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s
학술논문
학술논문
Heo, J., Yi, K., Hong, J., & Kim, C. (2023). The role of the prefrontal cortex in semantic control for selecting weakly associated meanings in creative idea generation. Neuroscience Letters, 137177.
Yi, K., Heo, J., Hong, J. & Kim, C. (2022). The role of the right prefrontal cortex in the retrieval of weak representations. Scientific Reports, 12, 4537.
Kroger, J. & Kim, C. (2022). Frontopolar Cortex Specializes for Manipul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Frontiers in Systems Neuroscience, 16, 788395.
Yi, K. & Kim, C. (2020). Dissociable neural correlates of spatial attention and response inhibition in spatially driven interference. Neuroscience Letters, 731, 135111.
Lee, Y. & Kim, C. (2019). The role of frontopolar cortex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flict adaptation. Neuroscience Letters, 705, 212-218.
Kim, C., Hur, M., Oh, Y., Choi, JH., Jeong, JJ. (2016). The Effect of the Running-Man Emergency Exit Sign and its Installed Location on Human Directional Choice.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30, 1014-1019.
Bae, S., Choi, JH., Kim, C., Hong, WH., Ryou, H.S. (2016). Development of new evacuation model (BR-radiation model) through an experiment.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30, 3379-3391.
Kim, C., Shin, G., & Hur, M. (2016). An Integrative View of Conflict Adaptation and Active Maintenance.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58, 284-295.
Choi, Y., Lee, S., Jung, S., Choi, IM., Park, YK., & Kim, C. (2015). Development of an auditory emotion recognition function using psychoacoustic parameters based on the International Affective Digitized Sounds. Behavior Research Methods, 47, 1076-1084.
Kim, C., Kroger, J.K., Calhoun, V.D., & Clark, V.P. (2015). The Role of the Frontopolar Cortex in Manipulat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Neuroscience Letters, 595, 25-29.
Shin, G. & Kim, C. (2015).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Style and Flexible Cognitive Control. NeuroImage, 113, 78-85.
Zhu, Z., Johnson, N.F., Kim, C., & Gold, B.T. (2015). Reduced frontal cortex efficiency is associated with lower white matter integrity in aging. Cerebral Cortex, 25(1), 138-146.
Choi, Y., Lee, S., Choi, IM., Jung, S., Park, YK., Kim, C. (2015). International affective digitized sounds in Korea: a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study. Acta Acustica united with Acustica, 101(1), 134-144.
Kim, C., Johnson, N.F., & Gold, B.T. (2014). Conflict Adaptation in Prefrontal Cortex: Now You See It, Now You Don't. Cortex, 50, 76-85.
Kim, C., Chung, C., & Kim, J. (2013). Task-dependent response conflict monitoring and cognitive control in anterior cingulate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ices. Brain Research, 1537, 216-223.
Johnson, N.F., Kim, C.., & Gold, B.T. (2013). Socioeconomic statu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ontal white matter integrity in aging. AGE, 35(6), 2045-2056.
Gold, B.T., Kim, C.., Johnson, N.F., Kryscio, R.J., & Smith, C.D. (2013). Lifelong bilingualism maintains neural efficiency for cognitive control in aging. The Journal of Neuroscience, 33(2), 387-396.
Kim, C., Johnson, N.F., & Gold, B.T. (2012). Common and distinct neural mechanisms of attentional switching and response conflict. Brain Research, 1469, 92-102.
Kim, C., Chung, C., & Kim, J. (2012). Conflict adjustment through domain-specific multiple cognitive control mechanisms. Brain Research, 1444, 55-64.
Kim, C., Cilles, S.E., Johnson, N.F., & Gold, B.T. (2012). Domain general and domain preferential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task switching: A meta-analysis. Human Brain Mapping, 33(1),130-142.
Johnson, N.F., Kim, C., Clasey, J.L., Bailey, A., & Gold, B.T. (2012). Cardiorespiratory fitnes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erebral white matter integrity in healthy seniors. NeuroImage, 59(2), 1514-1523.
Kim, C., Johnson, N.F., Cilles, S.E., & Gold, B.T. (2011). Common and distinct mechanisms of cognitive flexibility in prefrontal cortex. The Journal of Neuroscience, 31(13), 4771-4779.
Kim, C., Kroger, J.K., &. Kim, J. (2011). A functional dissociation of conflict processing within anterior cingulate cortex. Human Brain Mapping, 32(2), 304-312.
Kim, C., Chung, C., & Kim, J. (2010). Multiple cognitive control mechanism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conflict. Neuroscience Letters, 476(3), 156-160.
허주연, 박중규, 강효신, 홍지윤, 김초복(2025). 집행기능과 ADHD 증상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지의 조절효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6(3), 431-441.
허주연, 박중규, 강효신, 김초복(2024). 창의적 인지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사고개발, 20(1), 127-148.
허주연, 홍지윤, 박중규, 강효신, 김초복(2023). 핵심 집행기능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사고개발, 19(2), 27-45.
허주연, 김초복(2022). 창의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 관한 개관: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3), 163-177.
홍지윤, 김초복(2022). 창의적 사고와 집행기능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집행기능 유형과 자극 양식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3), 149-161.
홍지윤, 김초복(2021). 작업기억 부하와 시행 맥락이 효율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3(1), 79-85.
허주연, 김초복(2020). 과제세트 관성과 재구성이 단서 및 자발적 과제전환의 전환비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4), 319-328.
이경면, 김초복(2020). 반응시간 분석으로 관찰한 실수와 착오의 행동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3), 271-277.
홍지윤, 허주연, 이경면, 이창훈, 김초복(2020). 웹 기반 인지기능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사회과학연구, 31(3), 3-20.
김초복, 허주연, 홍지윤, 이경면, 박중규, 신창환(2020). 치매 선별을 위한 도형모사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노년학, 40(2), 325-340.
이경면, 최준호, 김초복(2020). 2차원 및 3차원 지도 학습이 길찾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1), 21-27.
허민영, 김초복(2019). Individual Differences in Regional Gray Matter Volumes According to the Cognitive Style of Young Adults. 감성과학, 22(4), 65-74.
오윤경, 김초복(2019). Neural Correlates of Object and Verbal Cognitive Style during Task Switch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1(3), 199-209.
김초복, 이윤지(2019). The Influence of an Anxious Mood on Human Directional Choice by Enhancing Focused Atten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1(2), 181-190.
이경면, 홍지윤, 허주연, 허재홍, 김초복, 신창환, 이효녕, 이우진(2019). 영역 특수성 기반 작업기억 훈련의 효과: 사회 취약계층 아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1), 195-210
박영신, 김초복(2018). 수반자극과제로 살펴본 인지적 통제의 발달과 자기통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2), 41-59.
신창환, 이효녕, 김초복, 허재홍(2018).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2), 155-171.
이현동, 김초복, 신창환, 이우진, 허재홍, 이효녕(2018).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취약계층 학생과 일반 학생의 시스템 사고 비교 분석: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66(1), 307-327.
김초복, 허주연, 홍지윤, 이경면(2017). 오류 유형과 성격특성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9(3), 315-322.
서희영, 김초복(2017). Neural Evidence for Cognitive Style-Specific Strategies in Cognitive Control.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9(3), 197-220.
김초복, 이경면(2017). 기계학습을 통한 개인특성 예측. 사회과학연구, 28(2), 237-249.
이경면, 김초복(2016). 기계학습을 통한 수행오류 예측 및 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3), 543-562.
오윤경, 김초복(2016). 과제전환에서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2), 241-252.
이윤지, 김초복(2016). 자극 간 간격에 따른 능동적 통제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1), 45-66.
김초복, 서희영, 허민영, 이윤지, 오윤경, 최준호(2016). 통로유도등의 안내 방향과 설치 위치에 따른 공간 스트룹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1-12.
박명옥, 김초복, 신화경, 손준우(2015). 한국형 뇌졸중 운전자 적격성 검사(K-SDSA)의 타당화 연구, 23(4), 87-102.
홍선주, 이명진, 정은주, 김초복, 손영돈(2015). ADHD 아동용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209-232.
이명진, 홍선주, 신경희, 김초복 (2015). 아동용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예비연구. 사회과학연구, 26(4), 27-44.
박현진, 김초복, 박영신(2015). 갈등적응효과로 살펴본 인지적 통제의 연령차.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3), 171-187.
최준식, 김초복(2015). 반응시간에 기반한 수행 오류 예측. 사회과학연구, 26(2), 3-21.
서희영, 김초복(2014). 영역 특수성에 따른 작업기억의 훈련 효과: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6(4), 207-231.
허민영, 김초복(2014). 신경효율성의 개인차에 관한 고찰: 인지양식과 과제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6(3), 171-192.
신경희, 김초복(2013). 대상, 공간 및 언어 인지양식에 따른 작업기억 과제 수행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5(4), 539-563.
김초복(2013). A review of neuroimaging analyses for understanding human brain functions.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6(2), 1-14.
전윤수, 김초복(2013). 중다 수준의 과제 전환에 관여하는 뇌신경망: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5(3), 341-358.
김초복(2013). A review of working memory models: Cogn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es.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6(1), 55-80.
김정훈, 김초복(2007). 얼굴범주화 과정에서의 이력현상(hysteresis)과 뇌 활동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9(1), 39-51.
서창원, 전하정, 김초복, 민윤기(2006). 작업기억 부하가 공간 스트룹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8(3), 1175-1188.
민윤기, 김초복, 정종욱(2006). 작업기억의 연령차와 상태불안 및 인지간섭의 조절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지, 8(3), 1611-1173.
민윤기, 김초복(2005). 시각 및 집행작업기억의 부하가 스트룹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7(6), 2257-2272.
김정훈, 김초복, 전하정, 문성실(2005). 전문가 학습과정에 의한 얼굴과 대상인식,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3), 343-362.
유관호, 서창원, 김초복(2005). 사건-의존 미래기억이 동시진행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fMRI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1), 35-49.
김정훈, 김초복, H. R. Wilson, F. Wilkinson(2004). 얼굴인식에서 전체윤곽-국소특징에 대한 선택적 뇌 활성화: fMRI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3), 337-352.
김초복, 서창원, 민윤기(2004). 시각작업기억 및 중앙집행부의 부하가 시각탐색의 효율성과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1), 93-109.
김정훈, 김초복(2003). 얼굴인식에 있어 방사주파수 정보의 뇌 실재성.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5(4), 56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