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로도 만들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A0)가 조도센서에 닿기 이전에 저항이 입력 신호를 커트하여 신호값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조도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입력신호값(수준)이 만들어져 LED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재한다.
→ 결론은 저항의 위치가 전체 회로 기능 작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미친다는 것!!!! 입력 신호를 커트하는 위치로!!
출력 신호만을 고려할 때는 저항의 위치가 어디든 위치만 하면 되지만 입력 신호를 받을 때는 저항 위치 중요함!!
2) 블록코딩을 통한 피지컬 컴퓨팅 시뮬레이션하기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블록코딩을 작성하고, 조도센서의 입력값을 조절하여 LED가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실제 회로도
4) 기능 테스트 영상
블록코딩 코드 변환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아두이노 C++코드
1) 아두이노 코딩
<업로드 모드 메세지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읽어온 아날로그 값을 스프라이트와 연계하여 팬다에서 신호값 확인,
조도센서의 인식한 아날로그 조도 입력값은<아날로그핀 읽기> 블록으로 이용 가능함(별도 블록 설치 안해도 됨!)
2) 스프라이트 코딩
아두이노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조도 신호값을 message 변수에 담아 펜다가 화면으로 송출함,
새로운 신호값을 화면으로 확인하고 싶을 경우 아두이노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 초기화된 새로운 값을 확인할 수 있음
조도센서의 인식한 아날로그 조도 입력값은<아날로그핀 읽기> 블록으로 이용 가능함(별도 블록 설치 안해도 됨!)
3) <업로드 모드 브로드캐스트> 확장 기능 설치
"업로드 모드 메세지를 수신할 때" 라는 블록을 이용하려면 <업로드 브로드캐스터> 확장 기능을 설치해야 한다.
(아두이노와 스프라이트 모두 해당되는 사항임! 따라서 2번 설치해주어야 함)
Copyright 2022. Seongchae Cho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