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가 짠 커리큘럼은 큰 흐름을 다잡는 모형 수준이면 된다.
- 학생 개개인 또는 팀의 개별화 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거꾸로 수업, 퍼실리테이터로써의 교사의 역할 등)
- 교사가 모든 내용을 학습해서 가르칠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
- 그럼에도, 교사는 끊임없이 공부해야 한다.
- 문제의 발견과 해결, 기록과 공유 활동을 모두 학생이 주도한다.
-‘Social Impact’라는 구심점을 통해 다 함께 잘 살아감의 가치를 느끼도록 안내한다.(https://goo.gl/REmWEX)
학생과 함께 OPP 수업시작하기(초지고 김원혁)
구글사이트 도구를 활용한 OPP제작(학생용) 상계제일중 여은미
팀소개 및 팀 역할 분담 -성명, 연수번호 반드시 기재
- 일반적 역할 분담: 팀리더, 디자이너,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레코더 등
공감을 통한 프로젝트 선정 동기(프로젝트의 필요성)
기본 아이디어
아이디어의 구체화
- 스케치, 도면, 구체화된 아이디어 등
재료표
제작 과정
- 시간순 제작과정, 실패와 성공 과정 , 문제 해결 과정, 제작시 유의과정, 느낀점 등을 텍스트, 영상, 사진 등으로 표현
- 제작 과정을 상세히 표현하여 제작과정만으로 따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표현
프로젝트 결과
결과에 대한 소감 및 피드백
- 추후 제안 사항, 유의사항 등
기타 공유하고자 하는 내용
- 조작법, 제작영상, 설문조사, 댓글 등
메이킹 프로젝트 활동에서의 팀구성(상계제일중 여은미)
구글 사이트 도구 활용하기(성서중 문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