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09) IEEE Access 논문 게재
GuideCAD: A Lightweight Multimodal Framework for 3D CAD Model Generation via Prefix Embedding 논문이 IEEE Access에 게재 되었습니다.
민성이, 진영이가 논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박성호 교수님도 논문 작성에 많이 참여해 주셨습니다.
이미지 임베딩을 prefix embedding으로 변환하여 텍스트 임베딩에 붙임으로써 LLM이 이미지와 텍스트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아이디어 입니다.
관련하여 새롭게 GuideCAD 데이터셋도 공개하였습니다.
(2025.07) KCC 2025 참가 및 논문 oral 발표
GAILAB 재학생 8명이 이번에 제주도에서 열리는 정보과학회 KCC 2025에 참가하였습니다.
왼쪽부터 성원, 성윤, 찬영, 지호, 진영, 은지, 주헌, 한슬 학생이 참가하였습니다.
특히, 정성윤 학생은 이번 KCC 2025에서 "ViPCAD: CAD 명령어 시퀀스 생성을 위한시각 정보와 프롬프트 기반의 멀티모달 모델" 논문을 직접 oral 발표하였습니다.
(2025.06) 재학생, 졸업생 Reunion 행사 및 기술 교류
GAILAB 재학생 9명과 GAILAB 졸업생 3명이 참가하여 송도에서 reunion 행사 및 최신 기술 교류 관련 행사를 열었습니다.
졸업생으로 정민섭, 이재승, 최우진이 참가하였습니다.
(2025.05) 보유 특허 기술이 "기보 기술거래 페스타"에 유망 기술로 출품
2025년 6월 12일에 마곡 코엑스에서 열리고 "기술보증기금 (기보)"가 주최하는
기보 기술거래 페스타에 GAILAB에서 보유중인 발명 특허가 인천대 대표 특허로 출품합니다.
https://tb.kibo.or.kr/ktbs/board/info/menual/advorglist.do?mode=view&articleNo=1659&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출품하는 특허는 "비전 트랜스포머 모델에 기초하여 뇌파 스펙트로그램 이미지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으로 등록 번호가 "10-2023-001534"입니다.
본 특허는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사업화 유망 기술"로 소개될 예정입니다.
(2025.05) (축) 행정안전부의 "재난언전 신규 과제" 선정
인천대 컴퓨터공학부 김지범 교수가 ㈜아이에스테크놀로지 (https://istec.co.kr/kr/)와 함께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 2025년 “재난안전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에 신규 선정되었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 과제는 정부로부터 2025년 5월부터 2년간 총 6억 3천만을 지원받아 AI와 IoT 기술을 이용한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아이에스테크놀로지에서는 수위, 유속, 압력들을 계측할 수 있는 IoT 센서들을 침수 예상 지역에 설치하여 도시 침수를 탐지하고 인천대학교 컴퓨터 공학부의 김지범 교수는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기반 수위 및 침수 예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김지범 교수 연구팀은 시공간 딥러닝 기반의 수위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도시 침수와 같은 물 재해 예방이 가능한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인천대 컴퓨터공학부의 김지범 교수는 AI 기반 스마트 워터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 중이다. 관련 연구 성과로 제58회 발명의 날에 특허청장 표창을 수상하였고 2022년부터 서울시 산하 “서울 물 연구원”의 연구 개발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나노바이오 공학과 양성구 교수 연구팀과 파킨슨이 유도된 쥐/파킨슨을 그래핀 기반 전자약으로 치료한 쥐에 대해서 뇌파 분석을 수행한 결과가 담긴 연구 결과가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online 출판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졸업생인 이재승 학생, 재학생인 최한슬 학생이 뇌파 분석을 담당하였습니다.
이 저널은 IF=10, JCR 상위 4.7%인 healthcare 분야의 저명 SCIE 저널입니다.
(2025.03) 연구실 회식 at 부평
왼쪽부터 성윤, 한슬, 은지, 찬영, 진영, 지호, 주헌, 성원
(2025.03) 컴퓨터과학을 위한 필수 이산수학 책 출판
부산대, 인하대 교수님들과 같이 하버드 대학의 Lewis가 지은 "essential discrete mathematics for computer science"책을 몇 개월에 걸쳐서
번역하였고 홍릉과학출판사를 통하여 지난달 말에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번 학기 이산 수학 수업에도 활용할 예정입니다!
(2025.02) 석사과정 진성원, 정성윤 학생 AAAI 2025 학회 참석
연구실 대학원 재학 중인 진성원, 정성윤 학생이 AI 분야의 저명 학회인 AAAI 2025에 참석 중입니다.
올해 AAAI 2025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GAILAB에서는 대학원생들의 해외 우수 학회 참석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AAAI에서 AI 관련 다양한 연구 내용을 잘 습득해 오길 바랍니다.
(2025.02) 강화학습 기반 신약개발 논문 ACS JCIM 논문 게재
내적 보상 (intrinsic reward) 기반으로 강화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신약 개발에 사용 가능한 분자를 생성하는 연구 논문이 ACS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ACS JCIM)에 게재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ACS JCIM은 JCR 랭킹 상위 13.2% (JCR 2023기준) 저널입니다.
본 연구는 같은 학과의 안재균 교수님, 한림대학교의 최종환 교수님과의 공동 연구로 이루어졌고 연구실의 박진영 학생이 참여하였습니다.
아래 그림은 제안하는 강화학습 기반의 Mol-AI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DRD2-Inhibitor에 대하여 기존의 약물인 Risperidone과 유사하면서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새로운 분자를 AI로 생성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2024.12) 지브레인 CES 2025 디지털 헬스 부분 혁신상 수상
BCI 분야에서 협업하고 있는 (주)지브레인이 CES 2025 디지털 헬스케어 부분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지브레인은 BCI 의료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로 국내 침습형 BCI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기업입니다
지브레인에서 만드는 핀어레이와 핀스팀은 뇌의 전극과 컴퓨터가 직접 연격하여 뇌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입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관련된 BCI 데이터를 받아서 연구중입니다.
기사: 지브레인, '핀스팀'으로 CES 2025 디지털 헬스 부문 혁신상 선정…"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의료 솔루션 현실화" : 네이트 뉴스
(2024.12) 정보과학회 KSC 2024 동계 학술대회 참가
전남 여수에서 열린 정보과학회 KSC 2024 동계 학술대회에
진영, 성윤, 한슬, 남길, 성원 학생이 참가하였습니다.
(2024.12) "클라우드+X 사업" 성과교류회 개최
IITP 전문기관으로 "학석사 연계 ICT 핵심인재양성사업"으로 "클라우드+X" 라는 주제로 과제를 진행중입니다.
2024년 부터 총 5년짜리 과제이고 올해 첫 성과교류회가 열려서 참여하는 교수/학생/기업체에서 참여해주셨습니다.
"페르세우스", "글로벌브릿지", "지브레인" 등의 기업 관계자 분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2024.12) 서울 물 연구원 연구개발협의회 위원 위촉
AI 기반 물 관련 연구 경력을 인정 받아서
2024년 10월 부터 2년간 서울 물연구원의 연구개발협의회 위원으로 다시 위촉 되었습니다
(2024.11) 학과 오픈랩 활동
학과에서 진행하는 오픈랩 활동에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여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여러 연구 활동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질문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픈랩에서 총 3가지의 데모를 준비하였습니다
1. 강화학습 관련 데모
2. 3D CAD 모델 학습/생성 데모
3. BCI (brain-to-computer interface) 데모
(2024.9) GAILAB 민섭 졸업 및 취업 축하 모임
정민섭 학생의 졸업 및 석사 전문연구요원 취업 관련하여 연구 미팅과 함께 취업 축하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는 GAILAB 졸업생인 최우진 (현: (주) 미로 재직) 사원도 자리에 같이 참석하였습니다.
(2024.9) 연구실 석사졸업생 정민섭 학생 "인터엑스"에서 석사 전문연구요원 시작
연구실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이번 달 부터 제조 AI 회사인 "인터엑스 (interX)"에서
2024년 9월부터 병역 특례 업체에서 AI Researcher로 근무하게 되었습니다.
요새 SW 관련 업계가 이전보다 어려운 상황인데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게 되어서 다행입니다.
축하합니다!
(2024.8) 글로벌 브릿지와 지브레인으로 방학 인턴쉽 활동
이번에 신규로 시작하는 "학석사연계 ICT 융합인재양성사업"을 통해서
연구실 대학원생들인 진영, 성윤, 한슬, 성원이가 각각 글로벌 브릿지와 지브레인으로 인턴쉽을 진행 중입니다.
지브레인과는 원숭이 BCI 데이터의 뇌파 분석 및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글로벌브릿지와는 스켈레톤 기반의 물체 인식 관련된 연구를 인턴쉽에서 수행중입니다.
(2024.8) 신규 Multi-GPU 서버 구매 및 설치
기존 Nvidia A6000 서버 2개에 추가로 이번에 Nvidia Ada6000 GPU가 장착된 멀티 GPU 서버를 구매하였습니다.
약 2,600만원의 예산이 들었습니다. CPU로는 AMD EYPC 9654를 장착하였습니다.
AI 학습 및 추론 시에 더 빠른 속도를 기대해봅니다.
(2024.8) 전자공학회 논문지에 논문 Accept and 출판 예정
장기 시계열 예측에 최근 LLM 기반의 모델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 중에 TIME-LLM 모델을 활용하여 학부생인 진성원, 이남길 학생과 국내 전기 계량 데이터에 few-shot과 zero-shot 성능을 분석한 논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프롬프트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설명, task, 입력 통계등을 프롬프트로 줍니다.
실험 결과 TIME-LLM 모델이 zero-shot으로도 국제 전기계량 데이터의 장기 시계열 예측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Zero-shot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 없어도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관련 전기/수도 데이터에 대해서도 장기 시계열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4.8) AI 국제 학술대회 IJCAI 2024 학술대회 참석
GAILAB 대학원생인 박진영, 최한슬 학생이 제주에서 열린 AI 관련 국제 학술대회인 IJCAI 2024에 참석하여 최신 AI 관련 연구 기술에 대하여 공부하고 왔습니다.
(2024.7) 인천 영선고 특강
지난해와 같이 인천 영선고에서 진로체험을 위하여
"최근 AI 동향, 머신러닝 소개, 타이타닉호 데이터를 사용한 실제 머신러닝 적용 예"에 관하여
2시간 넘게 특강을 진행하였습니다.
컴퓨터공학과 학부 1,2,3학년에 배우는 행렬 개념, 머신 러닝, 구글 코랩, 사이킷런등에 관하여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또한, 최근 생성형 AI에서 활발하게 연구중인 프롬프팅에 관한 내용도 소개하였습니다.
(2024.7) "딘스플러스"로의 특허 기술이전에 따른 기술료 입금 및 보상금
작년도에 "딘스플러스"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 수도 관망 내에서의 누수 심각도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등록번호: 10-2226871-0000
에 대한 기술료 입금이 지난주에 완료되어
공동 발명자인 "이재승" 졸업생과 "최우진" 졸업생이 각각 중개 수수료를 제외하고 약 380만원의 보상금을 각각 수령하게 되었습니다.
(2024.6) KCC 024 학술대회 참가
제주에서 열린 KCC 2024 학술대회 (06.26 - 0.628)에 총 5명의 GAILAB 학생들 (민섭, 진영, 한슬, 성원, 남길이 ) 참여했습니다.
(2024.6) (축) 학석사 연계 ICT 핵심인재양성 사업 선정 (IITP)
컴퓨터공학부 주도로 정통과와 임베디드 학과 교수님들이 참여하여 "클라우드+X"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
2024 - 2028년 5년간 최대 11억 2500만원을 지원 받는 사업에 신규로 선정되었습니다 .
연구책임자는 박문주 교수님이고 총 10분의 교수님들이 참여하시고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합니다.
참여 기업로는 KT 클라우드, 스트라토, 글로벌 브릿지, 아콘소프트, 지브레인등이 참여합니다.
관련 기사: https://m.kmib.co.kr/view.asp?arcid=0020234222&code=61121111&sid1=soc
(2024.6) Contrastive learning 기반 CAD 학습 및 생성 모델 논문 Accept
Dropout 기반의 Contrastive learning을 사용한 CAD 모델 학습 및 생성 모델에 대한 연구 논문이 최종 "IEEE Access"저널에 accept 되었습니다.
제목: ContrastCAD: Contrastive Learning-based Representation Learning for Computer-Aided Design Models
논문: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0559801
GitHub: https://github.com/cm8908/contrastcad
(2024.6) CNN-Transformer 기반 경량화된 TSP 모델 논문 Accept
CNN-Transformer 모델 기반 경량화된 TSP 모델 연구 논문이 최종 "Applied intelligence" 저널에 accept 되었습니다.
제목: A Lightweight CNN-Transformer Model for Learning Traveling Salesman Problems
Applied Intelligence는 인공지능이 유행하기 전부터 오래된 인공지능 쪽에서 30년 넘은 전통있는 저널입니다.
본 논문은 ArXiv에도 올렸는데 이미 3회 피인용되었습니다.
논문: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489-024-05603-x
GitHub: https://github.com/cm8908/CNN_Transformer3
(2024.5) GAILAB 연례 행사 및 회의
GAILAB 졸업생들과 재학생들이 모여서 GAILAB REUNION 행사 및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하여 회의를 하였습니다.
GAILAB 졸업생들 중에는 SK하이닉스 (준혁), MAXST (명규), AIRI (재승), 엔라이즈 (욱현), 케어스퀘어 (민성), 핑거스토리 (현정)이 참석하였습니다.
(2024.5) (축) 한국연구재단 (우수 연구)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2024년도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유형1)에 컴퓨터공학부 김지범 교수가
"멀티모달 대조학습 기반 사용자 맞춤형 3D CAD 모델 학습 및 생성 방법 연구"
라는 주제로 과제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2024년도부터 2027년까지 총 3년간 과기정통부로부터
매년 약 1억2000만원의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최근 AI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분야인 "멀티모달학습" 및 "대조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Text를 입력 시에 이에 맞는 3D CAD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연구의 최종 목표입니다.
(2024.3) (축) 석사 졸업생 이재승 학생 AIRI 합격 및 전문연구요원 시작
석사과정을 졸업한 이재승 학생이 인공지능 연구원 (AIRI)에서
다음달부터 석사 전문연구요원 (병역특례) 생활을 시작합니다.
인공지능 관련 연구로 좋은 성과 바랍니다.
(2024.3) (축) 연구실 석사 과정 3명 입학
이번 학기에 석사 과정으로 3명의 신입생 (박진영, 최한슬, 정성윤)이 연구실에 새로 들어왔습니다.
석사 과정 동안 좋은 논문과 좋은 성과를 기대합니다!
(2024.1) ICEIC 2024 국제 학술대회 참석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IEEE ICEIC 2024 학회에 이번에 석사 과정에 진학하는 진영, 한슬이가 참석합니다. 과제 관련하여 많은 내용 학습하길 기대합니다.
(2023.12) KSC 2023 학회 참석 및 발표
부산 벡스코에서 12.20~ 12.22 열린 국내 최대 SW 관련 학술대회인 KSC 2023에 참석 및 포스터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회사 인턴중인 이재승 학생을 제외한 모든 학생들이 학회에 참석하였습니다.
연구실의 진성원 학생이 실제 수도미터 AMI 데이터를 활용한 "AMI 장기 시계열 예측" 관련 학부생 논문 및 포스터 발표를 잘 마쳤습니다.
(2023.11) 한전 전력연구원 세미나 발표 및 회의
대전의 한국전력 "전력연구원 (KEPRI)"을 방문하여 과제 관련하여 세미나를 발표하고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는 "AI기반 AMI 장기 시계열 예측"과 관련된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관련된 최신 연구 및 실제 데이터 적용 사례등을 발표하였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실제 AMI 데이터를 분석하여 AMI 데이터의 주기성을 확인한 실험 결과 및 장기 시계열 예측 결과등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습니다.
(2023.10) 김지범 교수 (컴퓨터공학), 양성구 교수 (생명공학)공동 연구팀 우수 논문 발표 및 포스터 수상
컴퓨터공학부 김지범 교수 연구실의 이재승 (석사과정), 최한슬 (학사과정) 학생이
생명·나노바이오공학과 양성구 교수님 연구팀과 함께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그래핀 전극을 이용한 파킨슨병 진단 및 치료"
가 2023년 한국생물공학회 및 KSBNS 2023에서 "우수논문발표" 및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었다.
김지범 교수 연구실에서는 최근 양성구 교수님 연구팀 및 ㈜지브레인과 뇌질환을 앓고 있는 쥐의 뇌파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학습 및 분석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2023.10) 인천 영선고 AI 특강
10월 19일에 인천 부평에 있는 영선고의 초청으로
"인천대 컴퓨터공학부 소개, 여행하는 세일즈맨 문제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해결"에 대해서 특강을 하였습니다.
Python 패키지 (Pandas, Matplotlib)들을 이용한 데이터 다루기, 시각화 실습
구글 OR-tools를 이용한 TSP 문제의 근사해 구하기
인공지능 모델 (Transformer 기반)을 이용한 TSP 문제의 근사해 구하기
와 같이 총 3가지의 실습을 구글 코랩을 사용하여 학생들과 같이 실습해 봤습니다.
관련 강의 자료 및 실습 코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바랍니다.
(2023.10) 생성형 AI 모델을 사용한 3D CAD 모델 생성 연구 논문이 전자공학회 논문지 12월호에 출판 예정
CAD Sequence 기반으로 오토인코더와 Diffusion 모델을 사용한 3D CAD 모델 생성 연구가 전자공학회 논문지 12월호에 출판 예정입니다.
Transformer 모델 기반으로 오토인코더로 잠재 공간을 학습하고 이를 Diffusion 모델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다양한 3D CAD 모델을 생성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2023.09) 연구재단 기초연구실팀 KSBNS 2023 학술대회 at 부산, 초록 논문 포스터 발표
기초연구실 과제 결과물로 그래핀 기반의 전기자극 치료를 통한 쥐의 뇌질환 치료효과에 대한 초록 논문을
양성구/김지범 교수 연구팀에서 부산에서 열린 KSBNS 2023에서 아래와 같이 초록 논문 포스터를 발표하였습니다.
(2023.09) 인천 과학터치 특강, 네이버 블로그에 소개 및 유투브에 공개 예정
8월 25일 인천 수봉도서관에서 특강한 "일상생활에서의 최적화 문제와 인공지능" 에 대하여 네이버 블로그에 그 내용이 소개되었습니다.
순회외판원 문제
욕심쟁이 알고리즘를 사용한 순회외판원 문제 해결
구글 OR-tools를 사용한 순회외판원 문제 해결
인공지능을 사용한 순회외판원 문제 해결
을 소개하였습니다. 특강에서는 초/중/고생 및 일반인 포함하여 40-50명 정도가 수강하였습니다.
앞으로 연구재단 유투브 통해서 내용도 공개된다고 합니다.
특가에서 사용한 코드들은 아래 깃허브에 공개되어있으니 실습 가능합니다.
(2023.08) 컴퓨터공학 전공자를 위한 필수 이산수학 책 번역 시작
컴퓨터공학에서 이산수학을 1학년 전공 필수로 배우기는 하지만
기존의 교재들은 다양한 전공자를 위한 교재이거나, 너무 내용이 방대하거나, 너무 문제 풀이 위주이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번에 번역을 맡게된 "Essential discrete mathematics for computer science" 책은
amazon 리뷰에서도 보듯이
컴퓨터공학 전공자를 타겟으로 만든 교재로 조금 더 맞춤형 교재이면서 가장 큰 장점은 예제가 너무 많습니다!
올해 말까지 맡은 부분에 대해서 번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글판 출간은 내년이 될것 같습니다.
(2023.07) vision transformer 기반으로 뇌파 spectrogram image 분석하는 특허 등록 결정
Vision transformer 모델 기반으로 EEG/ECOG 뇌파에 대한 spectrogram image를 attention map 기반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특허가 등록되었습니다.
Attention mechanism 기반으로 Attention map을 사용하여 뇌파를 분석하는 새로운 특허입니다.
Congratulations 재승, 한슬!
(2023.06) (축) 딘스플러스와 특허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23년 6월에 특허 제 10-2226871, "수도 관망내에서의 누수 심각도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가
한국발명진흥회를 중개로 누수 센싱 HW 업체로 소리와 진동 융합 센서를 제조하는 업체인 (주) 딘스플러스에 2천 만원에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번이 기업체와의 3번째 기술 이전 계약입니다.
공동 발명자인 재승이와 우진이는 추후에 수수료등을 제외하고 발명보상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Congratulations 재승, 우진!
(2023.06) KCC 2023 하계학술대회 참가
라마다호텔제주에서 열린 KCC 2023 하계학술대회 (3박 4일)에 연구실 재학생들 (이재승, 정민섭, 최한슬, 박진영, 진성원)이 참가하였습니다.
불균일 데이터 학습을 위한 Diffusion model 기반의 데이터 증강 방법
EEG 신호에 대한 BPF 필터의 효과
대규모 언어모델에 대한 LORA 및 프롬프팅 관련 연구
등에 대해서 공부하고 왔습니다.
(2023.05) GAILAB 스승의날 기념 행사
GAILAB에서는 2023년 5월에 스승의날 기념으로 스승의 날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스승의날 행사에는 졸업생 6명, 재학생 5명을 합쳐서 총 12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졸업생으로는 신명규 (MaxST, 석사17년 졸업 ), 김하림 (마이다스인, 석사 18년 졸업), 최준혁 (SK 하이닉스, 석사 19년 졸업), 최우진 (미로, 석사 22년 졸업), 김민성 (케어스퀘어, 석사 23년 졸업), 곽욱현( 엔라이즈, 학사 17년 졸업)이 참석하였습니다.
(2023. 05) 인천대 김지범 교수, 발명의날 '특허청장 표창 '수상
인천대 김지범 교수가 5월 12일 제 58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특허청장 표창'을 수상하였다.
김지범 교수는 ICT-E (스마트 워터) 관련 특허 및 산학협력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 표창을 받게 되었다.
이날 기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하여 발명인들을 격려하였다.
관련 기사: 연합뉴스
(2023.03) 컴퓨터 공학부 김지범 교수팀 시뮬레이션 분야 Top 저널인 Engineering with Computers에 논문 게재 (JCR 랭킹 상위 2%),
제목은 "GMR-Net: GCN-based Mesh Refinement Framework for Elliptic PDE Problems"으로 논문에서는 GCN 기반의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non-uniform (비균
일)한 메쉬를 자동으로 생성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2023.03) GAI Lab 석사과정 이재승 학생이 네델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메쉬 분야의 권위있는 학회인 SIAM International Meshing Roundtable (IMR)에서 아래논문 발표자로 15분간 발표하였습니다. 학회에는 LANL, LLNL, German Aerospace center, ANSYS등 메쉬/CAD/시뮬레이션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습니다.
이재승 학생은 Navier Stokes 기반의 CFD 문제에서 ResNet 기반의 딥러닝 모델로 nozzle exit에서 3가지 condition (over expansion/perfect/under expansion) case에 대하여 shock behavior를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 이재승 학생 논문 발표 사진
- 학회가 열린 네델란드 암스테르담 사진
(2023.03) GAILAB 김민성 석사과정 학생이 2년간의 석사 과정을 성공적으로 졸업하고 병역 특례 회사인 케어 스퀘어에서 병역을 대체하면서 병역특례로 인공지능 담당 석사 전문연구 요원으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Congratulations!
(2023.02) 인천대 기초연구실과제 (BRL) 심포지움 참석 및 발표
인천 영종도 네스트 호텔에서 2023년 2월 27일에 열린 연구재단 기초연구실과제 (BRL) 심포지움에 참석하여 기초연구실 과제를 수행중인 생명공학부의 양성구, 김재근, 송광훈 교수님, 홍콩 과기대의 양성칠 교수님과 함께
"ML 기반으로 뇌질환을 앓고 있는 쥐와 그래핀 기반의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치료후 쥐의 뇌파 분석" 에 대하여 발표하였습니다.
www.news1.kr/articles/?4823660
kotechmarket.com/view.php?num=513198&tb=&count=&category=2261&pg=1&list_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