sont ensuite exprimées de manière plus joyeuse.
http://photovil.hani.co.kr/221902
내게 행복이 온다면
나는 그에게 감사하고,
내게 불행이 와도
나는 또 그에게 감사한다.
한 번은 밖에서 오고
한 번은 안에서 오는 행복이다.
우리의 행복의 문은
밖에서도 열리지만
안에서도 열리게 되어 있다.
내가 행복할 때
나는 오늘의 햇빛을 따스히 사랑하고
내가 불행할 때
나는 내일의 별들을 사랑한다.
이와 같이 내 생명의 숨결은
밖에서도 들여쉬고
안에서도 내어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 생명의 바다는
밀물이 되기도 하고
썰물이 되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끊임없이 출렁거린다!
김현승(1913-1975)
If happiness comes to me,
I thank it;
Even if misfortune comes to me,
I thank it.
Happiness comes once from outside,
Once from inside.
Our door to happiness
Opens from outside
But also from inside.
When I’m happy,
I warmly cherish the sunlight of today;
When I’m misfortunate,
I cherish the stars of tomorrow.
Like this, the breath of my continuance
Is inhaled from outside and
Exhaled from inside.
Like this, the ocean of my continuance
Rolls ceaselessly, ceaselessly,
Becoming high tide and
Becoming low tide
Kim Hyunseung (1913-1975)
Si le bonheur vient à moi,
je le remercie;
Même si le malheur vient à moi,
je l'en remercie.
Le bonheur vient une fois de l'extérieur,
Une fois de l'intérieur.
Notre porte vers le bonheur
S'ouvre de l'extérieur
Mais aussi de l'intérieur.
Quand je suis heureux,
Je chéris chaleureusement la lumière du soleil d'aujourd'hui;
Quand je suis malheureux,
Je chéris les étoiles de demain.
Comme ça, le souffle de ma continuation
Est inhalé de l'extérieur et
Expiré de l'intérieur.
Comme ça, l'océan de ma continuation
Roule sans cesse, sans cesse,
Devenant marée haute et
Devenant marée basse
Kim Hyunseung (1913-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