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Check out our Instagram

ISD 연구실 석사 졸업 후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에서 박사과정 유학 중인 이희래, 손휘주 졸업생이 SCIE 등재 국제학술지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에 에너지분야 원조 및 빈곤문제를 분석한 연구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논문]


ISD 연구실 석사 졸업생 3명은 2023년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합니다. 김지현 석사는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의 Regional Planning, 손휘주와 이희래 석사는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에서 City and Regional Planning 전공으로 PhD 프로그램에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제24회 도시연구세미나(주거 안정과 주택정책)에서 ISD 연구실의 조우리 석사, 윤난 석사가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조우리 석사는 "구조,성능,환경 특성을 반영한 최주거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악구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을 중심으로"를, 윤난 석사는 "주거복지센터 민간위탁과 공공위탁 운영실태 비교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2022년 대한국토도시학회 춘계학술대회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윤난, 조우리, 진경찬(졸업)이 "코로나19 이후 주거복지서비스 운영실태 및 사각지대 분석: 서울시 관악구를 중심으로 "를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11월 25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행정안전부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정책제안 공모전' 에서 윤난, 조우리, 진경찬은 '코로나19 이후 주거복지서비스 운영실태 및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방안:서울시 관악구를 중심으로'를 통해 우수과제로 선정되어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관악구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이후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실태 및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파악하였으며, 중장년 1인 가구 등 중장년 대책, 이주민에 대한 긴급복지 지원 대책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지난 10월 22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제 21회 교육연구국제학술대회에서 김지현, 윤난 펠로우가 'Tackling Education Disparity During the COVID-19 through Community Cooperation: Case Studies on Childcare Center in Seoul'이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의 후속연구로 센터 종사자들과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발표]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주최한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정책제안 공모전에 ISD fellow 윤난, 조우리, 진경찬은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주거복지 활성화 및 개선방안 연구"라는 주제로 공모하여 선정되었습니다.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한 개선방안 및 정책제안 도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ISD fellow 김지현, 조우리, 윤난의 서울연구원 주관 연구지원사업 「언택트 교육환경에 따른 서울시 지역아동센터의 아동학습 지원환경 실태조사」가 전체 연구 중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235개소를 대상으로 코로나 이후 아동학습 지원환경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여 그 실태를 기록하고 고찰하였습니다. [뉴스]

지난 5월 20일, 사회적가치연구원[CSES]의 SPC 프로젝트 6주년 기념 <SPC History Museum 개관식>에 ISD의 김부열 교수님께서 참석하셨습니다. 'SPC'란 Social Progress Credit(사회성과인센티브)를 의미합니다. CSES는 기업들의 사회적 가치와 재무적 가치 창출에 대한 역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관식 유튜브 영상 바로보기]

ISD 김지현 연구원 외 2명(김그린, 정현주)은 <로컬리티 인문학> 학술지에 "김해시 다문화 로컬리티에 관한 고찰– 구별 짓기에서 마주침의 공간으로"를 게재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김해시 구도심에 조성 중인 역사문화거리를 사례로 구별짓기와 마주침이라는 모순적 도시경험을 로컬리티 개념의 확장을 통해 해석하고자 했습니다. [논문]

ISD 김부열 교수는 International Health 국제학술지에 Lancet COVID-19 Commission Task Force on Public Health Measure to Suppress the Pandemic에서 정리한 "Institutional and behaviour change interventions to support COVID-19 public health measures" 리뷰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Lancet COVID-19 Commission], [논문]

ISD 김부열 교수는 Journal of Behavioral and Experimental Economics 국제학술지에 2015년 대구시교육청과 진행한 프로젝트 학습(PBL: Project-based Learning) 영향평가 관련 "Do Teaching Practices Matter for Cooperation?"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공공재실험과 그룹카드매칭실험을 통해 측정한 협동 수준이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한 처치군 학생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논문]

ISD 김부열 교수는 Community Development 국제학술지에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관련 "Double-edged cohesion: Multidimensional impacts of community governance's cohesion in community-driven development"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선출된 신규 리더십과 기존 마을 리더십 간의 Cohesion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러한 cohesion이 마을개발성과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분석하였습니다. [논문]

ISD 연구실의 손휘주(공동저자) 외 2명(심혜영, 김문현)은 지난 4월 24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의 대학원세션 '토지이용 및 공간구조(2)' 부문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모빌리티 변화 분석 연구'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ISD의 김지현, 조우리, 윤난 석사과정생은 지난 4월20일에 서울연구원의 연구지원사업 '작은연구 좋은서울' 결과발표회에서 지난 약 5개월간 수행한 '언택트 교육환경에 따른 서울시 지역아동센터의 아동학습 지원환경 실태조사'를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발표영상은 연구실 인스타그램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손휘주 석사과정생은 지난 4월 10일, 2021년 미국지리학회(AAG: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연례학술대회에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individual health level in East and West Africa: Malaria risk factors among children under 5"를 발표하였습니다. 'Geospatial Health Symposium 13: Advances in Computational Approaches for Geospatial Health Applications - Environmental Health' 세션에 참가하여, 정주환경과 보건 간 관계를 논의하였습니다.

2020년 한국도시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김지현, 윤난, 조우리 학생은 "언택트 교육환경에 따른 지역아동센터 지원 정책 방안: 금천구를 중심으로"를 발표하였으며,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손휘주, 이희래는 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주최하는 개발협력실증연구(대학원생 연구제안서) 공모전에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내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 분포에 대한 다중 스케일 분석: 사업 분야별 패턴과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본 공간 배제 문제” 으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KDI 국제정책대학원으로부터 연구비 300만원을 지원받아 개발협력사업 분야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서울대학교 사회공헌단의 2020 SNU 사회공헌 PLUS+ 경진대회 전문 부문에서 ISD 연구실의 박사과정 라수정 학생, 석사과정 김지현, 조우리, 윤난 학생이 우수상을 수상하여 상금 100만원을 받았습니다. 사회공헌 아이디어로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High Touch High Tech (HTHT) 교육봉사 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2020년 대한지리학회 연례학술대회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손휘주 학생은 "동아프리카 보건 문제의 공간적 이질성에 관한 다중 스케일 분석: 지리적 환경과 사망률·주요 질병의 관계를 중심으로"을 발표하였습니다.

서울연구원의 2020년 하반기 작은연구 좋은서울 지원사업 '기획주제' 부문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김지현, 조우리, 윤난 학생이 제안한 '언택트 교육환경에 따른 서울시 지역아동센터의 아동학습 지원환경 실태조사' 연구가 선정되었습니다. 800만원의 연구비 지원을 통해 2021년 5월까지 약 6개월간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언택트 교육환경에 대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0년 대한국토도시학회 추계학술대회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조우리 학생 외 2명이 "신도시형 혁신도시 토지이용계획 비교분석 -1기 혁신도시를 중심으로"를 발표하였습니다.

석사과정 손휘주 학생 외 3명은 "1인 가구 주거만족 요인을 고려한 ‘오피스 및 상가 주거전환’ 사업 대상지 선정 연구: 서울시 내 주요 상권을 대상으로"를 발표하였습니다. 

2020년 한국환경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 ISD 연구실의 석사과정 손휘주, 이희래 학생은 "동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 분포에 관한 다중 스케일 분석"을, 진경찬 학생 외 1명은 "강원도 태백시 축소도시 계획 제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지속가능발전혁신 연구실(ISD)은 좋은 연구를 만들어가기 위해 내규 및 명예제도(Honor Code)를 만들었으며, 이를 지키기 위한 연구실 펠로우의 실천 방안을 구상하였습니다.


지속가능발전혁신 연구실(ISD) 내규 및 명예제도(Honor Code) 문서 링크

하계 방학 7주 동안 통계(STATA)와 GRE 스터디, 영어 논문 발제를 진행했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연구실 구성원의 양적 연구 및 논문 분석•발표 역량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2020년 6월 23일, 소셜벤처와 사회적 기업 컨퍼런스 참여하였습니다. <임팩트 투자와 소셜벤처>에 관하여 옐로우독, 소풍, 크레비스파트너스 등 여러 기업기업 대표의 강연을 들었습니다. 또한 컨퍼런스에 참여한 여러소셜벤처의 상품과 서비스 등을 통해 사회적 경제를 현장에서 경험하였습니다. 컨퍼런스 참여 이후, 랩 세미나에서 사회적 경제 관련 논의를 이어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