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계획
결론
1.1 연구의 배경
LED 기술 개발로 값싼 LED가 제작 됨에 따라 LED를 활용한 공공 미디어 아트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존 영상에서 보이던 2D의 공간에서 벗어나 하나의 3D 공간처럼 보여지고 있으며 그러한 영상들이 데페이즈망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습니다.
공공 미디어 아트를 데페이즈망 기법에 근거하여 제작하고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1 이론적 배경
주로 우리의 주변에 있는 대상들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그것과는 전혀 다른 요소들을 작품 안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일상적인 관계에 놓인 사물과는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는 초현실주의 방식입니다.
1. 데페이즈망 기법의 표현 특성
알렉산드리안(Sarane Alexandrian)의 6가지 분류법
(1)세부의 확대 : 거대한 사과, 혹은 방안을 꽉 채운 장미
(2)보충적인 사물과의 결합 : 잎과 새, 잎과 나무, 산과 독수리 등
(3)무생물의 생물화 : 발가락을 가진 구두, 유방을 가진 옷
(4)신비로운 개방 : 의외의 광경 쪽으로 열리는 문
(5)생물의 물질적 변형 : 종이 부스러기로 만들어진 사람,
(6)해부학적인 경이 : 팔목이 여자 얼굴로 된 손
2.데페이즈망 기법의 표현 특성
수지 개블릭(Suzi Gablik)의 8가지 분류법
(1)고립 : 오브제를 기존의 고유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원래 있던 환경에서 떼어 엉뚱한 곳에 가져다 배치함을 의미합니다.
(2)변경 : 오브제 속성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어떤 한 측면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3)혼합(Hybridzation)혹은 합성 : 대상물을 결합하여 보는 이에게 당혹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람의 신체 일부에 물고기 형태를 결합하거나 <알마이에의 광기>에서처럼 나무 밑 둥, 이질적 사물들을 결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크기의 변화 : 위치 혹은 물질을 변화하여 당혹함을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5)우연한 만남 : 평소에는 함께 만날 수 없는 사물을 나란히 배치함을 의미합니다.
(6)이미지의 중첩 : 새 모양의 산이나 배 모양의 바다 같이 작품<붉은 모델>에서처럼 두 사물을 하나의 이미지로 중첩함을 의미합니다.
(7)역설 :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사물이 하나의 작품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8)개념적 양극성 : 밖과 안의 풍경처럼 두 상황을 단일 관점에서 관찰하는 이미지 해석으로 작품 <기적의 나라>에서
테이블 위 꽃다발에 밖의 경치를 표현한 것처럼 외부와 내부를 단일 이미지 안에 포함하는 그림의 반 명제적 개념 방법을 의미합니다.
2.1 이론을 토대로 제작 된 사례
데페이즈망 기법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영상들은 우연한 만남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크기의 변화, 신비로운 개방, 역설 등 다양한 데페이즈망 기법을 섞어서 공공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3.1 연구 절차
1.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설정
2.데페이즈망을 적용한 공공 미디어 아트 영상 취합
3.영상 시청하며 설문조사
4.설문 조사를 기반하여 제작
3.1 연구 대상 및 방법 설정
1.20세~50세 남성과 여성
2.데페이즈망 기법에 대해 들어본 피험자, 들어보지 못한 피험자
기존에 제작되었던 공공 미디어 아트와 영상들을 준비합니다.
수지 개블릭의 8가지 분류법, 알렉산드리안의 6가지 분류법을 무작위로 설문지에 배치합니다.
공공 미디어 아트를 시청합니다.
준비 된 영상들을 순서 상관 없이 시청하면서 설문지에 나와있는 키워드를 선택합니다.
시청하면서 느껴지는 느낌을 바로 알기 위해 데페이즈망 기법에 대해 설명은 따로 하지 않습니다.
공공 미디어 아트 제작 시 사람들이 설문했던 기법을 토대로 제작합니다.
설문했던 기법이 정말 효과적이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후속 연구에서는 선택하지 않은 기법을 토대로 공공 미디어 아트 제작 시 효과적일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