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및 지역 공간구조분석은 주거, 산업, 기반시설의 입지를 효율적으로 계획하는데 필수적이며 주거, 산업, 기반시설의 입지는 교통, 환경, 도시 경쟁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도시의 지역의 성장과 쇠퇴와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이의 중요성이 점차 범세계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우리 연구실은 도시공간구조를 설명하는 전통적 입지이론과 최근의 도시 스프롤 및 메가리전의 기능적ꞏ형태적 구조를 도시지리 및 경제지리학 측면에서 연구하며 도시 및 지역 공간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공간구조분석기법, 계량경제모형, micro economic theory 등을 이용한 각종 모형들을 연구 및 적용한다.
다양한 도시성장관리 정책수단과 이론에 대한 연구들을 리뷰 및 탐독하며 대도시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선진 외국을 포함한 현대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도시 및 지역의 성장 또는 쇠퇴 이론들과 지역의 균형 및 불균형 이론들을 습득하여, 개별도시 단위가 아닌, 여러 도시들이 협력하여만 해결할 수 있는 지역간 기반시설 문제, 기후변화 문제 등을 다루는 광역계획 및 메가리전 계획 연구 및 새로운 도시성장관리 정책과 수단의 개발모색과 도시공간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과학적 결과를 도출
경제개발(Economic development)연구는 국민생산의 증대를 뜻하는 좁은 의미의 경제성과는 다른 개념으로, 우리 연구실에서는 경제발전의 주된 요인인 기술진보, 자본축적, 인구증가 등의 원천적 원인을 도시에서 찾으며, 경제성의 증대를 목표로 그에 맞는 도시현상에 대하여 연구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시 및 지역경제 향상과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는 연구결과를 추구
교수님 연구실, Professor's Office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배봉관 310 / 02504
02504 / Baebong hall 310, Seoulsiripdae-ro 163, Dong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
학생 연구실, Researchers' Office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창공관 406 / 02504
02504 / Changgong hall 310, Seoulsiripdae-ro 163, Dong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