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의 전개 과정을 학생들의 시선에 맞춰서 클레이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빠른 전개 속도가 돋보입니다. 사진으로 보면 잔인하게 느껴질 수 있는 장면들도 순화되어 나와있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에게도 보여주기에 좋습니다.
영화 '화려한 휴가'의 장면을 5분 18초에 요약 정리한 영상. 영화 속에서 당시 5·18 민주화운동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배려와 존중이다'는 이야기로 마무리되어, 아이들과 확장된 의미로 이야기도 나눌 수 있습니다.
40년 전 그날의 이야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스토리 텔링 방식으로 만든 '오월의 선물' 클레이 애니메이션입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1년 전, 부마에서 민주항쟁이 있었습니다. 군부독재에 대한 저항에서 출발했으며, 대한민국의 4대 민주항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1980년 5월 광주에서 일어난 사건을 편지 형식으로 각색한 영상. 7분 정도의 시간 동안 5·18 민주화운동의 과정와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모션 그래픽 형태(1분 25초)로 만든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UCC 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간단한 표현 방법과 효과적인 전달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영상입니다.
1980년 SNS가 있었다면? 이라는 물음으로 시작해서 현재의 민주주의를 위한 활동에서의 네트워크 의미와 대비하여 연결된 영상. 5분, 10분 등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음. (5·18 기념재단 제작)
선생님이 교실 안에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서 들려주는 20분 정도의 애니메이션.
(3학년 이상 학생들에게 추천합니다.)
(5·18 기념재단 제작)
2020년, 5·18 40주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든 사적지 브이로그 자료 (국립 5·18 민주묘지)
2020년, 5·18 40주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든 사적지 브이로그 자료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
광주를 달리는 518번 버스를 타고 사적지를 방문하며, 의미를 찾아가는 영상입니다. (광주KBS제작)
주남마을부터 금남로, 기록관, 전일빌딩, 묘역까지 당사자들에게 듣는 오월의 이야기.
5·18 왜곡은 보통 지만원의 주장일 출처입니다. 대표적인 3가지의 내용을 2007년 국방부 보고서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하나씩 반박한 영상.
JTBC 뉴스룸에서 다룬, '미국 국무부 보고서'에 나와있다는 지만원과 가로세로연구소 주장에 대한 반복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