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 일
Journal of Intellignet Manufacturing에 2025년 네번째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항공 부품 (항공기 주요 구조체)를 제작 시 대부분 티타늄과 같은 난삭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공구 수명이 예측이 어려운 이유로 공구 수명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다회 교환을 하는 등으로 인해 제작 비용이 예상하기 어려우며 계속 증가를 한다는 문제를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대부분의 디지털 트윈 기술은 단순 동기화 수준에서 진행하지만, 본 연구의 경우 매우 복잡한 물리적 작용이 발생하는 절삭 공정에서 물리모델 (절삭메커니즘 등), AI 알고리즘, 가상에서 물리모델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시각화-물리모델 연계 기술), 실험적 검증, FEM 해석 등 절삭 공정에 대한 최신 분석기술들이 총망라되어 절삭공정 디지털 트윈 내에 Intergration되어 예측을 할 수 있는 일종의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 입니다.
울산과힉기술원(UNIST) 양상민 석박통합과정 학생과 박형욱 교수님 연구실과 함께 약 6년 정도 진행 한 결과이며, 경북대학교 김지수 교수님팀과 실험적 검증도 함께 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고생해주신 공동저자 분들께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새로운 디지털 트윈 기술 특히 제조공정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이 되어야 하는지 큰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https://doi.org/10.1007/s10845-025-02686-2
Yang, S.M., Choe, JH., Kim, J. et al.
Intelligent digital twin process for the end-milling simulation combined with a multi-physical model.
J Intell Manuf (2025).
2025년 09월 28일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에 2025년 세번째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Review 논문으로써, 항공 부품에 활용되는 CFRP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드릴 공정에 대한 절삭성을 향상에 대한 기술을 Review 한 논문입니다.
LAB.DTiM 졸업생인 하주형 선임연구원의 세번째 주저자 논문이며, 경북대학교 최준혁 학생과 함께 CFRP 드릴 공정기술과 스마트 기술 (AI, 로봇 등)을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지 논의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본 논문 작성 시 귀중한 의견을 주신 울산과학기술원 박형욱 교수님, 경북대학교 김지수 교수님, 경상대학교 서재우 교수님, 영남대학교 정창윤 교수님 및 참여저자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 인사 전합니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2541-025-01344-0
Ha, Juhyung, Joon-Hyeok Choe, Yongjae Lee, Jisoo Kim, Jaewoo Seo, Hongjun Jeong, Changyoon Jeong, Sinwon Kim, Dong Min Kim, and Hyung Wook Park. "Comprehensive Review of Advanced Technology Integrations in CFRP Drilling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2025): 1-24.
2025년 07월 05일
Medical Engineering & Physics에 2025년 두번째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협동로봇 (UR10E)를 이용하여 로봇을 활용한 정형외과 드릴 공정에서 어떠한 자세로 진입을 해야 좋은 품질의 수술이 가능한지에 대한 논문에 대한 연구입니다. 지금은 졸업 후 우주 관련 기업에 선임연구원으로 활동 하고 있는 LAB.DTiM의 첫번째 졸업생인 하주형 선임연구원 두번째 주저자 논문입니다.
또한, 경북대학교 김지수 교수팀과 경상대학교 서재우 교수팀과 함께 진행하였으며, 약 2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연구를 통해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수고해주신 하주형 선임연구원, 김지수 교수님, 서재우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https://doi.org/10.1016/j.medengphy.2025.104388.
Effect of tool center point angles on drilling performance in robotic cortical bone procedures,
Medical Engineering & Physics, Volume 143, 2025, 104388.
2025년 06월 4일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에 2025년 첫번째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극저온 공정에 있어 FEM 해석적 기법을 통해 극저온 가공에서 기계적 매커니즘을 분석한 연구와 실험적 관찰 결과들을 발표하였습니다.
충남대학교 김도영 교수님팀과 함께 진행하였으며, 약 3년 가까운 시간동안 연구를 통해 논문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수고해주신 김도영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 전합니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70-025-15774-7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improvement of machinability in titanium indirect cryogenic machining with minimum quantity lubrication, D Kim, JH Ha, MG Ha, D Ki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2025, Online Published.
2025년 05월 14일 ~ 16일
LAB.DTiM 석사 과정생인 안은서 학생이 한국정밀공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를 하였습니다. 은서 학생의 첫 학술 대회 발표인만큼 열씸히 준비해주었습니다.
TIP 418에서 함께 공동연구실을 운용하고 있는 김욱배 교수님 외 학생분들과 함께 학술대회 참석을 통해 많은 최신 연구들을 접하였습니다.
학술대회 중간이 스승의 날이 포함되어, 학생들이 김욱배 교수님과 함께 감사 인사를 전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12월 12일 (목)
2024년 한국생산제조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Young Enginee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좋은 실적 많이 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11월 22일 (금)
한국공학대학교에서 새롭게 연구를 시작하게 된 기계공학과 김동찬 교수님과 연구실원 (AIM Lab)과 통합 미팅을 진행 하였습니다.
모두들 좋은 성과 내도록 했으면 합니다.
2024년 11월 13일 (수)
DTiM 연구실 첫번째 학생이자 졸업생인
하주형 연구원님께서 석사 심사에서 좋은평과 함께 무사히 학위를 받았습니다.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