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modulate multi-platform omics combining chromatographic system and mass spectrometry to investigate biochemical processes of cell, tissue, organ or organism with various phenotypes. Mass spectrometry imaging (MSI), novel molecular imaging technique, is also utilized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of biomolecules across the tissue of interest. The ultimate goal of our group is to develop cutting edge techniques that could elucidate chemical profiles deep inside the single cell to subcellular compartment.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약품분석학 전공 이동규 교수 연구실입니다. 저희 실험실은 약학 및 생물학에서 활용하는 분석화학적 기기 및 질량분석 플랫폼을 이용하여 생체물질을 분석하는 오믹스학 관련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Chromatographic system과 mass spectrometry 연계를 이용한 high-throughput chemical profiling과 더불어 biomarker를 검출하기 위한 통계분석 등 오믹스학의 주요 기술들을 활용합니다. 저희 실험실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존의 오믹스학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생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단계인 single cell 부터 subcellular organelle까지의 분자 검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현재까지 밝혀지지 못한 생체분자의 활용을 찾는 것입니다.
LC/GC 등 분리분석 시스템-질량분석기 연계활용
기반 생체분자 프로파일링 신규 기술 개발
Exogenous/endogenous phenotypic alteration에 따른 metabolite 및 lipid 수준의 생체 내인성 대사
조절 연구
> 환경오염물질의 장기노출에 따른 독성평가를 위한 metabolite level biomarker 발굴
> 의약품 후보 등 외인성 물질의 metabolite/lipidomic mode of action 규명
동위원소표지와 질량분석 기반 isotopic flux analysis에 기반한 대사 흐름 분석
대사 추적 기반 대사 우회 경로 신규 발굴
> 지질 대사 추적 플랫폼 개발
냄새/향취 구성 휘발성 물질 생합성 유래 추적
신규 휘발성 물질 분석 기술 개발
> 3D printer 기반 휘발성 물질 추출 장비 개발
> 배양 세포 휘발성 대사 분석 기법 개발
질량분석이미징 기반 조직 내 exogenous/endogenous compound 분포 규명
동위원소 표지 및 nanoscale imaging MS 기반 세포 소기관 수준의 대사 분포 관찰
> 세포 소기관 수준 지질 대사 분포 관찰
수행 연구과제
보건복지부 -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나노바이오틱스 기반 염증성 장질환 치료기술 개발 (2023)
한국연구재단 - 세포소기관 지질 생합성 동위원소 추적법 개발 및 지방대사 제어기전 연구 (2023)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 중 비의도적 불순물 저감화 전략 마련을 위한 연구 (2023)
한국연구재단 - 지질 대사추적 플랫폼 기반 암 지질 생합성 우회 경로 규명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 건강기능식품 기기분석 시험법 체계 개선 연구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안전성 평가 연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