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감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VR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착용 가능한 환기 기능이 있는 후각 장치를 개발하여 평가하고, VR에서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후각 감각을 사용하여 가상 텔레포테이션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중 환기와 함께 후각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상 환경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Digital Twin과 실시간 3D 그래픽스를 활용한 시각화 기술을 연구합니다. 상용 3D 엔진(Unity, Unreal Engine)을 이용해 복잡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핵융합 플라즈마 데이터를 Digital Twin으로 구현하여 실험 비용을 절감하고 데이터 분석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과학, 산업 분야의 데이터를 가시화하고,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환경에서의 응용을 탐구합니다.
물리 기반 렌더링(Physically Based Rendering, PBR)과 비사실적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 NPR) 기법을 비교 및 분석하며, 다양한 시각 표현 방식의 특성과 성능 개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광원 효과, 쉐이딩, 머티리얼, 렌더링 병목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개선을 Cel Shading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청각 공간 지각력 검사 및 훈련의 난이도를 개인화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이 시스템은 청각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스피커 수, trial 수, 음원 옵션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Unity3D와 OpenXR을 사용해 가상환경 훈련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었습니다.
세 가지 검사 모드(수평, 수직, 커스텀)를 통해 피험자에게 알맞은 검사 및 훈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커스텀 모드에서는 스피커 수, 스피커 위치, trial 수 등 다양한 검사 옵션을 제공합니다. 스피커 선택 시 효과음을 재생해 피험자가 선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또한 기존에 두 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던 음원 전처리 과정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하였습니다. AudioSegment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음원의 볼륨을 증폭한 후 스피커별로 분할하고, 기준 음원의 RMS 값을 기준으로 스피커별 음원의 RMS 값을 일치시킵니다. 최종적으로 RMS 값이 일치된 음원들은 각각의 폴더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청각 재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외에도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