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미술관에서 시각 안내 방법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이론적배경
2-1. 기존 미디어와 VR 미디어와 차이
2-2. 시각 안내의 종류
2-3. 가장 효과적인 물체 선정
연구 방법 계획
3-1. 연구 절차
3-2. 연구 대상 및 실험 과정
3-3. 실험 도구
3-4. 설문 설계
가설
결론
서론
1.1 연구의 배경
제페토
가상 갤러리와
NFT 예술
디센트럴랜드에서
선보인 소더비
가상 갤러리
LG IFA
(1) 최근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비대면 콘텐츠 수요가 늘어나는 중
(2) 가상 전시는 관람자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참여의 기회를 제공함
(3) VR을 통한 전시는 관람객의 몰입에 다른 매체를 이용한 가상 전시보다 긍정적인 미침
2.1 연구의 목적
(1) 시각 안내는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를 정확히 관람자에게 전달되도록 도움을 줌
(2) 움직임이 많은 스포츠와 정적인 여행 콘텐츠에서 선호되는 효과는 선호되는 방식이 다르다 .
(3) 선행연구에서 7가지 시각안내를 비교 목표물을 향해 반딧불이처럼 움직이는 작은 물체를 통한
시각안내 효과가 가장 효과가 좋음
(4) 움직이는 물체의 종류를 시각적 현저성에 따라 나누고 가장 효과적인 것을 찾고자 함
이론적 배경
2.1 기존 미디어와 VR 미디어와 차이
전통적 영화나 콘텐츠
촬영
미장센
청각적 구성
편집
VR 환경
시선 방향이 움직임에 따라 주요 사건이 진행되거나 멈춤
주요사건과 물체가 시청자의 시선에 따라 움직여야 함
시각안내를 통해 사건과 물체 쪽으로 주의를 유도해야 함
2.2 시각 안내의 종류
(1)Lasse T. Nielsen 의 연구
명시적, 암시적
디제틱(diegetic), 논-디제틱(non-diegetic)
인터렉션의 자유도
(2) Marco Speicher의 연구
7가지의 시각적 안내를 설계하여 연구
안내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은 물체가 가장 효과적
2.2 가장 효과적인 안내 물체 선정
(a) 반딧불이처럼 빛을 내는 구
특별한 형태가 아닌 빛을 내는 구가 화면을 날아다니며 시선을 유도함
Veas, E. E., Mendez, E., Feiner, S. K., & Schmalstieg, D. (2011, May).
Nielsen, L. T., Møller, M. B., Hartmeyer, S. D., Ljung, T. C., Nilsson, N. C., Nordahl, R., & Serafin, S. (2016, November).
(b) 물체 원으로 궤적을 그리며 움직임
목표로 물체가 궤적을 그리며 이동
Rothe, S., Hußmann, H., & Allary, M. (2017, November).
(c) 날개 짓과 같은 작은 움직임
나비, 벌새와 같은 형태의 움직임
Peck, T. C., Fuchs, H., & Whitton, M. C. (2009).
(d) 배경과 대비되는 색
색조를 조정하여 시선 안내를 유도
Mateescu, V. A., & Bajić, I. V. (2014, November).
(e) 화살표 형태
관람자의 시야 안에 있는 물체를 탐색하는 것에 효과적
Harada, Y., & Ohyama, J. (2021).
연구 방법 계획
3-1. 연구절차
3-2. 연구대상 및 실험 과정
(1) 20~40세의 사람들을 대상
(2) VR이 아닌 모바일, 데스크탑 등 기존 매체를 주로 이용해본 사람
(3) 해당 전시를 오프라인으로 하지 않은 사람
3-3. 실험 도구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32
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3-4. 설문 설계
가설
(1) 시각 안내 물체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잔상을 남기며 움직이는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좋으나 안내에 혼란을느낄 것이다.
(3) 날개짓과 같은 작은 움직임 안내 방법은 몰입도와 시선유도 안내에 가장 적합할 것이다
(4) 화살표 형태 안내 방법은 시선 유도에는 용의하나 몰입을 방해할 것이다.
결론
(1) 시각안내는 향후 가상현실 콘텐츠에 효과적으로 몰입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향후 가상 전시 기획과 전시 방법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기를 기대
(3) 후속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콘텐츠 내에서 활용되는 시각 안내의 효과에 대한 이해가 더욱 다양하게 구체화되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