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4일 학술대회 개최
증빙서류(영수증, 참석확인증 등)가 필요하다면 학회 이메일(kpa16.digital@gmail.com)로 문의 주세요.
자료집 암호안내 메일을 받지 못하신 경우, 학회 메일(kpa16.digital@gmail.com)로 이름과 소속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Charting Psychology’s Future in the Age of GenAI 초청강연에 사용한 음성 텍스트 변환 및 번역 기능은 사용방법과 팁을 정리한 후에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
대회명: 2025 한국디지털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일시: 2025. 10. 24.(금) 09:30~18:00
장소: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8로 71, LG사이언스파크 E9동, 지하 1층(B1)
학회장 내 주차는 불가합니다.
주최: 한국디지털심리학회
후원: ㈜LG전자, 한국심리학회, 연세대학교 AI마인드 연구소
협찬: ㈜휴노, ㈜사회평론아카데미, ㈜학지사
Zhicheng Lin(연세대학교 심리학과) Charting Psychology’s Future in the Age of GenAI
GenAI presents both a new challenge an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psychological science. Our field currently grapples with several structural issues—including fragmented knowledge, sparse data, and persistent replication problems—that limit our real-world impact. This talk will argue that rather than viewing AI as a mere tool, we should aspire to a deeper symbiosis: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where AI advances psychology, and psychology informs the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AI.
First, we will explore how AI can provide solutions to psychology’s long-standing limitations. This includes enabling new methodologies relevant to digital psychology practitioners, like executable publications, and creating “living evidence networks” for real-time analysis and synthesis. Tangle outcomes include: dynamically updated meta-analyses on the effects of digital interventions; resolution of conceptual fragmentation in near real-time (see https://osf.io/preprints/psyarxiv/c46hs_v4). Second, we will discuss the critical role of psychological science in shaping the future of AI, from testing and validating AI models to ensuring they are developed ethically and aligned with human well-being. Finally, this talk will outline a forward-looking research and educational agenda,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s for the Korean psychological community to position itself at the forefront of this new, integrated scientific paradigm.
이건명(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AI 연구자에게 심리학자가 묻다
이 강연은 심리학자들의 질문을 통해 인공지능과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탐색하는 자리입니다. AI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얼마나 이해하고 닮을 수 있는지, 그리고 기술 발전 속에서 어떤 윤리적‧사회적 고민이 필요한지를 함께 성찰합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학문 간 대화의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정수근(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심리학 연구에서의 인공지능: 가능성과 한계
인공지능은 문헌 조사와 원고 교정뿐 아니라 연구 질문의 도출,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이르기까지 심리학 연구 전반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동시에 인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인간을 비교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심리학 연구 전반에서 나타나는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인공지능 도입의 인지적·방법론적·윤리적 영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정재범(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비대면 ai 정신/신체건강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제작 및 연구
휴먼데이터(설문지, 행동데이터, 생체신호) 측정 솔루션을 이용하여 ai 상담, 디지털 치료제 후보군을 이용한 치유 콘텐츠 제공 및 추천, ai 헬스케어 모듈 활용, 교육 등 심리학의 여러 분야를 디지털화 하고 이를 통해 휴먼데이터 수집, 측정, 분석 기술을 고도화 함.
안미화(LG유플러스) AI는 마음관리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일기를 쓰면 AI가 답장을 주는 서비스, 답장받는 다이어리 '답다'는 일상의 마음관리 서비스를 넘어 늘 내 곁에 함께하는 AI친구가 되고자 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답다의 개발 배경과 사용자 경험을 통해 심리학과 AI가 어떻게 조화롭게 일상에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지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훈재(카카오) AI와 플랫폼 시대의 사용자 심리: 심리학자의 참여 가능성과 미래 과제
AI와 디지털 플랫폼은 사람들의 경험과 감정, 행동 동기, 웰빙까지 폭넓게 영향을 주면서 새롭고 복잡한 심리학적 질문들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제가 경험한 현장 사례를 토대로 심리학자가 산업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관여하고 협업하며 기여할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울러 심리학자의 강점과 한계, 역할 확장의 여지, 그리고 앞으로 필요한 준비와 역량에 대해서도 차분히 이야기 나눌 예정입니다.
연구발표
AI/디지털 활용팁 공유
사전등록: 비회원 12만원, 정회원 할인가 6만원, 준회원 할인가 3만원, 대학원생 3만원, 학부생 2만원
현장등록: 비회원 24만원, 정회원 할인가 12만원, 준회원 할인가 6만원, 대학원생 6만원, 학부생 4만원
점심 식권 및 다과를 제공합니다.
보증금 납부: 사전등록 시 보증금 1만원을 납부합니다. 보증금은 학술대회 당일 학회장에서 현금으로 돌려드립니다. 보증금 송금 계좌는 사전등록 form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등록 취소 및 보증금 환불: 10월 20일까지 학회 메일(kpa16.digital@gmail.com)로 문의주시면 등록 취소 및 보증금 환불이 가능합니다.
등록비 결제: 사전등록, 현장등록 상관없이 현장에서 결제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은 불가하오니 연구비 사용 증빙이 필요하신 경우 연구비카드를 지참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원 할인가: 사전등록을 기간 내(~10/16 18시)에 하신 후, 학회 가입을 학술대회 개최 전까지 완료하여도 회원 할인가가 적용됩니다.
학회 메일(kpa16.digital@gmail.com)로 요청 주시면 보내드립니다.
학회 고유번호증
학회 통장사본
학술대회 포스터 파일
안내 페이지: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