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D. candidate majoring in educational techn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 am highly interested in leveraging technology to innovat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ith a strong foundation in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and conflicts that can arise within an educational context, my goal is to harness the affordances of technology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s in education.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utilizing learning analytics and learning sciences to effectively support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digital environments.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Advisor: Young Hoan Cho, PhD, Professor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Advisor: Young Hoan Cho, PhD, Professor
Worked as a data analyst at an edutech startup Jobshopper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Jung Jae-hyun Linguistics Research Institute
Double major in English Education, Computer Science
Journal Articles
Kim, J., Ham, Y., & Lee, S.-S. (2024). Differences in student-AI interaction process on a drawing task: Focus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AI and the level of drawing skills.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0(1), 19–41. https://doi.org/10.14742/ajet.8859
함윤희, 고보경, 박소미, 추영선, 이현경. (2023). 디자인씽킹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지원 인공지능 챗봇 설계원리 개발 [A developmental study on design principl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design thinking-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교육공학연구, 39(2), 417-450.
Kim, J., Ham, Y., & Lee, S. S. (2022). Differences in student-AI interaction process on a drawing task: Focus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AI and the level of drawing skills.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함윤희, 조영환, 김혁기, 이재용, 김혜은, 이한솔. (2021). 동영상 강의에서 메타인지 지원이 학습결과 예측에 미치는 영향: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중심으로[Influence of metacognitive support on predicting learning outcomes in video lectures: Using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1295-1323.
함윤희, 조영환, 이한솔, 김혜은. (2021). 다중양식 학습분석의 연구동향과 발전방안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2), 501-529.
이현경, 조영환, 이현진, 함윤희. (2020). 학습분석의 윤리적 이슈와 실천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and strategies of learning analytics].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1), 157-181.
함윤희, 김진희, 허선영, 한형종, 최서연. (2020).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Development of the digital textbook dashboard prototype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교육공학연구, 36(1), 1-31.
김진희, 최서연, 임철일, 함윤희. (2019). 연구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레이션 사서교육 프로그램 개발[Development of a data curation training program for research support for librarians]. 교육문화연구, 25(6), 757-779.
Conference Presentations
Ham, Y., Cho, Y., H., Kim, H., Park, S. (2022) Learning analytics of note-taking indicators to predict learning outcomes: Using computer vision and text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2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Seoul, Korea.
(최우수논문상 수상) 함윤희, 고보경, 박소미, 추영선, 이현경 (2022). 디자인씽킹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지원 인공지능 챗봇 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서울, 한국.
Ham, Y., Cho, Y., H., Kim, H., Lee, J., Kim, H., & Lee, H. (2021). Effects of metacognitive support on video-based learning: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of learning process. Paper presented at the 2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Online, Korea.
함윤희, 조영환, 김혜은, 이한솔 (2021). 메타인지 지원이 동영상 기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생리심리반응을 중심으로. BK21 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온라인, 한국.
함윤희, 조영환, 권가진 (2020). 게임 기반 학습에서 학습 결과 예측을 위한 학습분석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온라인, 한국.
Kim, J., Shin, S., Ahn, S., Choi, S., & Ham, Y. (2019). Development of a data curation training program for research support for librarian. Poster presented at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Seoul, Korea.
조영환, 김민성, 김선희, 문효열, 박재범, 신종호, 유연주, 임철일, 정대홍, 함윤희, 조수경, 박소미. (2022). 학습과학연구소 설립 및 발전방안.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영환, 함윤희, 이한솔, 송혜빈. (2021). 예비교원의 미래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미래교육혁신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조영환, 함윤희, 이한솔, 송혜빈. (2021). 미래교육센터의 비전 및 발전방안.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미래교육혁신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조영환, 이현경, 최서연, 함윤희. (2019). 박물관 디지털 교육 동향 및 과제 조사. 국립중앙박물관.
2022 교육공학연구 아카데미 ETRA: Exploratory를 활용한 학습분석 기초 (2022.08.17)
☞ 학습분석에 대한 기초 개념과 연구사례
☞ Exploratory를 활용한 학습분석 실습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분석
☞ 챗봇의 교육적 활용
☞ 챗봇 개발 도구와 방법
☞ Dialogflow 사용법
☞ 교육용 챗봇 만들기
☞ 강의 교수: 조영환
2021 교육공학 춘계 학술대회 워크숍: Exploratory를 활용한 학습분석 (2021.06.18)
☞ Exploratory에 대해 알아보기
☞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이해와 실습
☞ 머신러닝에 대한 이해와 실습
☞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활용한 인공지능의 이해
☞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의 개념과 사례
☞ 디자인씽킹이란? 지속가능한 개발을 중심으로
☞ 프로젝트 시작하기
2020 Python Workshop (2020.08.12.~2020.08.14)
☞ data loading & preprocessing
☞ data visualization & predictive analysis
☞ performance evaluation & error analysis
☞ text data collection(api) & preprocessing
☞ text data analysis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행정실 조교 (2022.04~2023.03)
2020 관악교육포럼 스태프 (2020.10)
TELD 운영위원회 (2020.08~2022.07)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교육지원부 근로장학생 (2020.03~2020.08)
2019 ICER 현장 스태프 자원봉사 (2019.10.17.~2019.10.18)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교육공학연구회 총무 (2019.06~2020.05)
음식 데이터 분석(2021.09~2021.12)
데이터분석과 시각화 강의에서 3명의 팀원과 함께 FDYF(Find Dishes from Your Fridge)라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식품영양성분 DB를 활용하였으며, 음식의 재료, 조리방법, 메뉴종류, 영양범위(칼로리, 탄수화물, 단백질 등)에 따라 변화하는 음식 그래프를 제공합니다.
사용언어: Python, TypeScript, React
개발환경: Visual Studio, MacOS
게임기반학습 분석(2020.03~2020.06)
정보융합특강(학습분석과 학습과학) 강의에서 게임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 킷킷스쿨 수학(Kitkit school math)의 초등 수준 학습자 408명의 5.4만여개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을 구하였습니다.
사용언어: Python
개발환경: Jupyter Notebook, MacOS
학부생 연구지도조교 (2021.06.01~2022.05.31)
☞연구 주제: 대학 실시간 원격 수업에서 화면노출도가 주의집중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