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승 철  Kim, Seung-Chul

  Professor

  Research Field : Plant Systematics/Phylogenetics

  Office : 32105 Natural Sciences 2,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Lab : Plant Molecular Phylogenetics Laboratory

  Phone : +82-31-299-4499 (office)

  E-Mail : sonchus96@skku.edu or sonchus2009@gmail.com

Plant Molecular Phylogenetics Lab at SKKU

연구실 개요 및 역사

성균관대학교 식물분자계통분류학 연구실은 한국 식물분류학계에서 가장 긴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실은 학과가 창설된 다음 해인 1954년, 한국 식물분류학계의 선각자이신 하은 (霞隱) 정태현 교수님이 부임하시면서 출범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재직 당시에 필생의 업적 중 하나인 한국식물도감 초본 · 목본 (1956, 1957)을 집필하셨고, 1969년에는 ‘하은생물학상’ 재단을 설립하시어 매년 생물학계에 공헌한 후학들을 선정하여 시상하셨다. 그 후에 이상태 교수님이 1981년에 부임하시어 국내 최초로 화분학(Palynology)을 도입하셨고, 2010년 2월에 은퇴하실 때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100여편의 논문, 10여종의 신종 발표, 및 여러 저서들을 출판하셨다. 약 30년간 성균관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시는 동안 후학들에게 화분학과 진화학에 많은 가르침을 주셨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하심과 동시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강의활동을 펼치고 계신다. 2009년 9월부터 현재의 김승철 교수가 부임하여 성균관대학교 분류학의 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 1) 섬 (카나리 제도, 울릉도, 제주도 등) 식물의 기원과 진화, 2) 동북아시아 식물들의 계통학적, 계통지리학적, 집단 유전학적 연구, 그리고 3) 식물 종분화 메커니즘, 4) 외래침입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구조와 같은 연구를 여러 분자마커와 최신 분석 기법을 통해 다각도로 고찰하여, 식물이 겪는 다양한 현상과 관계에 대해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분야 

본 연구실은 최신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식물 그룹 (예: 카나리 제도, 울릉도, 제주도의 섬 고유종,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주요 식물, 외래식물 등)의 기원과 진화적 메커니즘 그리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희귀식물 보존, 외래 잡초성 분류군의 침입, 잡종화, 계통지리학 및 생물지리학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서 연구를 진행 중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연구 방식과 분자 마커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식물 다양성의 기전과 계통학적 양상을 밝히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다.

응용 분야 또는 산물(product) 

식물 종들의 계통학적 관계와 진화 역사를 규명하는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화장품, 바이오 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유용한 식물 후보종을 발굴하는데 높은 과학적 예견성을 갖도록 다. 또한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 구조 및 분화도를 파악하는 집단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멸종 위기종들의 지속 가능한 보전 및 복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다.

산학협력 사례 또는 취업 분야 

본 연구실은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수목원과 같은 국가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식물종들의 진화, 다양성 및 계통학적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을 졸업한 학생들은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인 국립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환경부 산하기관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그리고 국내 굴지의 화장품 회사인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등의 기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Funding History (2019-Present)

Education and Experiences

Professional Activities

Member

Reviewer

Committee Member

Awards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